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디어행동 등 언론단체는 지난해 7월 11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KBS 이사회를 상대로 KBS 도청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 언론노조 | 지난해 6월 민주당의 KBS 수신료 인상과 관련한 비공개 회의 내용을 도청했다는 의혹을 받았던 KBS 장 모 기자가 “모든 것이 내가 한 것처럼 알려져 나도 억울하다”며 자신의 심경을 고백해 파장이 일고 있다.
KBS 새노조는 장 기자와의 대화를 근거로 장 기자 외의 다른 KBS 인사가 녹취록을 당시 한나라당에 전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장 기자와 KBS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하고 있어 이 사건의 진상규명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붙을 전망이다.
KBS 새노조는 10일 공개한 <파업특보>를 통해 ‘민주당 당대표실 불법 도청사건’의 핵심이 도청이 아닌 녹취록의 ‘정치적 유출’이라고 강조했다. 새노조는 “녹취록의 정치적 유출이 KBS내부 소행임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새노조는 장 모 기자가 당시 “나는 도청도 하지 않고 건네주지도 않았는데 모든 것이 내가 한 것처럼 알려져 나도 억울하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장 기자의 말대로라면 도청을 한 사람, 녹취록을 전달한 사람은 따로 있고, 장 기자가 억울하게 이 사건을 뒤집어쓰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앞서 'KBS 도청사건’에 대해 미디어행동 등 언론단체는 지난해 7월 11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KBS 이사회를 상대로 KBS 도청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여태 KBS 이사회는 이에 대한 자체 진상조사를 벌인 바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KBS 새노조는 정 기자의 발언을 두고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들을 종합하면 해당 조합원의 핸드폰이 당 대표실에 있었던 것은 확실해 보이지만 그 핸드폰을 해당조합원이 직접 당 대표실에 갖다 놓은 것은 아닐 수 있다”며 “자신은 건네주지 않았는데, 모든 것이 내가 한 것처럼 알려졌다고 한 말은 KBS 내부에 이 녹취록을 건넨 사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조합원은 이 사람이 누구인지를 알고 있다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KBS 새노조는 또 “핸드폰으로 녹음하거나 녹취록을 만든 사람들은 해당조합원처럼 모두 말단 기자였을 것”이라며 “문제는 이 녹취록을 보고 검토한 뒤 정치적으로 이를 이용하기 위해 한선교 의원실에 전달한 사람이 KBS 내에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핵심요직에 여전히 건재함을 이 조합원은 암시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
ⓒ KBS 새노조 | 그러나 장 기자의 발언을 놓고 당사자인 장 기자와 KBS 사측은 새노조의 주장이 왜곡됐다며 반박하고 있다. 장 기자는 10일 <미디어오늘>과 전화통화에서 “드릴 말씀이 없다”며 이번 파문에 대한 언급을 회피했다.
배재성 KBS 홍보실장은 “장 기자 본인은 사실무근이라고 하고 있고, 현재 반박문을 작성중”이라며 “KBS 새노조 간부가 한달 전쯤 만나자고 해서 갔는데, 도청한 사실에 대해 알려달라길래 장 기자는 ‘도청한 적도 없고, 녹취록 전달한 적도 없다’며 도청 사실자체를 부인했다고 한다. 그런데 새노조에서 자신의 발언을 각색하고 왜곡했다는 입장”이라고 이번 비판에 대한 사측의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도청의혹 사건’이란?
‘민주당 도청 의혹 사건’은 2011년 6월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이 민주당을 도청했다는 의혹을 산 사건으로, 의혹만 남긴 채 경찰수사가 종료되었다. 한선교 의원 2011년 6월 24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전날 열린 KBS 수신료 인상 관련 민주당 비공개 회의록을 공개해 파문이 일었다.
이에 민주당은 한 의원이 도청을 했다며 의혹을 제기하며 경찰수사를 의뢰했다. 이에 경찰은 도청 당사자로 지목된 장 모 기자를 세 차례 소환하고, 한 의원을 10월 초 한 차례 서면조사했지만 의혹만 남긴 채 실체를 밝히지는 못했다.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11월 2일 한 의원과 KBS 기자 장 모 씨를 ‘증거 불충분에 따른 무혐의’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경찰은 장 씨의 자백이나 도청 목격자, 녹음기 등 직접적인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고, 한 의원에게 녹취록이 전달된 경로도 입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경찰은 4개월 이상 끌어온 이 사건의 실체를 밝혀 내지 못하고 수사를 마무리함에 따라 부실.늑장 수사라는 따가운 비판을 받았다. 경찰은 수사 착수 열흘 뒤에야 장 기자의 자택을 압수수색했으며, 국회 회기 중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 의원 소환조사를 하지 않아 애초부터 수사 의지가 부족했다는 비난을 샀다. | |
첫댓글 꼭~ 19대에서 밝혀야하는 사건 ~~ 잊지 말아야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