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쉘번이 하워드와 폴에 대해 기사를 썼네요. 이슈가 될 만한 글을 아니고, 그저 큰 결정에 앞서 고민의 시간을 갖고 있는데 좀 더 인내하며 기다려보자는 내용입니다.
* 저는 이미 잊어버린 일인데, 여러분은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엘튼 브랜드가 클리퍼스와 협상을 맺을 당시 베런 데이비스에게 클리퍼스에 와서 함께 뛰자고 제의하고 난 후 낼름 식서와 계약한 일을 쉘번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마이애미의 빅3처럼, 한 선수가 한 팀에 재계약을 맺은 상황에서 다른 선수들이 그 팀과 계약을 맺는 것은 오해의 여지가 크게 없지만, 두 선수가 모두 FA인 경우 한 팀을 골라 계약을 맺을 때는 다소 오해의 여지가 크다는 걸 말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두 선수를 모두 데려갈 수 있는 팀은 어디가 있을까요? 애틀랜타? 댈러스? 모르겠네요.
* 순전히 레이커스 입장에서 보자면, 두 선수를 데리고 오고 싶습니다. 내쉬와 너무 오랜 계약을 맺은 것 아니냐는 결과론적인 불평을 하지만, 너무나 아쉽습니다. 레이커스 구단은 두 선수를 데리고 올 정도의 힘이 있는데 말이지요.
* 가솔이 무릎 수술을 받는 것 같습니다. 정확한 건 시간이 되면 번역하여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espn.go.com/los-angeles/nba/story/_/id/9254714/all-business
What's the hold up in Los Angeles?
Dwight Howard and Chris Paul aren't rushing to decide their futures.
하워드와 폴은 그들의 미래를 결정하는 것을 서두르지 않고 있다.
Updated: May 8, 2013, 2:46 PM ET By Ramona Shelburne | ESPNLosAngeles.com
지난 두 시즌의 시간 속에서 하워드에게 가장 유익한 부분은 스스로 자신의 “현재”를 결정했다는 것이다. 그가 뛴 곳이 어디인 것만큼 그가 뛰고 싶은 곳이 어디인지는 매우 중요해졌다. 그리고 그가 누구와 함께했는지 보다 누구와 함께하길 원하는지가 더 중요해졌다.
올랜도에서, 하워드의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했던 우유부단함은 “Dwightmare”라고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지만, 레이커스와의 첫 번째 시즌을 마친 지금, 하워드는 그것을 “nightmare”로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마침내, 하워드는 현재 다시 한 번 결정을 내릴 시간 안에 있다. “Dwighmare”를 확실하게 끝맺기 위해,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자신의 미래가 어디에서 만들어지길 바라는지를 정해야 하는 때가 그의 앞에 놓여 있다.
그러한 오랜 고민의 시간을 기다린 끝에, 우리는 그가 선택의 기로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 건지 조금은 이야기해주길 바라고 있는지 모른다. 그가 정상에서 환호성을 지르기 위해 충분히 필요한 잠깐의 휴식을 즐겨야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그는 좀 더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저는 저만의 시간을 가질 생각입니다. 폰을 손에서 놓고, 모든 것에서 멀리 떨어져 제 마음과 머리를 비울 생각입니다.” 지난 스퍼스와의 플레이오프 1라운드가 끝난 후에 하워드는 말했다. “저는 제가 그럴 권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만의 시간을 갖는 건 제가 하고 싶은 것이고요.”
필요한 시간이 많든 적든, 그건 하워드가 시즌 내내 이야기했던 것이다. 나는 왜 사람들이 레이커스가 스윕을 당했기 때문에 그가 마음을 바꾼 것이라고 이야기하는지 모르겠다(역주: 레이커스가 이렇게 어이없게 패하지 않았더라면 바로 레이커스에 남겠다고 말했을 거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나 봅니다). 오랜 시간 동안 고민했던 것을 시즌이 끝난 후에 바로 이야기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하지만 그가 입을 열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잠시, 하워드가 충분한 고민의 시간을 가진 다음에는? 더 생각할 만한 것이 있나? 레이커스가 하워드를 필요로 하는지 하지 않는지 이번 시즌을 보면 알 수 있는 것 아닌가?
