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afe.naver.com/godnjf12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dkdehd63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http://cafe.daum.net/guriever. 해월(海月) 황여일(黃 汝一)선생의 해월유록(海月遺錄)
Å日月眞人 明 선생님Ω
♧마지막 구세주(救世主) 황발(黃髮: 明 선생님)♧
【인천(仁川) 중앙동(中央洞) 자유공원 작은 정자 옆에 있는 큰 정자(大亭:석정루石汀樓)黃宮】
【鄭道令(明 선생님)은 1946년 병술년(丙戌年)(음력 12월 대한민국 수도 서울 용산(龍山)에서)
해월(海月) 황 여일(黃 汝一) 선생 후손(後孫)으로 재림(再臨)하셨다】
하락요람(河洛要覽)의 하락합부가(河洛合符歌)에,
河天龍潭과 洛地龜岳이 幾千年을 各立다가 運自來而 回復故로 水自變而 河淸하니 山自春而 鳳鳴이로다
하천용담과 낙지귀악이 기천년을 각입다가 운자래이 회복고로 수자변이 하청하니 산자춘이 봉명이로다
龜尾之龍潭에 魚變成龍하야 待其時而 登天하니 五色彩雲中에 春雨甘下로다.
구미지용담에 어변성룡하야 대기시이 등천하니 오색채운중에 춘우감하로다.
何人이 得雨能活人코 震木庚子 三碧人이라
하인이 득우능활인코 진목경자 삼벽인이라
하도(河圖)인 하늘의 용담(天龍潭)과 낙서(洛書)인 땅의 구악(地龜岳)이, 몇 천 년을 각기 나뉘어 있다가 운(運)이 스스로 돌아오니 다시 회복되는 고로 물(水)이 스스로 변하니 황하는 맑아지고(河淸) 산(山)은 스스로 봄(春)이 되니 봉황이 우는구나(鳳鳴) 구미(龜尾)의 용담(龍潭)에 물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어(魚變成龍) 때를 기다렸다가(待其時) 하늘에 오르니(登天) 오색(五色)의 아름다운 구름속에 봄(春)의 단비(雨甘)가 내리니 어느 누가 능히 비(雨)를 얻어서 사람들을 살리겠는가?
진목경자(震木庚子)인 삼벽인(三碧人)이로다.
하늘과 땅이 서로 만나 합혼(合婚)하고 물은 스스로 변하니 황하는 맑아지고(河淸) 산(山)은 봄이 되니 봉황(鳳凰)이 울고 또한 물고기는 변하여 용(龍)이 되어 때를 기다렸다 하늘에 오르니 봄비가 내리는데 어느 누가 능히 비(雨)를 손에 넣어서 사람들을 살리겠는가?
비를 얻어서(得雨) 능히 사람들을 살리는 사람을(能活人) 진목경자(震木庚子)인 삼벽인(三碧人)이라 했다.
진목경자(震木庚子)란 팔괘(八卦)에서 진괘(震卦)인 장자(長子)를 진목(震木)이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삼벽(三碧)이란 구성학(九星學)에서 진괘(震卦)인 장자(長子)를 말하는 것이다.
즉 하나님의 아들인 장자(長子)를 뜻하는 말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 해인가(海印歌) P70을 보면,
秦皇漢武求下 不老草不死藥 어데있소 虹霓七色 雲霧中에 甘露如雨 海印이라 火雨露三豊海印이니
진황한우구하 불로초불사약 홍예칠색 운무중 감로여우 해인 화우로삼풍해인
이와 같이 진시황제 한무제가 찾던 불사약(不死藥) 불로초(不老草)가 무지개빛 운무(雲霧)중에 감로(甘露)가 비(雨)와 같은 해인(海印)이라고 하였다.
그러면 삼벽인(三碧人)인 장자(長子)는 누구를 지칭하는 말인가?
해월선생문집(海月先生文集) 2권 18장 76편
차이안당 백성헌운이수(次怡顔堂 白惺軒韻二首)
금석봉용조량월(今夕丰容照樑月) 일장호어사천황(一場豪語瀉天潢)
수교승사수가절(誰敎勝事酬佳節) 정시정매우타황(政是庭梅雨打黃)
오늘 저녁 대들보에 비치는 달의 모습(樑月)이 매우 아름답구나.
한바탕 의기 양양한 큰소리(一場豪語) 은하수(天潢)에 쏟아 부으니
어느 누가 경사스런 날(佳節)의 승사(勝事)를 알려 주어 깨닫게 하겠는가?
틀림없이 바로잡는 것(政)이 뜰에 있는 매화(梅)인데 , 비(雨)가 황(黃)을 치는구나.
