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은 동계 사료작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라남도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 파종 연시회를 전남 장성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연시회는 전남 조사료 생산공급 기지화 설명과 함께 기후변화에 대응한 사료작물의 안전 재배관리 교육, 그리고 동계 사료작물 파종 연시 등 사료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 연시가 진행되었습니다.
이제 겨울철에도 유휴 토지없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구요?!! 겨울철 사료작물을 재배를 통해 노는 땅이 없이 재배하여 식량자급률도 높이고 농가소득을 올리는 제 2의 녹색혁명을 위한 굳은 결심을 가진 전라남도 박준영 도지사의 말씀이 이어졌습니다.
<박준영 전라남도지사> 지난 구제역 파동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많은 소들이 도살되었고, 그 농가에 대한 피해가 매우 크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남은 조사료를 직접 재배하여 소에게 먹이는 비율이 40%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다른 지역보다 피해가 적었다고 합니다.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김원호박사> 그리고 우리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원호박사의 말씀이 이어졌습니다. 김원호 박사는 겨울철 사료작물 필요성과 중요성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해 전하였습니다. 국제적으로 곡물생산량은 감소하나 수요가 증가하는 형태로 조사료의 생산량을 증진시기 위해서 다양한 품종의 조사료를 연구 중 이라고 하였습니다.
<김 양 장성군수> 다음은 장성 김양수 군수님의 말씀이 이어졌습니다. 저렴한 수입소에도 움직임이 없는 한우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조사료용 기계와 장비를 농축협과 협약하여 92개 농기계를 마련하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연시회가 끝나고 박준영 도지사를 비롯한 참가자들에게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 졌습니다.
<참가자들에게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청보리 재배의 필요성을 알리는 교육의 모습> 영토가 좁은 우리나라에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의 생산면적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생산성을 위해 적지파종 적량파종 후 진압이 최우선이라고 하였습니다.
남부지방은 10월 상순에 ha당 50kg을 파종할 경우 생산성을 보장 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파종방법도 산파보다는 조파(기계)파종을 권장하며, 파종 후 진압은 발아 및 정착율 향상과 초기생육촉진을 위한 작업으로 적기, 적량파종, 그리고 진압작업을 권장한다고 하였습니다 다음은 직접 종자를 농기계를 이용한 파종을 하는 작업을 실시 하였습니다.
시연회에서 소개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조단백질과 가소화양분 함량이 많아 사료가치가 우수하고, 당분함량이 높아 사일리지 품질이 최고이며 가축 기호성이 매우 탁월합니다. 또한 IRG 사일리지를 가축에 급여했을 때, 볏짚에 비해 거세한우는 일당증체량이 22% 증가, 젖소는 산유량이 13% 증가하여 사료가치가 매우 높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청보리는 사료비 감소와 근내지방도 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교육을 듣는 참가자들의 모습> 그럼 양질의 조사료에서 단점이 있다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도복이 잘 되어 기계화 수확작업에 다소 불리하며 청보리는 수량감소 습도에 다소 약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와 청보리를 혼파재배를 통해 상호보완을 하고 수량보완과 생산량증대 등 사료가치 개선효과를 가져와 우리 축산경영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하였습니다.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청보리 혼파 잇점입니다. – 출처 (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혼파의 장점> <IRG와 청보리 혼파 건물수량 비교(톤/ha)>
<혼파 재배 시 주의사항> 청보리의 비율을 3:7로 습답인경우 7:3으로 해주어야 합니다. *********************** 시연회에서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대한 소개도 있었습니다. 코스피드 (조생종), 코윈어리(조생종), 코그린(조생종), 코윈마스터(중생종), 화산 101호(만생종)이 소개되었습니다. 개발된 조생·중생·만생 신품종의 영농현장 적용으로 이용기간 연장과 작부체계의 다양화 및 농기계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조생종 라이그라스 이용을 시작으로 중생종, 만생종, 다음 재생되는 조생종 순으로 이용한다면 기대이상의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참가자들을 위한 안내책자 교부 및 유제품 시음>
<운동장에 전시 된 농기계>
<내부를 보여주면서 기계의 장단점을 설명하는 모습> 우리나라 가축두수는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쇠고기 우유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초지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사료작물면적이 정체되어 5%수준으로 낮게 측정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리 축산 농업에 한 줄기 빛을 드리기 위해 농촌진흥청은 조사료 품종 연구 및 개발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 중이고 종자를 공급하면서 고품질 저비용 축산물이 만들기 위해 앞으로 더 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 입니다. |
|
첫댓글 잘~보고 갑니다..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