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안위 이명수 의원실에서 고체에어로졸 및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공개 성능실험이라는 빅이벤트를 열어 소방산업 관계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성공했지만 제품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도출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정치쇼에 그쳤다는 인식만 남겼다. 국회 행안위 이명수 의원실은 지난 7일 한국소방리더스, 고려화공, 진화이엔씨, 원방엔지니어링, 한화, 파이어푸로 등 소공간자동소화장치 전문제조업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자동소화장치 화재진압 성능실험(고체에어로졸 및 청정소화약제)’을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시험장에서 개최했다. 이명수 의원실의 주해돈 보좌관은 인사말을 통해 “이번 화재성능실험은 국정감사 준비를 하는 연장선상으로 일부 소공간소화장지와 설비에 대한 의문점이 제기되어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하고 “실험을 위해 업체들과 두 차례의 간담회와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주해돈 보좌관은 또 “국회의 일방적 기준에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장소에 화재현장에 맞춰 성능실험을 택했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화재현장 중심의 성능실험을 진행해 실험 결과는 정책백서로 국감 때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실험은 KFI 인정기준과 국회요구기준으로 구분해 실험을 실시했으며 화재온도 감지 및 화재감지 이후 작동시간, 소화약제 잔류량, 소화약제의 유독성 성분검증 등을 주요 체크 포인트로 삼았다. 특히 이번 실험장소를 제공해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은 소공간소화장치 화재성능실험을 위해 소화여부 판정만 해주었으며 참여업체들은 국회 이명수 의원실과 협의한대로 자사제품을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이 같은 내용에 대해 기술원의 한 관계자는 국회에서 요구한 성능실험에 대해 “단 한 번의 실험으로 그 결과를 직접 현장에 적용하거나 KFI 인정기준과 비교 판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처음 피트실 및 EPS실에 적용하고 있는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나섰던 한국소방기술인협회도 이번 성능실험에 대해 의문점을 제기했다. 이번 성능실험에 사용된 소화모형의 화재적용 대상이 전선 케이블류가 아닌 유류화재이고 실험장치 구조도 피트실 높이와 달라 실제 현장 적용에 있어 차이가 있다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주해돈 보좌관은 실험장치 설계를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제작했다고 밝혔으나 누구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또 실험장치 내부에 페인트가 도색되어 마르지 않은 상태로 실험을 진행해 참가업체로부터 항의를 받는 등 성능실험의 신뢰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고스란히 노출되기도 했다. 이날 실험은 한국소방리더스, 고려화공, 진화이엔씨, 원방엔지니어링, 한화 순으로 진행되었으나 두 번째 순서인 고체에어로졸 생산업체 고려화공에서 실험에 다른 업체들에 비해 불평등한 제약을 주고 있다는 이유로 실험을 거부했다가 오후 늦게 실험을 재개했다. 번외로 참가한 파이어푸로 외에 대부분 참가업체 모두 약제방출과 동시에 화재를 소화했으며, 대부분 연기감지기를 2개 이상 설치해 작동하도록 최상의 조건으로 진행했으나 한화는 93℃ 유리벌브 타입의 750kg 고체에어로졸 2개를 가지고 실험에 참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