이 시(詩)는 백성헌(白惺軒) 선생의 시(詩)를 차운(次韻)하여 쓴 시(詩)인데 여러가지 상징적인 의미가 숨어 있는 내용이 많은 글이다 먼저 대들보와 달(樑月)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드러내면서 한바탕 의기양양(意氣揚揚) 한 큰 소리로 은하수(銀河水)에 쏟아 부으며 하는 말이 누가 이 경사스러운 날에 승사(勝事) 즉 승리의 일을 세상에 알려서 깨닫게 하겠는가 하고는 틀림없이 세상을 바로 잡는 것(政)이 뜰에 있는 매화(梅)라고 하였으며 비(雨)가 황(黃)에게 내린다고 하였다.
해월(海月) 선생은 과연 최종(最終) 결론(結論)을 말씀하셨던 것이다.
【※】
격암유록(格菴遺錄) 세론시(世論視)27~3
盡力追人 追人其誰 弓弓之朴也
진력추인 추인기수 궁궁지박야
朴固之鄕村村瑞色 未逢其人 難求生門 生門何在 白石泉井 白石何在 尋於鷄龍
박고지향촌촌서색 미봉기인 난구생문 생문하재 백석천정 백석하재 심어계룡
鷄龍何在 非山非野 非山非野 何在 二人橫三 十二月綠 小石之生枝朴 堯日 大亭之下 是亦 石井 ***
계룡하재 비산비야 비산비야 하재 이인횡삼 십이월록 소석지생지박 요일 대정지하 시역 석정
격암유록 (格菴遺錄) 세론시(世論視) P26
弓弓人 辰巳之生 統一天下
궁궁인 진사지생 통일천하
이 글의 내용을 보면 진력을 다하여 따라갈 사람이 궁궁(弓弓)이신 박(朴:도의 별칭)인데 아직도 그 사람을 만나지 못한다면 생명(生)을 구(求)하기 어렵다네 생문(生門)은 어디에 있는가 하면 백석천정(白石泉井)에 있는데, 백석(白石)은 어디에 계시느냐 하면
계룡(鷄龍)을 찾아야 하며, 그 계룡(鷄龍)은 산(山)도 아니고 들(野)도 아닌 인천(仁川 : 二人橫三)에 계신다는 것이다.
그는 12월에 아기 돌(小石)로 태어난 가지 박(枝朴)이며, 또한 높이 떠오른 태양(堯日)으로, 큰 정자(大亭)가 있는 곳의 아래에 계신 분을, 또한 석정(石井)이라고 하였다.
그 석정인(石井人)은 또한 진사(辰巳)년에 나타나서, 전 세계(全世界)를 통일(統一)하는 궁궁지박(弓弓之朴)인 정도령이라는 것이다.
격암유록(格菴遺錄) 성산심로(聖山尋路) Ⓟ38을 보면,
福地桃源 仁富尋 入山雖好 不如西湖 東山誰良 不如路邊 多人往來 大路之邊
복지도원 인부심 입산수호 불여서호 동산수량 불여로변 다인왕래 대로지변
복지(福地)인 신선(神仙)이 있는 무릉도원(武陵桃源)을 찾을려면 인천(仁川)과 부평(富平) 사이에서 찾을 것이며 산 속에 들어가는(入山)것이 비록 좋다고 하지만 서호(西湖)보다는 못한 것이다.
동쪽산(東山)이 어찌 좋겠는가?
도로변(道路邊)만 못하구나.
인간신선(人間神仙)인 부처님(佛)이 계신 곳이, 많은 사람이 왕래(往來)하는 큰 도로변(大路邊)이라는 말이다.
많은 사람들이 찾는 성산성지(聖山聖地)는, 동쪽이 아니라 서쪽에서 찾으라고 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인천(仁川)과 부평(富平) 사이인데 많은 사람들이 왕래(往來)하는 큰 도로변 언덕에 살고 계신다는 말이다.
이곳이 도하지(道下止)인데 이곳으로 달려가라고 이야기한 것이다.
홍인진결(洪煙眞訣)의 경기도(京畿道) 분야표 【☆】
천문지리서(天文地理書)인 《홍인진결(洪煙眞訣》의 경기도편에서 손사방(巽巳方)은 인천(仁川)
만사이황발(萬事已黃髮) 잔생수백구(殘生隨白鷗)
증산 상제 친필 후사자(後嗣子)병풍유서(屛風遺書) 부분
弓乙 [黃髮 : 해월(海月) 黃 汝一선생의 後孫 大亭之下 石井崑 明 선생님】
해월종택(海月軒): 봉황이 알을 품는 형국으로 풍수학상 강릉 이남 최고의 명당(明堂)
경북 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433 (해월헌길70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