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목 : 가스안전관리
1. 에어졸의 제조는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용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틀린 것은?
① 용기 내용적이 100cm3를 초과하는 용기의 재료는 강 또는 경금속을 사용한 것일 것
❷ 내용적이 80cm3를 초과하는 용기는 그 용기의 제조자의 명칭이 명시되어 있을 것
③ 내용적이 30cm3 이상인 용기는 에어졸의 충전에 재사용하지 아니 할 것
④ 금속제의 용기는 그 두께가 0.125㎜ 이상이고 내용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할 것
2. 다음은 LPG를 수송할 때 주의 사항을 나타낸 것 이다. 틀리는 것은?
① 운전 중이나 정차 중에도 허가된 장소를 제외하고는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된다.
② 운전자는 운전기술 외에 LPG의 취급 및 소화기 사용 등에 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❸ 누설됨을 알았을 때는 운행을 중지하지 않고 가까운 경찰서, 소방서에 알린다.
④ 주차할 때는 안전한 장소에 주차하며, 종사원은 멀리가지 않는다.
3. 다음 중 분해에 의한 폭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❶ 시안화수소 ② 아세틸렌
③ 히드라진 ④ 산화에틸렌
4. 인화점이 -30℃로 전구 표면이나 증기파이프에 닿기만 해도 발화하는 것은?
❶ CS2 ② C2H2
③ C2H4 ④ C3H₈
5. 고압가스 설비에 장치하는 압력계의 최고 눈금은?
① 내압시험 압력의 1배 이상 2배 이하이다.
❷ 상용압력의 1.5배 이상 2배 이하이다.
③ 상용압력의 2배 이상 3배 이하이다.
④ 내압시험 압력의 1.5배 이상 2배 이하이다.
6. 고압가스 용기 보관 장소에 충전용기를 보관할 때의 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충전용기와 잔가스용기는 각각 구분하여 용기보관 장소에 놓을 것
❷ 용기보관 장소의 주위 12m이내에는 화기 또는 인화성 물질이나 발화성 물질을 두지 아니할 것
③ 충전 용기는 항상 4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조치할 것
④ 가연성 가스 용기보관 장소에는 방폭형 휴대용 손전등 외의 등화를 휴대하고 들어가지 아니할 것
7. 도시가스의 배관장치를 해저에 설치하는 아래의 기준 중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배관은 원칙적으로 다른 배관과 교차하지 않을 것
② 배관의 입상부에는 방호 시설물을 설치할 것
❸ 배관은 원칙적으로 다른 배관과 20m의 수평거리를 유지 할 것
④ 해저면 밑에 배관을 매설하지 않고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저면을 고르게 하여 배관이 해저면에 닿도록 할 것
8. 액체 연료의 연소 시 1차 공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노즐에서 연료와 함께 혼합되어 공급되는 공기
② 연료를 무화할 때 사용하는 공기
❸ 연소하여 발생한 가스를 완전 연소 시킨 후의 계산상 공기
④ 액체연료는 버어너에서 공급되는 공기
9. 가연성 가스의 제조설비에서 오조작되거나 정상적인 제조를 할 수 없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원재료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등 제조 설비내의 제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❶ 인터록 기구 ② 가스누설 자동차단기
③ 벤트 스택 ④ 플레어 스택
10. 도시가스 배관 중 관경 15㎜인 배관의 고정장치는 몇 m마다 설치해야 하는가?
① 1 ❷ 2
③ 3 ④ 4
11. 다음 중 독성가스의 허용농도가 잘못된 것은?
❶ CO - 500ppm ② F2 - 0.1ppm
③ O3 - 0.1ppm ④ HF - 3ppm
12. 가정용 액화 석유가스(LPG)연소 기구의 부근에서 가스가 새어 나올 때의 적절한 조치 방법은?
① 용기를 안전한 장소로 옮긴다.
❷ 용기의 메인 밸브를 즉시 잠근다.
③ 물을 뿌려서 가스를 용해시킨다.
④ 방의 창문을 닫고 가스가 다른 곳으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13. 액화 부탄 50kg을 충전하기 위한 용기의 내용적은 몇 ℓ인가? (단, C=2.05이다.)
❶ 102.5 ② 70
③ 40 ④ 27.
14. 다음 중 당해 설비내의 압력이 상용압력을 초과할 경우 즉시, 사용압력 이하로 되돌릴 수 있는 안전장치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안전밸브 ❷ 감압밸브
③ 바이패스밸브 ④ 파열판
15. 액화 석유가스 용기에 가장 적합한 안전밸브는?
① 가용전식 ❷ 스프링식
③ 중추식 ④ 파열판식
16. 아세틸렌 용기충전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① 용기의 총질량(TW)은 용기질량에 다공물질량, 밸브질량, 용제질량을 합한 질량이다.