1주일 후, 약간의 놀라움과 함께, 클리퍼스의 폴 또한 거의 정확하게 같은 이야기를 했다.
“저는 생각할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폴은 클리퍼스가 멤피스에게 내리 4연패를 하며 1라운드에서 떨어진 후에 이야기했다. “저는 무언가를 결정해야 하는 순간에, 부인과 부모님, 형제들에게 의견을 구합니다. 심지어 저의 어린 아들과도 대화를 나누기도 합니다. 가족들은 제가 마지막에 어떤 결정을 내릴지 지켜볼 것입니다.”
다시 한 번, 뭘 고민한다는 거지? 클리퍼스와의 2년여의 시간을 보낸 후, 폴이 클리퍼스가 현재까지 자신의 팀이였는지 아닌지 모른다는 것인가? 이 구단이 아직까지 그것을 스스로 입증하지 않았다는 것인가?
왜 기다려야 할까? 왜 그것에 대해 생각해야 할까? 도대체 대화의 주제는 무엇일까? 적어도 조금은 힌트를 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레이커스와 클리퍼스는 하워드가 폴이 FA가 되었을 때 최대 계약을 그들에게 안길 수 있다. 또한 두 구단 모두 그들에게 팀의 미래를 안길 의향이 있고, 그들에게 대부분의 것을 상의할 마음이 있다. 두 팀은 재계약을 위해 어떤 것이든 할 예정이다.
FA가 되기까지 다른 행보를 보인 이 두 명의 선수는 거의 정확하게 비슷한 이야기를 한 것이다.
이유는 무엇일까?
이러한 과정에 아직 익숙지 않은 사람들은 이러한 모습이 마치 한 편의 연극처럼 보일 것이다. 그저 시간을 계속해서 낭비할 뿐이고, 불필요한 감정싸움이고, 상황의 주도권을 얻기 위한 이러한 태도는 결국 그들을 촉박하게 할 거라고 생각한다. 물론 그들의 말이 잘못된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고민의 시간을 갖는 데는 매우 중요한 이유들이 있다.
“비즈니스적으론 굉장히 좋은 모습입니다.” NBA에서 오랫동안 에이전트 생활을 한 사람이 말했다. “앞으로 펼쳐질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기 전에, 팀의 로스터, 경영방식, 계약상황 등을 고려하며 고민하는 것은 선수에게 굉장히 흥미로운 일입니다.”
“FA 자격을 얻기 전에, 자격을 얻은 후에도, 결정을 내리기 위해 굉장히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고민하는 것은 단순히 부주의한 결정을 내리지 않기 위함이라고‘만’ 생각하지 않아요.”
“이러한 과정은 자신이 어떤 팀과 같은 철학을 공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러한 자신과 구단의 철학이 행동과 실천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모습을 과거의 엘튼 브랜드가 베런 데이비스에게 클리퍼스와 함께하자고 했던 일화와 유사하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하지만 브랜드는 마음을 바꿔 FA자격을 얻어 필라델피아로 가지 않았던가?
브랜드가 필라델피아와 계약을 맺은 며칠 후에 진행된 데이비스의 기자회견은 Southwest 항공의 광고 시나리오만큼 당황스러운 것이었다. 브랜드의 행동이 비판 받았지만, 데이비스와 그의 에이전트 또한 이러한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약간의 책임이 있는 건 분명했다.
