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혜 테이크아웃·음복 도시락…진짜 퇴계 차례상이 돌아온다
퇴계 이황 불천위 제사가 비대면 디지털 방식으로 치러졌다. 온라인 중계 중인 제사 영상을 보며 절을 하는 유림의 모습. [사진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 중앙포토]
관혼상제 예법을 중요시하는 경북의 한 명문가 종손이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사회적 거리두기에 맞는 '설 차례' 예법을 제시했다.
'줌(ZOOM)' 이용한 디지털 불천위 제사도 등장
4일 칠곡군에 따르면 조선시대 공조참의를 지낸 석담(石潭) 이윤우(1569~1634) 선생의 16대 종손인 이병구(68)씨는 코로나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이번 설 차례를 5명이 넘지 않는 최소 인원으로만 지내기로 했다. 보통 설 차례엔 20명 이상의 친인척이 참석하는 게 이집의 전통이다.
이씨가 제시한 첫 번째 방법은 차례를 지낸 후 음식을 차려내지 않고, 각자 집에 돌아가서 먹을 수 있게 '음복 도시락'을 별도로 준비하는 것이다. 이름부터 생소한 음복 도시락은 차례 때 사용한 전·강정·과일·유과·약과 등으로 구성했다.
설 명절 종갓집 사당으로 참배 오는 마을 종친들을 위해선 식혜와 수정과를 마련했다. 그런데 이 것 또한 현장에서 바로 부어 마시는 게 아니라, '테이크아웃' 방식으로만 제공한다. 일회용 컵에 식혜 등을 담아서 빨대를 넣어 전달하는 형태다. 이씨는 테이크아웃을 위해 인터넷 쇼핑몰에 대형 보온통, 일회용 컵, 빨대를 주문했다.
음복 도시락과 테이크아웃 식혜 등을 준비한 석담 이윤우 선생의 16대 종손인 이병구씨. [사진 칠곡군]
이씨는 칠곡군 측에 "아무리 코로나 예방이 중요하지만, 참배를 마친 종친을 매정하게 빈손으로 돌려보낼 수 없지 않으냐. 음복 도시락과 테이크아웃 식혜 등을 준비한 이유"라고 전했다. 그는 설 명절 귀성과 모임을 자제하는 ‘명절은 집에서 스마일' 캠페인에도 동참했다.
한국국학진흥원도 눈길을 끄는 설 차례 예법을 소개했다. “음식 수를 줄이면서 가볍게 차례상을 차리는 게 외려 전통을 따르는 것”이라면서다. 퇴계 이황 종가의 차례상을 선보였다.
경북 안동시의 퇴계 이황(1501-1570) 종가는 설 차례상에 술·떡국·포·전 한 접시, 과일 한 쟁반만 올린다고 한다. 과일도 수북하게 쌓지 않는다. 대추 3개, 밤 5개, 배 1개, 감 1개, 사과 1개, 귤 1개만 쟁반에 담는단다.
제례 문화 지침서 『주자가례(朱子家禮)』에 근거가 있다. 『주자가례』에 따르면 설날은 새로운 해가 밝았음을 조상에게 알리기 위해 간단한 음식을 차리고 인사를 드리는 의식이다. 그래서 설날과 추석에는 제사를 지낸다고 하지 않고 차례(茶禮)를 올린다고 했다. 이를 보면 퇴계 종가의 차례상은 『주자가례』의 가르침을 충실히 따른 셈이다.
앞서 퇴계 종가는 450주년 불천위(不遷位) 제사를 디지털로 치르기도 했다. 불천위는 공훈이 있어 영원히 사당에 모시기를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를 의미한다.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은 지난달 21일 "1월 20일, 음력으로는 12월 8일 조선 성리학 스승 퇴계 선생의 불천위 제사가 안동 퇴계 종택에서 열렸다"며 "하지만 코로나 차단을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에 부응하고자 디지털 중계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이날 제사는 소수의 제관만 참여한 가운데 치러졌다. 퇴계종택에선 화상 프로그램인 '줌(Z00M)'을 활용해 불천위 제사를 온라인 중계했다. 제사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유림 등은 자택 등에서 노트북 영상으로 실시간 참제했다. 신주가 노트북 화면에 보이면 전통복장을 차려입고 절을 하기도 했다.
안동=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식혜 테이크아웃·음복 도시락…진짜 퇴계 차례상이 돌아온다
첫댓글 무슨 이런 제사가 다있답니까? 컴퓨터화면에 나타난 신위를 보고 절을 하다니... 에이...!
꼬아서보는게 많으신가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