② 충전 후 약 24시간동안 정치시킨 후 출하하는 것이 좋다.
❸ 충전은 가급적 단시간 내에 규정된 양을 충전하는 것이 좋다.
④ 충전라인의 압력계를 2.5MPa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17. 액화석유스 저장능력이 몇 Kg 이상인 고속도로 휴게소에는 소형 저장탱크를 설치해야 하는가?
❶ 500Kg ② 1000Kg
③ 1500Kg ④ 2000Kg
18. 도시가스배관을 시가지외의 도로, 산지, 농지 등에 매설하는 경우 표지판의 바탕색과 글씨 색은?
❶ 황색, 검정색 ② 흰색, 검정색
③ 흰색, 빨강색 ④ 검정색, 흰색
19. 특정 제조시설에서 안전구역내의 고압가스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다른 안전구역내의 고압가스 설비와 몇 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가?
① 10m ② 20m
❸ 30m ④ 40m
20. 가연성가스와 동일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충전용기의 밸브가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적재해야할 가스는?
① 수소 ❷ 산소
③ 질소 ④ 알곤
21. 산소의 처리설비로서 1일 처리능력 35,000m3이다. 전용공업지역이 아닌 지역일 경우 처리설비 외면과 사업소밖에 있는 병원과는 몇 m 이상 안전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① 16m ② 17m
❸ 18m ④ 20m
22. 고압가스 운반책임자를 꼭 동승하여야 하는 경우이다. 잘못된 것은?
① 압축가스인 수소 500m3를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② 압축가스인 산소 800m3를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❸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한 납붙임 용기 1000kg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경우
④ 액화천연가스를 충전한 탱크로리로서 3000kg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경우
23. 다음 경계표시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사업소의 경계표시는 당해 사업소의 출입구등 외부에서 보기 쉬운 곳에 게시한다.
② 가스의 성질에 따라 "연"자 또는 "독"자를 표시하고, 충전용기 및 그 밖의 용기의 보관 장소는 구분한다.
③ 운반차량의 경계표시는 차량의 앞뒤에서 볼 수 있도록 적색글씨로 "위험 고압가스"라 표시한다.
❹ 도시가스 배관을 철도부지내 배관 시 1000M 이하의 간격으로 배관의 표시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24. 관의 구부러진 부분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은?
① 니플 ② 캡
③ 유니온 ❹ 엘보
25. 가연성 가스의 공기 중 폭발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① 프로판 ❷ 아세틸렌
③ 부탄 ④ 메탄
26. 다음 중 폭굉이란 용어의 해석 중 적합한 것은?
① 가스중의 폭발 속도보다 음속이 큰 경우로 파면선단에 충격파라고 하는 솟구치는 압력파가 생겨 격렬한 파괴작용을 일으키는 현상
② 가스중의 음속보다 폭발속도가 큰 경우로 파면선단에 충격파라고하는 솟구치는 압력파가 생겨 격렬한 파괴작용을 일으키는 현상
❸ 가스중의 음속보다 화염전파속도가 큰 경우로 파면선단에 충격파라고 하는 솟구치는 압력파가 생겨 격렬한 파괴작용을 일으키는 현상
④ 가스중의 화염전파속도보다 음속이 큰 경우로 파면선단에 충격파라고하는 솟구치는 압력파가 생겨 격렬한 파괴작용을 일으키는 현상
27. 용기종류별 부속품 기호가 틀리는 것은?
① AG : 아세틸렌가스를 충전하는 용기의 부속품
② PG : 압축가스를 충전하는 용기의 부속품
③ LPG :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는 용기의 부속품
❹ TL : 초저온용기 및 저온용기의 부속품
28. 다음 가스 누설 시 가장 위험성이 큰 가스는?
① 수소 ❷ 아세틸렌
③ 프로판 ④ 산화에틸렌
29. 다음은 액화 석유가스의 저장소에 관한 시설 및 기술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아니한 것은?
① 지표면 아래의 장소에는 용기를 보관하지 아니한다.
❷ 저장설비에 등화를 휴대하고 출입 시는 일반 등화를 휴대해야 한다.
③ 파렛트에 넣어 집적된 용기의 높이는 5m 이하로 한다.
④ 용기보관 바닥으로부터 3m이내의 도랑이 있을 경우에는 방수재료로 이중 복개한다.
30. 다음 기술 중 금속재료에 대한 가스의 작용에 대하여 올바른 것은?
① 수분을 함유한 염소는 상온에서도 철과 반응하지 않으므로 철강의 고압용기에 넣을 수 있다.
② 아세틸렌은 강과 직접 반응하여 폭발성 아세틸리드를 생성한다.
❸ 일산화탄소는 철족의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카아보닐을 생성한다.
④ 수소는 저온, 저압하에서 질소와 반응하여 암모니아를 생성한다.