모순적이게도 브랜드가 갑작스레 마음을 바꾼 이유들 중의 하나는, 스스로 협상 과정에서 악수를 뒀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브랜드는 클리퍼스에게 총 2700만 달러를 자신과 데이비스를 위해 준비하라고 요구했다. 이 요구는 자신이 연간 1400만 달러의 계약을 맺고, 데이비스는 1300만 달러의 계약을 맺는 것을 뜻했다. 그러한 요구가 있은 후, 브랜드의 에이전트인 데이비드 포크는, 자신이 협상 과정에 관여하였을 때, 클리퍼스는 실제로 브랜드에게 더 큰 계약을 안길 수 있고, 다른 선수들과도 충분히 계약하고도 남을 샐러리의 여유가 있다는 걸 알았다. 하지만 브랜드가 5년간 8000만 달러의 계약을 필라델피아와 맺었을 때, 클리퍼스는 협상을 끝내버렸다. 너무 늦게 깨달았던 것이다. 브랜드는 자신이 너무 성급했다는 걸 깨달았고, 상황에서 벗어나길 바랐다.
물론 이 일화를 크지 않은 일로 치부할 수 있다. 당사자 모두에게 이러한 오해의 책임이 있을 것이고, 이 사건의 진실은 둘 사이 어딘가에 숨어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 사건의 핵심적인 요점은 둘 모두에게 동일한 크기의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정에 앞서 늘 더 많은 고민과 시간이 필요하다. 세심한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얼핏 보아서는 세심한 것을 정확하게 볼 수 없다는 걸 유념해야 한다.
예를 들어, 두 선수 모두 동등하게 최대 계약을 맺을 수 없다고 생각해 보자. 어떤 선수는 짧은 기간의 계약을 맺을 수 있을 것이고, 5년 기간 중의 3년째 혹은 4년째 되는 해에 FA가 될 수 있는 선수 옵션이 포함된 계약을 맺을 것이다.
또 어떤 선수는 트레이드 거부권이 있는 계약을 맺을 것이다. 그리고 10월 1일 까지 계약 금액의 25%를 지불하는 조항을 요구할 것이다. 뛰어난 에이전트는 폴과 하워드와 같이 최대 계약을 요구할 수 있는 고객들에게 이러한 조항들을 요구하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뛰어난 에이전트는 폴과 하워드와 같은 선수들에게 모든 이로운 조항을 요구해야 한다고 말할지 모른다.
But there's always more to get. And the biggest get of all is a no-trade clause. Only Tim Duncan, Kobe Bryant, Dirk Nowitzki and Kevin Garnett have no-trade clauses -- a player must have eight years of service time, including four with the team that signs him -- to be eligible for a no-trade clause. (So neither Paul nor Howard would be eligible.)
그리고 늘 더 많은 것을 얻었다. 이러한 선수들에게 가장 중요한 조항은 트레이드 거부권이다. 8년간 한 팀에서 뛰어야 하고, 계약을 맺은 팀에서 4년 이상을 뛰어야만 사용할 수있는 이 조항은 리그 선수들 중에 팀 던컨, 코비 브라이언트, 덕 노비츠키, 케빈 가넷만이 가지고 있다. 폴과 하워드는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역주: 트레이드 거부권에 대해선 정확하게 몰라 원문을 그대로 옮겨 왔습니다).
4명의 살아있는 전설적인 선수들 중에서, 코비는 어떤 선수들보다 유리한 조건의 계약을 소속 팀과 맺었다. 그는 2013-14시즌에 리그에서 가장 많은 3040만 달러의 연봉을 받을 뿐만 아니라, ESPN의 샐러리 분석 담당 래리 쿤에 따르면, 코비의 계약은 코비에게 2013년 11월 1일까지 연봉의 80센트인 약 2440만 달러를 지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지불 형태는 새로운 CBA 협약에서 수정된 것이지만, 코비의 계약은 새로운 CBA 협약에서 제외되었고, 적어도 한 시즌 더 NBA에서 가장 많은 연봉과 선수에게 이로운 조항이 포함된 계약이 될 것이다.
“어느 정도 우리는 자신이 비즈니스맨이 되는 것에 자부심을 가져야 합니다.” 하워드의 상황에 대해 물었을 때, 코비는 이렇게 말했다. 물론 코비는 자신의 계약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약은 회계 담당자와 에이전트가 뛸 듯이 기뻐할 만한 계약은 아니다. 하워드와 폴의 계약은 그저 좀 더 단순하고 기본적인 부분에 관한 것이다.
