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탄금(對牛彈琴)
소를 마주 대하고 거문고를 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아무리 도리를 가르쳐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
對 : 대할 대(寸/11)
牛 : 소 우(牛/0)
彈 : 탄알 탄(弓/12)
琴 : 거문고 금(王/8)
(유의어)
마이동풍(馬耳東風)
우이독경(牛耳讀經)
우이송경(牛耳誦經)
풍과이(風過耳)
출전 : 홍명집(弘明集) 이혹론(理惑論)
대우(對牛)는 ‘소(牛)를 마주 대하다’의 뜻이고, 탄금(彈琴)은 ‘거문고를 연주함’의 뜻이다. 즉, 소에게 거문고를 연주해 준다는 말로,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깊은 이치를 말해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므로 아무 소용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중국 양(梁)나라 때의 승려 우(祐)가 편찬(編纂)한 홍명집(弘明集) 이혹론(理惑論)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후한(後漢) 말 모융(牟融)이라는 학자가 있었다. 그는 불경(佛經)에 밝아 많은 사람이 불경을 공부하러 그를 찾아왔다. 그런데 찾아온 사람이 유학자일 경우에는 불경을 설명하면서 늘 유학의 경서를 인용했다.
이에 대하여 유학자들이 이유를 묻자, 모융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당신들은 불경을 읽은 일이 없을 것이오. 그래서 나는 당신들이 잘 알고 있는 유교 경전을 인용하는 것이라오.”
그러고는 송(宋)나라 때 목암(睦庵)이 지은 선집(選集) 조정사원(祖庭事苑)에 보이는 공명의(公明儀)의 일화를 이야기하였다.
옛날 노(魯)나라에 공명의(公明儀)라고 하는 어진 사람이 있었소. 하루는 소를 보고 그 하는 일에 고마움을 느껴 거문고를 켜 주었다오. 그런데 소는 거들떠 보지도 않고 풀만 뜯고 있었다는구료.
가만히 생각하니 이건 소가 듣지 못한 것이 아니라 청각이라는 고상한 곡조가 소 귀에는 맞지 않기 때문이구나 싶더랍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모기와 등애의 울음소리, 젖을 먹고 있는 송아지 울음소리를 흉내냈답니다. 그러자 소는 발굽 소리를 내며 꼬리를 흔들기도 하고, 귀를 세운 채 거문고 소리를 다소곳이 들었답니다.
그 소리가 소의 마음에 맞았기 때문이지요. 이 이야기는 바로 내가 당신들에게 유교 경전을 인용하여 불경을 설명하는 것과 같은 이치 아니겠소?
대우탄금(對牛彈琴)은 이와 같이 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알아 듣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소용이 없다는 말로, 오늘날에는 우이독경(牛耳讀經)과 같은 의미로도 사용된다.
현대사회에서 공생(共生)에 많은 어려움과 대인관계에서의 서로 이해 상충등 많은 부분 중요한 인생 소비가 발생 되는 경우도 있고, 본인들이 생각 하고 있는 상대가 시간이 감에 따라, 그렇지 않았음을 알았을때, 노력과 이해관계의 소모는 참으로 많을 수 있다.
혹 인간대 인간의 무언(無言)의 공감속에서 정해지는 질서가 어느 순간에 말과 글로는 전혀 상반 되기 까지도 하는 실례는 인간의 사고 공감도, 자식간의 유전적 피 이어가기에도 많은 어려운 현대사회에 와 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이런 시간적 소모와 노력 및 자금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고대 중국에 나타난 고사성어가 바로 대우탄금(對牛彈琴)이다.