2과목 : 가스장치 및 기기
31. 다음은 고압가스 제조장치의 재료에 관한 사항이다. 이 중 틀린 것은?
① 암모니아 합성탑 내통의 재료로서는 18-8 스테인레스강을 사용한다.
② 아세틸렌은 동족(銅族)의 금속과 반응하여 금속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한다.
③ 상온건조 상태의 염소가스에 대하여는 보통강을 사용한다.
❹ 탄소강의 충격치는 -30°에서 거의 0으로 되며 이 성질은 탄소강의 탄소함유량에 따라 현저하게 변한다.
32. 액화가스 충전에는 액펌프와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압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충전시간이 짧다.
❷ 베이프록 등으로 운전상 지장이 일어나기 쉽다.
③ 재액화 현상이 일어난다.
④ 잔가스의 회수가 가능하다.
33. 강관의 녹을 방지하기 위해 페인트를 칠하기 전에 먼저 사용되는 도료는?
① 알루미늄 도료 ② 산화철 도료
③ 합성수지 도료 ❹ 광명단 도료
34.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낮아져 탱크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와 관계없는 것은?
① 압력계 ② 진공 안전밸브
③ 압력경보설비 ❹ 벤트스택
35. 공기를 압축하여 냉각시키면 액화되는데, 비점차이에 의한 액화 분리에 관한 설명이 옳은 것은?
❶ 산소가 먼저 액화된다.
② 질소가 먼저 액화된다.
③ 산소와 질소가 동시에 액화된다.
④ 산소와 질소는 분리 액화되지 않는다.
36. 저온장치 내부에서 수분과 탄산가스가 존재 되었을 때 미치는 영향 중 옳은 것은?
❶ 얼음 및 드라이아이스가 생성된다.
② 수분은 윤활제로서 역할을 한다.
③ 가연성 가스가 침입될 시 안정제가 된다.
④ 오존이 들어오면 중화시킨다.
37. 고압가스 매설관의 부식에 대한 전기방식에 있어서 외부전원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① 전극의 소모가 적어서 관리가 용이하다.
② 전압, 전류의 조정이 용이하다.
③ 전식에 대해서도 방식이 가능하다.
❹ 과방식의 염려가 없다.
38. 다음 유량계 중 직접 유량계에 속하는 것은?
① 피토우관 ② 벤튜리미터
❸ 습식 가스미터 ④ 오리피스
39. 부식성 유체나 고점도의 유체 및 소량의 유체 측정에 가장 적합한 유량계는?
① 차압식 유량계 ❷ 면적식 유량계
③ 용적식 유량계 ④ 유속식 유량계
40. 다공물질의 용적이 150m3이며 아세톤 침윤 잔용적이 30m3일 때의 다공도는 몇 % 인가?
① 30 ② 40
❸ 80 ④ 120
41. 고압식 액체산소분리 장치의 원료공기에 대한 기술 중 틀리는 것은?
① 탄산가스가 제거된 후 압축기에서 압축된다.
② 압축된 원료공기는 예냉기에서 나온 질소가스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③ 건조기에서 수분이 제거된 후에는 팽창기와 정류탑의 하부로 열교환하며 들어간다.
❹ 압축기로 압축한 후 물로 냉각한 다음 축냉기에 보내진다.
42. LP가스를 자동차용 연료로 사용 시 장, 단점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배기가스에는 독성이 적다
② 발열량이 높고 완전연소하기 쉽다
③ 기관의 부식 마모가 적다
❹ 시동 시 급가속이 용이하다
43. 급배기 방식에 따른 연소기구 중 실내에서 연소용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방출하는 방식은?
❶ 개방형 ② 옥외 방출형
③ 밀폐형 ④ 반밀폐형
44. 프로판(C3H8)의 비중이 1.5이고 입상관의 높이가 25[m]일 때 압력손실은 얼마인가?
① 13.4 [㎜Aq] ❷ 16.2 [㎜Aq]
③ 19.2 [㎜Aq] ④ 22.4 [㎜Aq]
45. 다음은 압력계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자유 피스톤식 압력계는 브로돈관 압력계의 눈금교정에 사용한다.
❷ 브로돈관 압력계는 고압장치에 많이 사용되며 1차 압력계이다.
③ 다이어프램 압력계는 부식성 유체의 측정에 알맞다.
④ 피에조 전기 압력계는 가스폭발이나 급속한 압력변화를 측정하는데 유효하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② | ③ | ① | ① | ② | ② | ③ | ③ | ① | ②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① | ② | ① | ② | ② | ③ | ① | ① | ③ | ②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③ | ③ | ④ | ④ | ② | ③ | ④ | ② | ② | ③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④ | ② | ④ | ④ | ① | ① | ④ | ③ | ② | ③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④ | ④ | ① | ② | ② | ② | ③ | ② | ③ | ③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② | ④ | ① | ④ | ① | ③ | ① | ① | ② | ① |
3과목 : 가스일반
46. 다음은 산소(O2)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무색, 무취의 기체이며, 물에는 약간 녹는다.
