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시점 : 즉시보도
배포일시 : 2025. 3. 27(목) / 총 2매 / 사진 있음
담당부서 : 정책지원처
담당자 :
김 기 용 처장 ☎(054)459-7420
김 시 은 선임연구원 ☎(054)459-7456
TS 모빌리티지원센터, 모빌리티 혁신‧활성화 앞장
- 모빌리티지원센터, 규제샌드박스 운영‧모빌리티 특화도시 육성 등 견인 -
- 공단 SNS를 활용한 모빌리티 개념 및 관련 사업 소개 등 활동 지속 -
□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용식, 이하 TS)은 국내 최초로 ‘모빌리티지원센터’로 지정되어 국내 모빌리티 혁신을 이끌고 있다.
ㅇ 또한, TS는 또한 모빌리티*의 개념을 국민께 알리기 위한 소통형 홍보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 모빌리티(Mobility): 사람 또는 물건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운송하는 행위, 이와 관련된 이동수단 등을 뜻하며, 수요자 관점에서 사람들이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와 기술을 포괄하는 개념
□ TS는「모빌리티 혁신 및 활성화 지원에 관한 법률」제7조에 따라 정부의 모빌리티 혁신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국가 전담기관인 ‘모빌리티지원센터’로 2023년 10월 지정되었다.
ㅇ TS는 모빌리티지원센터를 통해 규제샌드박스 추진을 비롯해 첨단모빌리티 현황조사, 지자체 모빌리티 개선계획 수립 지원, 모빌리티 특화도시 지원 등 다양한 지원활동을 펼치고 있다.
ㅇ 특히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는 새로운 모빌리티 기술의 시장 진출을 돕는데 큰 보탬이 되고 있다. 규제샌드박스는 모빌리티와 관련된 새로운 수단과 기반시설,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하여 일정한 조건(기간, 장소, 규모 등) 아래 현행 규제를 면제 또는 유예하여 시장 진출을 위한 시험과 검증이 가능토록 특례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ㅇ TS는 민간기업 맞춤형 실증특례 추진으로 승인 소요기간이 24일 단축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또한 90개사에 대해 총 209회의 사업계획 보완과 개선사항 컨설팅을 진행하여 규제샌드박스 신청기업의 만족도 조사결과, 91.4%가 ‘만족’하는 성과를 거뒀다.
ㅇ 아울러, TS는 지난해 4개 지자체에 대해 모빌리티 특화도시를 지정하여 관리하고, 모빌리티 기반시설 구축과 첨단모빌리티 도입 등으로 국민께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도시 조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 TS는 최근 전동킥보드, 세그웨이(Segway)*, 공유자동차 등 새로운 모빌리티가 등장함에 따라 국민이 모빌리티에 대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를 펼치며, 모빌리티 관련 정책들을 적극 소개하고 있다.
*세그웨이: 전동자기균형이동장치로, 사람이 몸을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이동
ㅇ 특히 2024년에는 모빌리티지원센터의 역할과 비전을 담은 홍보물품과 리플릿을 제작하여 배포하였고, 5분 분량의 홍보영상(국문‧영문)을 제작하여 TS 공식 유튜브 ‘교통안전TV’에 업로드하여 누구나 시청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
□ TS는 올해도 모빌리티지원센터의 주요 역할과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기 위해 카드뉴스와 숏폼(Short-form)을 제작하여 TS 공식 SNS 채널(인스타그램, 유튜브, 블로그 등) 에 꾸준히 홍보할 계획이다.
ㅇ 특히 TS 공식 캐릭터인 ‘탠주’를 활용한 홍보 콘텐츠 제작으로 국민의 관심을 높이고, 모빌리티 관련 사업에 대한 보도자료를 배포 등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 정용식 이사장은 “TS 모빌리티지원센터는 국내 모빌리티 산업 발전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올해도 국민께 모빌리티의 개념과 함께 모빌리티지원센터의 다양한 역할을 홍보하여 국민과 적극 소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교통안전공단 대외협력실 김기욱 과장(☎054-459-703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