자신이 소속된 구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는 자신의 농구 인생에서 쉽게 찾아오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농구 인생을 스스로 결정지을 수 있는 기회를 얻는 경우는 더욱 적다.
상황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힘이 있다. 그 힘은 오래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아주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니 폴과 하워드가 그 힘을 두고 고민하며 시간을 보낸다면, 그들을 이해해주자.
“이건 마치 고등학교 진학 과정과 비슷해요.” 다른 에이전트가 말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자신이 어디로 진학할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그들이 자신들의 결정에 좀 더 심사숙고한다면, 그들은 그 결정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할 것이고, 요구할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은 그저 마음과 머리를 가볍게 할 뿐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그들은 잠 못 이룰 정도로 장고(長考)의 시간을 갖죠.” 그들은 또한 결정을 내리기 전에 충분히 고민의 시간을 갖으며 농구와 인생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것이다.
원문
For the better part of the past two seasons, Dwight Howard's future defined his present.
Where he wanted to play became as important as where he was playing. Who he wanted to play with became more important than who he was currently playing with.
In Orlando, the year of Howard's monumental indecision became known as the "Dwightmare." At the end of his first season with the Los Angeles Lakers, Howard himself called it a "nightmare."
Now, finally, Howard is in a position to decide. To put an end to all this speculation and choose, once and for all, what he wants and where his future will be.
After such a long, arduous wait, you'd expect him to just blurt it out the first chance he got. To scream it from the rooftops and then lie down for a well-deserved nap.
Instead, he asked for more time.
"I'm going to take my time and get away from my phone and everything and just clear my head," Howard said after the Lakers were eliminated from the playoffs last week. "I think I deserve that right and that's what I'm going to do."
It was, more or less, exactly what he'd said all season. I'm not sure why anyone thought he'd suddenly change his tune 24 hours after the Lakers were eliminated. As if now that the games were over he could finally blurt out a secret he's been keeping for years.
But that's pretty much how his words landed.
Wait, after all this you need more time? What's there left to think about? Haven't you seen enough this season to know whether this whole Laker thing is for you?
A week later, but with far less consternation, Los Angeles Clippers star Chris Paul said almost exactly the same thing.
"I got a lot of time to think about that," Paul said after the Clippers were eliminated by the Memphis Grizzlies. "As I do with any decision I make, I consult with my wife, my parents, my brother, my family. I might even let little Chris chime in on this. We'll see what happens."
Again, what?
After two years with the Clippers, shouldn't Paul know whether this is for him or not by now? Hasn't the organization either proven itself worthy or not yet?
Why wait? Why think on it? What's there to consult about? At least give a little hint …
Both teams will give them the maximum allowable contracts when they become eligible on July 1. Both will cede them influence over organizational and personnel decisions. Both will do whatever it takes to re-sign them.
And yet two very different men, who've gone through the process toward free agency in very different ways, said and did almost exactly the same things.
Why?
To the untrained eye, it might seem like theater. Wasting time just to waste time, basking in the glow of unnecessary drama, reveling in the power the situation momentarily affords them. Some of that is true.
But there are also several other, important reasons to take time:
"It's just good business," said a high-profile NBA agent. "It's in a player's best interest to see what direction a team is headed (roster, management, cap space, etc.) before committing himself for a number of years.
"I am not sure it's that the player is being 'guarded' about his intentions as much as gathering all the available information at his disposal prior to and including when free agency begins.
"It's really about making sure you're philosophically on the same page with the team and also that they're backing up that philosophy with deeds and actions."
Or, if you're the pessimistic sort, making sure something really weird doesn't happen.
You know, like the time Elton Brand recruited Baron Davis to the Clippers, only to have Brand change his mind and bolt for Philadelphia as a free agent?
Davis' news conference, just days after Brand had signed with the 76ers, was as awkward as any Southwest Airlines commercial scenario. And there was little Davis or his agent could've done to prevent it.
Ironically, part of the reason Brand changed his mind is that he realized he had sold himself short.
He'd been told the Clippers had $27 million in cap space to divide between himself and Davis. The deal was for him to take $14 million a season and Davis to take $13 million a season.
