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도사의 봄 ♧
( 2014년 3월 16일의 통도사)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48D4253255B090A)
한국 3대 사찰의 하나로,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있어 불보(佛寶)사찰이라고도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45203D53255A7A20)
영축총림. 일주문이지만 출입구가 세개로 형태가 독특 하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71583D53255A7A10)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3C33D53255A7C23)
![](https://t1.daumcdn.net/cfile/cafe/240BB43D53255A7C05)
![](https://t1.daumcdn.net/cfile/cafe/224AF4345311814316)
통도사의 홍매화
![](https://t1.daumcdn.net/cfile/cafe/234CED3D53255A7C1E)
수령 350여년 된 홍매화(紅梅花)를 보기 위해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들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93F3D53255A7D0C)
![](https://t1.daumcdn.net/cfile/cafe/25543E3D53255A7D1B)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2FD3D53255A7D09)
부처의 진신사리(眞身舍利)
![](https://t1.daumcdn.net/cfile/cafe/247F4E3F53255A2303)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D743F53255A2428)
![](https://t1.daumcdn.net/cfile/cafe/2765063F53255A240E)
![](https://t1.daumcdn.net/cfile/cafe/2372A13F53255A2407)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4D03F53255A2406)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CAE3F53255A251A)
사찰의 기록에 따르면 통도사라 한 것은, 이 절이 위치한 산의 모습이 부처가 설법하던 인도 영취산의 모습과 통하므로
통도사라 이름했고(此山之形通於印度靈鷲山形), 또 승려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이 계단(戒壇)을 통과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했으며(爲僧者通而度之), 모든 진리를 회통(會通)하여 일체중생을 제도(濟道)한다는 의미에서
통도라 이름지었다고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02B13F53255A2502)
천왕문을 지나면 처음 만나게 되는 건물이 극락보전 입니다. 정면 3칸, 측면 3칸 건물로
고려 공민왕 18년인 1369 년 창건되었으나 현재 건물은 18세기 초에 중건된 것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4A413F53255A251B)
![](https://t1.daumcdn.net/cfile/cafe/24445D3D53255A2620)
이 절의 창건 유래에 대한 《삼국유사》의 기록을 보면 신라의 자장(慈藏)이 당나라에서 불법을 배우고 돌아와
신라의 대국통(大國統)이 되어 왕명에 따라 통도사를 창건하고 승려의 규범을 관장, 법식(法式)을 가르치는 등
불법을 널리 전한 데서 비롯된다. 이때 부처의 진신사리를 안치하고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아, 승려가 되고자
원하는 많은 사람들을 득도케 하였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68133D53255A2611)
국보 290호인 금강계단과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봉발형 부도. 통도사가 불보사찰임을
증명해 주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1C213D53255A2632)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seoulpost.co.kr%2Fpaper%2Fdata%2Fnews%2Fimages%2F2013%2F04%2F1_L_1365928367_7.JPG)
![](https://t1.daumcdn.net/cfile/cafe/214B7F3D53255A271E)
조선시대부터 소나무(松)와 대나무(竹)와 함께 세한삼우(歲寒三友)의 하나로 절개를
상징해 온 매화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히 는 홍매화는 가장 먼저 화신(花信)을 알리는
꽃으로도 유명하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5A213D53255A2718)
영산전 앞에서.... 동서로 약사전과 극락전을 거느린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0337723E5136355F10)
영산전 내부와 1775년 영조 51년 제작된 팔상도 (보물 1041호) 입니다. 부처님의 일생을
8장의 그림으로 그린 이 팔상도는 산수화 기법을 도입한 힘차고 웅대한 걸작으로 평가
된다. 이 팔상도 이외에 법화경의 여러 내용을 담은 그림과 이불병좌의 다보탑
그림도 있으며 본존불은 석가모니불 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21B93D53255A2730)
![](https://t1.daumcdn.net/cfile/cafe/211C803D53255A2730)
![](https://t1.daumcdn.net/cfile/cafe/2160863F53255A2810)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1513F53255A282E)
석당간 입니다. 통도사는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얻어온 부처님의 정골 (頂骨),
사리 그리고 석가모니부처님이 입었던 친착가사 (親着袈裟) 를 모셔 세운 절로 신라에도
불신 (佛身) 이 상주하는 영취산이 있음을 표방하였다고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
통도사 입구의 식사와 찻집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E693E53255B1E33)
![](https://t1.daumcdn.net/cfile/cafe/2348E33E53255B1E2F)
▼ 통도사 입구의 동심. 홍합밥의 맛집 ▼
홍합밥과 봄나물의 (해조류)조화
거창한 차림의 밥상은 아니지만 친환경 먹거리로
차려지는 깔끔하고 담백하며 건강을 생각한 웰빙밥상이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0E413E53255B1E12)
![](https://t1.daumcdn.net/cfile/cafe/2172503E53255B1F1E)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seoulpost.co.kr%2Fpaper%2Fdata%2Fnews%2Fimages%2F2013%2F04%2F1_L_1365928367_7.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media.slrclub.com%2Fmain%2F2012%2Fcommon%2Ficon_fullsizeim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