▶️ 對(대할 대)는 ❶회의문자로 対(대)의 본자(本字), 对(대)는 통자(通字), 对(대)는 간자(簡字)이다. 부수(部首)를 제외한 글자 종기둥에 사람이 손(寸)을 대고 서 있다는 뜻이 합(合)하여 대하다, 마주보다를 뜻한다. 부수를 제외한 글자는 타악기(打樂器)를 받치는 도구를 나타낸다. 이 도구는 좌우(左右) 두 개로 한 쌍이 되어 있고 또 이 도구에 악기(樂器)를 걸고 사람이 마주 앉음, 對(대)는 쌍으로 하는 일, 또 마주 앉다, 대답하는 일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對자는 ‘대하다’나 ‘마주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對자는 丵(풀무성할 착)자와 寸(마디 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丵자는 뜻과는 관계없이 촛대로 응용되었다. 對자의 갑골문을 보면 여러 개의 초가 꽂힌 긴 촛대를 들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누군가를 마주하기 위해 불을 밝힌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對자는 불을 밝혀 누군가를 마주한다는 의미에서 ‘대하다’나 ‘마주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對(대)는 (1)서로 비슷하거나 같은 짝이나 상대 (2)어떤 명사(名詞) 앞에 쓰여 ~에 대한 ~에 대항하는의 뜻을 나타내는 말. 사물들이 서로 상대, 대립, 대비됨을 나타내는 말 (3)장기에서 쌍방이 말 하나씩을 맞바꾸어 따먹는 일 (4)대구(對句) (5)경의(經義) 같은 것을 시험(試驗)으로 문대(問對)하는데 쓰이는 그 대답 (6)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대하다, 마주하다 ②대답하다 ③대조(對照)하다, 맞추어 보다 ④상대, 맞수 ⑤짝, 배우자(配偶者) ⑥대구(對句) ⑦벌(옷을 세는 단위) ⑧쌍(두 짝으로 이루어 진 것의 단위) ⑨문체(文體)의 이름 ⑩대(對)하여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대답할 유(兪), 대답 답(答), 허락할 락(諾)이다. 용례로는 어떤 사건 또는 시국에 대한 방책을 대책(對策), 사람이 어떤 행위를 할 때, 그 목적이 되는 사물이나 상대가 되는 사람을 대상(對象), 마주 대함이나 상대함을 대응(對應), 어떠한 일에 대응할 준비를 함 또는 그러한 준비를 대비(對備), 마주 대하여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이야기하는 것 또는 그 이야기를 대화(對話), 어떠한 일에 대응하는 조치를 대처(對峙), 마주 대하여 섬이나 둘이 서로 버팀을 대립(對立), 사람이 상대의 물음이나 요구 또는 부르는 말에 응하여 어떤 말을 하는 것 또는 그 말을 대답(對答), 양자가 맞서서 우열 등을 결정함을 대결(對決), 서로 맞서서 버티어 겨룸을 대항(對抗), 외부 또는 외국에 대함을 대외(對外), 서로 맞대어 비교함을 대비(對比), 어떠한 일에 대처할 안을 대안(對案), 마주 대하여 말함을 대언(對言), 마주 대하여 말함 또는 그 말을 대담(對談), 두 사물이 맞서 있는 상태를 반대(反對), 서로 마주 보고 있음 또는 그 대상을 상대(相對), 상대하여 견줄 만한 다른 것이 없음을 절대(絶對), 마주 대하여 버팀이나 적으로 여김을 적대(敵對), 응접하여 대면함을 접대(接對), 상대하여 응답함을 응대(應對), 증세에 맞게 약을 써야 한다는 뜻으로 문제의 핵심을 바로 보고 대처해야 함을 대증하약(對症下藥), 손님을 접대하는 도리를 대객지도(對客之道), 군명을 받들어 그 뜻을 널리 인간 백성에게 드높임을 대양휴명(對揚休命), 강 건너 불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 자기에게는 아무 관계도 없다는 듯이 관심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대안지화(對岸之火), 밤비 소리를 들으면서 침상을 나란히 놓고 눕는 다는 뜻으로 형세나 친구 사이가 좋음을 이르는 말을 야우대상(夜雨對牀), 좋지 못한 얼굴빛으로 서로 대함을 악안상대(惡顔相對), 묻는 대로 지체 없이 대답함을 이르는 말을 응구첩대(應口輒對) 등에 쓰인다.