Only later, when Brand's agent, David Falk, got involved, he knew the Clippers actually could make more room -- and give Brand more -- by renouncing the rights to several players.
The Clippers ended up doing that when the 76ers offered Brand a five-year, $80-million deal, but it was too late. Brand felt short-changed, and wanted to get away.
It might seem like a small thing. There may have been misunderstandings on both sides. The truth is probably somewhere in between. But the underlying point is the same:
There is always more to consider. The details matter. And you can't always see those details clearly at first glance.
For instance, not all "max contracts" are created equal. Some have early termination options and player options built in, which allow the player to become a free agent after both the third and fourth years of a five-year contract.
Some have full 15 percent trade kickers. Some include provisions to pay a player up to 25 percent of his salary before Oct. 1, which allows the player to invest all that money himself for longer.
Any good agent will ask for all of these perks for a client, like Paul or Howard, in position to command a "max contract."
Any good agent will likely get all these goodies for a player like Paul or Howard.
But there's always more to get. And the biggest get of all is a no-trade clause. Only Tim Duncan, Kobe Bryant, Dirk Nowitzki and Kevin Garnett have no-trade clauses -- a player must have eight years of service time, including four with the team that signs him -- to be eligible for a no-trade clause. (So neither Paul nor Howard would be eligible.)
Of those four aging legends, Bryant has by far the most lucrative contract in more ways than one. Not only will he make an NBA-highest $30.4 million in 2013-14, according to ESPN.com's salary cap analyst Larry Coon, Bryant's contract is structured to pay him $24,363,044 (or 80 percent) of his salary by Nov. 1, 2013.
That type of payment plan was amended in the new CBA, but Bryant's deal was grandfathered in -- which makes it the best contract in the NBA for at least one more season.
"We all pride ourselves on being businessmen to a certain extent," Bryant said, when asked about Howard's situation.
Indeed he is.
But this isn't just the type of thing accountants and agents get geeked up about.
It's about something far more simple and elemental.
There are just a few times in a player's career when he has the leverage to influence his franchise. There are even fewer times when a player has the opportunity to choose his own destiny.
There's power in those moments. Power that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because it doesn't last long.
So forgive Paul and Howard if they want to take their time with it.
"It's like high school recruiting," another agent said. "Most kids know where they're going, but the more attention is put on their decision, and the more time they have to think about it, the more time they'll take.
"They might say they don't like the attention, but they do."
They've also learned enough along the way to make that attention valuable.
첫댓글 늘 감사히 잘 보고있습니다^^
천천히 기다려보죠 ㅎㅎㅎ 번역 수고하셨습니다
내쉬가 있는 이상 폴이 오는 건 어렵겠죠? 내쉬를 끌고 가야하나;;
내쉬가 없어도 폴을 영입하는건 불가능하죠. FA로 잡으려면 레이커스가 샐러리캡 아래에서 맥시멈을 줄 수 있을만큼의 여유가 있어야만 합니다. 지금 레이커스는 불가능하죠. 또한 이미 징벌적 사치세 대상인 레이커스이기에 사인 앤 트레이드로도 폴을 얻을 수 없습니다.
내쉬가 있어도 폴을 잡을수 없나요? 내쉬한테 미안하지만 폴이 레이커스 왔으면 해서 힘들겠지만.....
NBA는 샐러리캡 제도란게 있어 폴같은 FA를 영입하려면, 샐러리캡 아래 맥시멈을 줄수 있는 여유가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하워드 재계약전 팀 페이롤이 20mil정도라면 하워드 재계약+폴 FA계약 가능하겠네요. 하지만 내년시즌 레이커스의 확정 샐러리만 최소 78mil이 넘는군요. 하워드 재계약하면 1억달러 가까울테구요.
내쉬가 은퇴해주고 가솔이 사면되면 사인앤트레이드로 가능하긴 합니다만 카드가없습니다
폴과 하워드를 레이커스라.. 참 희망고문이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할지는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 슬프게도 가솔은 확실히 내년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