생성형 AI의 기세가 만만치 않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변화 중 하나도 모든 교과에 걸쳐 디지털 소양을 길러주는 것이다. 과거 읽고, 쓰고, 셈하는 능력인 3R's를 미래 사회에서는 디지털, 언어, 수리 소양으로 해석한다. 따라서 디지털 소양을 갖추지 못하며 앞으로 다가올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없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학교 안에서 이미 디지털과 관련하여 많은 영역들이 개편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생성형 AI는 수업의 판도를 바뀔 정도로 영향력이 대단하다. 그 의미는 챗 GPT를 통해 과제 해결이라든지 궁금한 것을 단숨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 지식인의 역할을 이제는 챗 GPT가 하게 되었고 생성형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의 생각을 훌쩍 뛰어넘어 불가능한 영역에까지 도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흥미진진함을 넘어 두렵다는 느낌마저 든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내용들을 스스로 생성하는 AI 기능은 이미지와 음성, 텍스트와 소프트웨어까지 만들어내고 있다. 학교 안에서 수업의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생성형 AI는 학교 안의 행정 업무도 손쉽게 해결해 주는 순기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복잡한 수식어를 알아야 했던 엑셀 차트도 이제는 한 방에 끝낼 수 있다. 복잡한 레이어 기능을 알아야 했던 애니메이션 기능도 생성형 AI 기능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나처럼 초보자에 불과한 이들도 늘 상용하고 있는 카카오톡 오픈채널의 생성형 AI 프로그램을 통해 책의 내용을 정확하게 요약해 주는 기능을 보면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다면 과연 챗 GPT시대에 지식 노동의 세계는 어떻게 변화될 것인가?라는 저자의 고민에 고개가 저절로 끄덕여진다. 저자는 챗 GPT가 맥락까지 파악하여 복잡한 요구사항들도 척척 해결해 줄 수 있다고 한다. 이제는 사람이 지루하게 해야 했던 단순한 기능들은 아예 챗 GPT의 손을 빌리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정확한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아직까지는 사람의 손과 머리가 필요하다.
챗 GPT를 사람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지 아니면 종속되어 순응하는 사람이 될지 선택은 우리에게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