▶️ 牛(소 우)는 ❶상형문자로 뿔이 달린 소의 머리 모양을 본뜬 글자로 소를 뜻한다. 뿔을 강조하여 羊(양)과 구별한 글자 모양으로, 옛날 중국에서는 소나 양을 신에게 빌 때의 희생의 짐승으로 삼고 신성한 것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에 글자도 상징적이며 단순한 동물의 모양은 아니다. ❷상형문자로 牛자는 ‘소’를 뜻하는 글자이다. 牛자의 갑골문을 보면 뿔이 달린 소의 머리가 간략하게 그려져 있었다. 갑골문에서부터 소전까지는 이렇게 소의 양쪽 뿔이 잘 묘사되어 있었지만, 해서에서는 한쪽 뿔을 생략해 ‘절반’을 뜻하는 半(반 반)자와의 혼동을 피하고 있다. 농경 생활을 하는 민족에게 소는 매우 중요한 동물이었다. 느리지만 묵직한 힘으로 밭을 갈거나 물건을 옮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기 때문이다. 한편 소는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 되기도 했다. 그래서 牛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제물(祭物)’이나 ‘농사일’과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그래서 牛(우)는 성(姓)의 하나로 ①소(솟과의 포유류) ②별의 이름, 견우성(牽牛星) ③우수(牛宿: 28수의 하나) ④희생(犧牲) ⑤고집스럽다 ⑥순종(順從)하지 않다 ⑦무릅쓰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소 축(丑), 짐승 축(畜)이다. 용례로는 소의 젖을 우유(牛乳), 소의 뿔을 우각(牛角), 소와 말을 우마(牛馬), 소를 부려 밭을 갊을 우경(牛耕), 소를 잡는 데 쓰는 칼을 우도(牛刀), 소의 가죽을 우피(牛皮), 소 걸음이란 뜻으로 느린 걸음을 우보(牛步), 소의 궁둥이로 전하여 세력이 큰 자의 부하에 대한 비유를 우후(牛後), 소의 수컷으로 수소를 모우(牡牛), 소의 암컷으로 암소를 빈우(牝牛), 털빛이 검은 소를 흑우(黑牛), 소싸움 또는 싸움 소를 투우(鬪牛), 식용할 목적으로 사육하는 소를 육우(肉牛), 주로 일을 시키려고 기르는 소를 역우(役牛), 쇠귀에 경 읽기란 뜻으로 우둔한 사람은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우이독경(牛耳讀經), 소가 물을 마시듯 말이 풀을 먹듯이 많이 먹고 많이 마심을 우음마식(牛飮馬食), 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큰 일을 처리할 기능을 작은 일을 처리하는 데 씀을 이르는 말을 우도할계(牛刀割鷄), 소가 밟아도 안 깨어진다는 뜻으로 사물의 견고함의 비유를 우답불파(牛踏不破), 소를 삶을 수 있는 큰 가마솥에 닭을 삶는다는 뜻으로 큰 재목을 알맞은 곳에 쓰지 못하고 소소한 일을 맡기는 경우를 비유하는 말을 우정팽계(牛鼎烹鷄), 소 궁둥이에 꼴 던지기라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가르쳐도 소용이 없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우후투추(牛後投芻), 양으로 소와 바꾼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가지고 큰 것 대신으로 쓰는 일을 이르는 말을 이양역우(以羊易牛) 등에 쓰인다.
▶️ 彈(탄알 탄)은 ❶형성문자로 弾(탄)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활 궁(弓; 활)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둥근 알을 나타내기 위한 單(단)으로 이루어졌다. 알을 쏘는 활, 튀기는 활의 뜻이다. ❷상형문자로 彈자는 ‘탄알’이나 ‘탄핵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彈자는 弓(활 궁)자와 單(홀 단)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갑골문에 나온 彈자를 보면 단순히 弓자에 점이 찍혀 있는 모습이었다. 이것은 쇠 구슬이나 돌멩이를 날리던 화살을 그린 것이다. 그러나 소전에서는 弓자와 單자가 결합한 형태로 바뀌면서 지금의 彈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여기서 單자는 ‘단→탄’으로의 발음역할과 함께 이것이 무기와 관련된 글자임을 전달하고 있다. 彈자는 이렇게 ‘탄알’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졌지만, 탄알이 상대에게 타격을 준다는 의미에서 ‘탄핵하다’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다. 그래서 彈(탄)은 탄알, 포탄, 폭탄(爆彈) 등의 두루 일컬음으로 ①탄알 ②탄알을 쏘는 활 ③과실(果實) ④열매 ⑤튀기다 ⑥두드리다 ⑦힐책(詰責)하다 ⑧탄핵하다 ⑨바루다 ⑩타다(악기의 줄을 퉁기거나 건반을 눌러 소리를 내다) ⑪연주하다 ⑫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죄상을 조사하여 꾸짖음을 탄핵(彈劾), 함부로 을러대고 억누름을 탄압(彈壓), 탄성체가 그것에 가하여 지는 외력에 대해 반발하는 힘을 탄력(彈力), 죄상을 들어 논하고 책망하거나 규탄함을 탄박(彈駁), 탄환이나 처란의 껍질을 탄피(彈皮), 튀는 듯이 움직임을 탄동(彈動), 탄환과 그것을 발사하기 위한 화약의 총칭을 탄약(彈藥), 총이나 포를 쏘아서 낀 연기를 탄연(彈煙), 빗발같이 쏟아지는 총알을 탄우(彈雨), 손톱이나 손가락을 튀김을 탄지(彈指), 관의 먼지를 떤다는 뜻으로 관리가 될 준비를 하는 일을 탄관(彈冠), 잘못이나 허물을 잡아 내어 따지고 나무람을 규탄(糾彈), 잘못을 꼬집어 나무람이나 지목하여 비방함을 지탄(指彈), 탄알을 막음을 방탄(防彈), 총을 쏘았을 때에 총구멍에서 나와 목표물을 맞추는 물건을 총탄(銃彈), 잘못을 꼬집어 말함을 규탄(叫彈), 실제로 쏘아서 실효를 나타내는 탄알을 실탄(實彈), 본디 가락을 변주시켜 타는 가락을 해탄(解彈), 공경하고 두려워함을 경탄(硬彈), 피아노나 풍금 따위 악기를 손수 탐을 자탄(自彈), 사방이 적국에 포위되어 공격의 대상이 되는 아주 좁은 땅을 이르는 말을 탄환지지(彈丸之地), 손가락을 튀길 사이로 아주 세월이 빠름을 이르는 말을 탄지지간(彈指之間), 바퀴도 되고 탄환도 된다는 뜻으로 하늘의 뜻대로 맡겨 둠을 이르는 말을 위륜위탄(爲輪爲彈), 수후의 구슬로 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얻으려다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을 수주탄작(隨珠彈雀) 등에 쓰인다.