❷ 가연성 가스이나 그 자신은 연소하지 않는다.
③ 용기의 도색은 일반 공업용이 녹색, 의료용이 백색이다.
④ 용기는 탄소강으로 무계목 용기이다.
47. 다음은 메탄의 성질이다. 틀리는 것은?
① 염소와 반응 시키면 염소 화합물을 만든다.
② 무색, 무취의 기체로 잘 연소한다.
❸ 무극성이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크다.
④ 고온에서 수증기 또는 산소를 반응 시키면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한다.
48. 다음 중 CO2의 용도에 해당되는 것들로 짝지워진 것은?
① 청량음료수 제조, 살균제
❷ 소화제, 청량음료수 제조
③ 살균제, 소화제
④ 냉각제, 살균제
49. 유리병에 보관해서는 안 되는 가스는?
① O2 ② Cl2
❸ HF ④ Xe
50. 다음 압력의 단위가 아닌 것은?
① Torr ② ㎜Hg
❸ dyne.㎝ ④ PSi
51. 액화 석유가스의 주성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부탄 ❷ 헵탄
③ 프로판 ④ 프로필렌
52. 표준대기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760㎜Hg ② 10332.2㎜H2O
③ 1.013bar ❹ 14.2psi
53. 완전진공을 0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❶ 절대압력 ② 게이지 압력
③ 표준대기압 ④ 진공압력
54. 다음 중 독성가스는 어느 것인가?
① N2 ② O2
③ H2 ❹ Cl2
55. 다음 중 가연성 가스 취급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방폭공구가 아닌 것은?
❶ 알루미늄 합금공구 ② 베릴륨 합금공구
③ 고무공구 ④ 나무공구
56. 10g의 산소(이상기체라고 가정)는 100℃ 740㎜Hg에서는 몇 ℓ의 용적을 차지하겠는가?
① 3.47 ② 4.64
❸ 9.83 ④ 2.92.
57. 고온 고압에서 질화작용과 수소취화 작용이 일어나는 가스는?
❶ NH3 ② SO2
③ Cl2 ④ C2H2.
58. 다음 중 밀도가 가장 큰 가스는?
❶ 프레온 ② 부탄
③ 수소 ④ 암모니아
59. 고압장치에 부착된 온도계가 86℉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을 절대온도로 환산하면 몇 K 인가?
① 203 ❷ 303
③ 359 ④ 546
60. 비점을 -162℃까지 냉각 액화한 초저온 가스로 불순물을 전연 함유하지 않는 도시가스의 원료는?
❶ 액화천연가스 ② 액화석유가스
③ off가스 ④ 나프타
① 가스 사용 시설 안전관리자, 일반시설 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
이곳에서 최신 기출문제, 요점정리, 합격후기 받아볼 수 있습니다
② 아래 해당되는 시험 준비생들은 반드시 아래 카페에 가입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최단 시간에 효율을 얻으려는 자
- 시간이 없거나 부족한 자
- 비전공자
- 암기능력이 부족한 자
- 시험에 불합격한 자
- 지식이 없는 자
가스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자
시험 전문 카페
☞ (회원 수 10,900명)이 넘는 수험생들이 모여 시험을 준비하는 가스, 소방 1위 사이트
직접 확인하시라! 그러면 믿음과 확신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우리 카페 가입하면 이미 반(50%)은 합격입니다
나머지 반(50%)만 공부하십시오
우리의 목표는 오직 하나! "합격" 입니다
합격할 수 있다는 의욕만 가지고 오십시오!
https://cafe.naver.com/plus2050
※ 카페 타이틀 섬네일이 필요하시면 아래 다운로드하세요
▶ (첨부파일)
☞ 수험생 여러분
'공감'과 '댓글'은 블로거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가스안전교육원 #가스사용시설안전관리자 #사용시설안전관리자 #가스안전관리자 #한국가스안전공사 #일반시설안전관리자 #냉동시설안전관리자 #판매시설안전관리자 #LPG충전시설안전관리자 #도시가스시설안전관리자 #온수보일러시공자 #가스시설시공관리자 #가스자격증 #가스안전관리자선임 #가스안전관리자교육 #가스안전리자시험 #소방안전관리자 #한국소방안전원 #소방자격증 #소방안전관리자선임 #소방안전관리자교육 #소방안전리자시험 #소방안전관리자1급 #소방안전관리자2급 #소방안전관리자3급 #가스기능사
#교육 #문제 #원격수업 #동영상 #기출문제 #시험 #문제은행 #수업 #실습 #지문 #기출문제사이트 #강의 #수강신청 #인강 #학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