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에 재진출해 '반도체 왕국' 재건을 노렸던 미국 인텔이 막대한 적자 속에 파운드리 사업부 분할과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파운드리 세계 2위인 삼성전자 역시 메모리 반도체 경쟁력 회복에 집중하고 있어 삼성, 인텔, TSMC의 '파운드리 삼국지'는 대만 TSMC의 독주 체제로 굳어질 전망이다.
블룸버그는 지난달 30일 인텔이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 월가 투자은행들과 함께 대대적인 사업 재편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세계에서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 계획을 수정하는 것은 물론 파운드리 부문을 분리하는 방안까지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 파운드리, 이 정도로 어려울 줄이야
3년 전 파운드리 사업에 복귀한 인텔은 세계 중앙처리장치(CPU)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자사의 생산 규모를 믿고 반도체 제조 부문에 의욕적으로 투자했다. 인텔 CPU만 생산해도 파운드리 2위인 삼성전자에 버금가는 수주 실적이 생기는 데에 미국 유일의 파운드리라는 강점까지 앞세워 1위 TSMC와의 진검승부를 예고했다.
하지만 투자 비용이 예상을 뛰어넘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사이 인공지능(AI) 시대의 패권이 엔비디아의 GPU(그래픽 처리 장치)로 옮겨가면서 주력인 CPU 시장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올해 인텔 주가는 60% 이상 폭락해 4분기에만 16억달러(약 2338억엔)의 손실을 내면서 1968년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빠졌다.
그동안 인텔의 반도체 제조 부문 분리 가능성이 뿌리 깊게 나왔으나 칩 설계와 제조 패권을 모두 거머쥐고 싶다는 인텔 경영진의 입장이 굳게 모두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회사가 풍전등화 위기에 몰리면서 결국 밑 빠진 독으로 전락한 칩 제조 부문을 떼어내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을 접을지도 모른다는 말에 미국 증시에서 인텔 주가는 단숨에 10% 가까이 올랐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인텔이 AMD처럼 칩 제조를 포기하고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로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AMD는 2008년 칩 제조 비용을 감당할 수 없게 되자 자사의 팹(반도체 공장)을 떼어내 매각했다. 이후 AMD는 칩 설계에만 집중했고, 파운드리 분사 후 시가총액이 100배 이상 늘어나 경쟁사인 인텔을 넘어섰다.
◇ 미국 제조패권 회복 쉽지 않다
인텔의 추락은 첨단산업 제조 패권을 되찾겠다는 미국의 앞길이 험난할 것임을 예고하는 대표적 사례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정부는 2022년 발효된 CHIPS법에 따라 국내외 주요 반도체 업체에 직접 보조금을 지원하고 첨단 제조공장을 유치하기 위한 총력전을 펼쳤다.
하지만 인텔뿐 아니라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만들고 있는 삼성전자나 TSMC까지 노조 문제와 현지의 저조한 생산성에 발목이 잡힌 상태다. 삼성전자와 TSMC의 미국 공장은 당초 계획보다 투자금액은 2배 이상 늘었지만 가동 시기는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다. 미국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TSMC는 가장 중요한 초미세 공정만큼은 본국 대만에 계속 둘 생각이다.
TSMC 연구개발 디렉터를 맡은 양광레이 국립대만대 교수는 7월 중앙일보와 만나 "미국의 젊은 세대는 반도체를 오래된 산업으로 느끼기 때문에 칩 제조를 제대로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숙련된 기술인력을 비교적 저렴한 임금으로 집중 투입할 수 있는 곳은 세계에서 동아시아 지역뿐이라는 것이다.
◇ TSMC 독주 더 길어진다
인텔까지 백기를 들고 3년간 이어진 파운드리 삼국지의 긴장감은 확연히 떨어지게 됐다. 'TSMC의 천하'가 더욱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는 최근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의 경쟁력 회복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파운드리 사업에 대한 투자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평택에 있는 4공장(P4)에 당초 예정된 파운드리 대신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생산라인을 증설하기로 했다.
이에 TSMC는 다음 달 고객들과 2나노미터(나노는 10억분의 1) 프로세스 테스트를 시작하는 등 1인자 자리를 굳히려 하고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당분간 최첨단 공정에서 TSMC와 정면 승부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최첨단 공정과 레거시(범용) 사이의 틈새시장을 전략적으로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