▶️ 琴(거문고 금)은 ❶상형문자로 琹(금)은 통자(通字), 珡(금)은 고자(古字)이다. 거문고의 몸통을 자른 면을 본 떠서 거문고의 모양을 나타낸다. ❷상형문자로 琴자는 '거문고'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琴자는 두 개의 玉(옥 옥)자와 今(이제 금)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今(이제 금)자는 '이제'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琴자는 우리의 거문고와 같은 중국의 현악기를 뜻하는 글자이다. 소전에 나온 琴자를 보면 두 개의 玉자 사이로 줄이 둘려 있는데, 이것은 거문고에 있는 '괘'와 '줄'을 함께 표현한 것이다. 지금은 거문고에 있던 줄이 今자로 바뀐 것이다. 그러니 琴자에 있는 玉자도 '옥'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그래서 琴(금)은 (1)당악(唐樂) 현악기(絃樂器)의 한 가지. 거문고와 비슷하고, 줄이 일곱으로 되어 있으며 손가락으로 뜯어서 소리를 냄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거문고(우리나라 현악기의 하나) ②거문고 타는 소리 ③거문고를 타다 ④심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기러기발을 금휘(琴徽), 거문고 소리를 금음(琴音), 거문고나 가야금을 가르치던 선생이나 벼슬아치를 금사(琴師), 거문고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를 금조(琴操), 거문고의 줄을 금현(琴絃), 거문고의 곡조를 금곡(琴曲), 거문고의 이치와 타는 법을 금도(琴道), 거문고를 타며 책을 읽음을 금서(琴書), 깊이 간직하고 있는 마음을 금선(琴線), 거문고의 곡조를 적은 악보를 금보(琴譜), 거문고를 받치는 도구를 금상(琴狀), 거문고의 소리를 금운(琴韻), 거문고를 타서 신령을 맞아 길흉을 판단하는 점을 금점(琴占), 거문고와 비파로 부부 사이의 정을 금슬(琴瑟), 마음을 거문고 소리에 부침이라는 뜻으로 부인에 대한 애모의 마음을 금심(琴心), 어떠한 자극을 받아 울리는 마음을 거문고에 비유하는 말을 심금(心琴), 혹이 빈 둥근 나무에 짐승의 가죽을 메우고 긴 나무를 꽂아 줄을 활 모양으로 건 민속 악기를 해금(奚琴), 우리나라 현악기의 한 가지를 현금(玄琴), 사다리꼴 오동 겹 널빤지에 받침을 세우고 철사 열 넉 줄을 매어 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 동양 현악기를 양금(洋琴), 거문고나 가야금 등을 탐을 탄금(彈琴), 거문고를 타는 일을 명금(鳴琴), 실로폰으로 나무토막을 벌여 놓고 두드려서 소리를 내게 만든 악기를 목금(木琴), 아무런 장식도 없는 소박한 거문고를 소금(素琴), 거문고와 비파의 조화로운 소리라는 뜻으로 부부 사이의 다정하고 화목한 즐거움을 이르는 말을 금슬지락(琴瑟之樂), 거문고와 비파 소리가 조화를 이룬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가 다정하고 화목함을 이르는 말을 금슬상화(琴瑟相和), 거문고와 비파를 타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간에 화락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여고금슬(如鼓琴瑟), 사람의 죽음을 몹시 슬퍼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인금구망(人琴俱亡), 소를 마주 대하고 거문고를 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은 아무리 도리를 가르쳐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을 대우탄금(對牛彈琴)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