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 소재, 일설에 다르면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태종 이방원에게 자신의 사후, 자신을 고향인 함흥 땅에 묻어 달라고 유언했지만 태종 이방원은 어찌되었든 개국 시조인 부왕을 수도인 한양에 가까이 모셔야만 자기의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태조 이성계의 왕릉을 한양 근처에 모시고자 했다.
한편으로 태종 이방원은 태조 이성계의 유언도 지키기 위해서 결국 함흥의 흙들과 억새를 가져다가 한양 인근에 건원릉을 단장했다고 전한다.
고려 태조 왕건의 '현릉'
북한 개성특별시 해선리 소재, 태조 왕건과 즉위 전부터 아내였던 신혜왕후 유씨와의 합장릉이다. 북한의 국보 제 179호이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개성 역사유적지구로 등재되었다.
현재 태조 왕건의 현릉은 북한의 개건 작업으로 단장된 모습이며, 봉분의 크기도 창업군주인 만큼 다른 고려 왕릉에 비해서 확연히 큰 모습을 보여준다. 무덤에서 벽화가 그려졌던 점, 부장품으로 전신 청동상이 출토되었다는 사실에서 보자면 고려 태조 왕건의 왕릉은 고구려 문화를 이어받은 흔적이 많다.
가야 수로왕 김수로의 '수로왕릉'
대한민국 경상도 김해시 소재, 가락국(금관가야)의 시조이자 김해 김씨의 시조로 알려진 수로왕의 무덤으로 납릉(納陵)이라고 부른다. 『세종실록』 에서도 선조대 왕릉으로 특별 관리를 받았던 기록들이 보인다.
1580년(선조 13)에 수로왕의 후손인 허수가 수로왕비릉과 더불어 크게 정비하여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芝峰類洩)』 에 따르면 수로왕릉이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게 도굴을 당하여 내부가 드러났는데, 순장된 여자 시신 두 구가 있었다고 한다. 기록을 신뢰한다면 수로왕릉은 석실묘였던 셈이다.
고구려 동명성왕 고주몽의 '동명왕릉'
북한 평양직할시 력포구역 룡산리 소재, 알려진 걸로는 장수왕의 평양 천도 이후 고구려의 시조 동명성왕의 왕릉을 도읍 인근에 이장했다고 하지만... 근거는 확실한 게 없어 보인다.
하지만 규모상 예전부터 고구려의 왕릉으로 인식되어 조선 왕실에도 제사받은 기록이 존재하고, 무덤 자체도 5-6 세기 고구려의 고분 형태인 것은 확실하기에 고구려 고분군의 자격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선정되었다.
현재 모습은 북한의 개건 작업으로 왕릉이 원래 모습에 비해 확장된 모습이다.
* 중국의 집안 고분군에서만 보던 연꽃무늬가 발견된 굴식 돌방무덤 형태의 고구려 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