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역사소설 태종 이방원 211
종로에서 펼쳐진 석전
외교는 외교다.
군사훈련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명나라가 수도를 북경으로 옮겼다. 대륙 통일의 자신감이다.
국가를 창업했던 남경시대를 마감하고 북경시대의 개막이다.
총인구 5200만 명, 병력 330만, 가용병력 100만,
신성 로마제국의 병력이 10~15만 정도였고 오스만트루크 제국이 최대 35만 정도였으니 가히 군사대국이다.
명나라는 대륙 통일을 목전에 두고 있다.
팽창을 거듭하고 있는 명나라의 자신감은 곧 조선의 잠재적인 위협이다. 언제 밀어 닥칠 줄 모른다.
외교는 명나라에 사대하지만, 군사는 소홀히 할 수 없다.
먹고 먹히는 약육강식의 국제질서 속에서 총 병력 15만 명의 조선은 명나라의 상대가 되지 않는다.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는가? 위기가 닥쳐도 도와줄 나라가 없다.
북방의 여진족? 그들은 명나라의 말밥굽 아래 자신들의 존재 자체가 위태로워졌다.
남방의 왜국? 명나라에 바짝 엎드려 있다. 오직 자력뿐이다.
수적인 열세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정신력뿐이다.
‘군대는 사기를 먹고 자란다.’ 라고 생각하고 있는 태종은 조선군의 정신력이야 말로 국토를 지키는 보루라
믿고 있었다.
태종이 병조판서 조말생을 풍양궁으로 불렀다.
“명나라가 북경으로 도읍지를 옮겼는데 무엇들 하고 있는 것이냐? 이러고도 군대라 할 수 있느냐?
외교는 외교고 군사는 군사다. 강무를 준비하도록 하라.”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정탁과 총제(摠制) 이중지를 천도 진하사로 북경에 파견하라 명한 태종은 병조판서를
불러 질책했다.
“훈련 장소는 어디로 하오리까?”
“강도 높은 군사훈련은 험준한 산악 지형이 제격이다. 철원으로 하라.”
예년에는 평평한 구릉지역에서 군사훈련을 펼쳤는데 이번엔 다르다.
태종은 창덕궁으로 돌아가는 조말생에게 일렀다.
“주상이 거상 중에 있지만 짐승을 잡는 것은 아니니 나를 따라 강무에 참석하라 전하라.”
창덕궁에서 출발한 세종이 녹양원(綠楊原)에 미리 도착하여 기다렸다.
풍양궁에서 출발한 태종이 독바위(甕巖) 남쪽에 도착했다는 보고를 받은 세종이 행차를 돌려 상왕을 영접했다.
태종이 시위 군사와 거둥 때의 모든 일을 모두 생략할 것을 명했다.
날이 저물어 양주 동존(楊州東存) 들에 도착하여 야영했다.
때 아닌 겨울비가 장대비처럼 퍼부었다.
폭우로 냇물이 넘치고 길이 질퍽거려 철원으로 나아갈 수 없었다. 철원행을 포기했다.
경기, 강원, 충청도 군사들을 동원한 대규모 강무는 취소되었다.
돌아오는 길 양주 동쪽 왕숙천이 범람하여 건너지 못할 정도였다.
가까스로 내(川)를 건넌 태종과 세종이 함께 풍양궁으로 돌아왔다.
온천에서 휴식하며 맏아들을 보고 싶다
태종이 감기 몸살이 났다. 겨울 날씨에 비바람을 맞은 것이 탈이 난 것이다.
대비 어머니를 여윈 세종은 겁이 덜컥 났다. 돌아가실 것만 같았다.
창덕궁으로 돌아가지 않고 풍양궁에 머물렀다.
손수 모시고 친히 약을 받들어 보살폈다. 태종이 내전으로 병조참의 윤회와 지신사 김익정을 불렀다.
“내가 몸과 기운이 조금 미편하다고 주상이 여기 있으면 되겠느냐? 주상은 하루에 만 가지 정사를 보아야
할 것이니 도성으로 돌아가서 정사를 보아야 할 것이다. 곧 모시고 돌아가도록 하라.”
태종이 몸져 누워있는 사이, 회안대군 이방간이 병들어 죽었다는 소식이 날아왔다. 애증이 엇갈렸던 형이다.
태종은 중사(中使) 정원용을 홍주에 보내어 조문하고 제사를 지내게 했다.
정치적으로는 미워했지만 혈육의 정으로 마지막 가는 길을 보살핀 것이다.
건강이 회복되지 않은 태종이 온천에서 휴양하고 싶었다. 이천으로 방향을 잡았다.
왕실 온천이나 다름없는 해주로 가지 않고 이천을 택한 것은 휴식 중에 양녕대군을 만나보기 위해서였다.
태종이 거둥하기 위하여 준비하고 있는데 세종이 풍양궁으로 달려왔다.
아버지를 모시고 이천으로 같이 가기 위해서다.
“내가 몸이 불편할 때마다 주상이 예까지 거둥하니 정사에 차질이 있을 것이다. 내가 창덕궁 근처로 들어
갈테니 연화방(蓮花坊) 동구에 이궁을 건축하라.”
태종 이방원이 세종 이도에게 말했다.
이천 온천에서 휴식을 취하고 돌아온 태종은 때 아닌 강우로 철원 강무를 취소한 것이 아쉬웠다.
칼과 군사는 갈고 닦아야 녹이 슬지 않는다고 믿고 있었다. 병조판서 조말생을 불렀다.
“원행은 무리이니 도성 내에서 석전(石戰) 훈련을 준비하도록 하라.”
척석군은 고려 때에 설치된 군사인데 건국초기 폐지했다.
무기를 잃었을 때 몸으로 맞부딪치는 석전의 전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한 병조에서 예전 군졸을 모으고
새로 사람을 모집하여 조련하고 있었다.
석전(石戰)은 병장기가 없는 상황에서 벌어지는 전투다.
오로지 무예로 단련된 몸과 돌 하나로 적을 제압해야 하는 백병전이나 다름없는 격렬한 전투다.
태종이 종각에 거둥했다. 세종이 창덕궁에 입직(入直)한 군사를 거느리고 검은 옷에 오대(烏帶)를 띠고
우군의 뒤로 나왔다. 태종은 병조참판 이명덕에게 아패(牙牌)를 내려주며 임금에게 전하라 명했다.
임금이 즉시 말에서 내려 명을 받고, 도로 말에 올라 군문(軍門)으로 들어갔다.
태종이 각(角)을 불게 했다. 각 소리와 함께 비로소 계엄이 해제되었다.
세종이 임금이었지만 군권이 없었기 때문에 절차가 필요했다.
태종이 친히 이원· 조연· 이화영을 삼군(三軍)의 장수로 삼아 직문기(織紋旗)를 내려 주었다.
드디어 종로에서 석전이 펼쳐졌다. 좌군은 방패(防牌) 3백 명, 우군은 척석군(擲石軍) 1백 5십 명으로
편을 갈랐다.
태종이 종루에 자리를 잡고 세종과 종친 그리고 총제(摠制)와 병조의 당상관, 육대언(六代言)이 누(樓)위에서
관전했다.
종로에서 펼쳐진 석전 훈련
양군 지휘부에서 북소리가 울렸다. 좌군은 백색깃발, 우군은 청색깃발을 휘날리며 우르르 몰려나왔다.
군사들의 함성이 종로를 진동했다.
돈의문 방향에 포진한 척석군이 돌을 던지고 흥인문 쪽에 진을 친 방패군이 방어하며 교전이 벌어졌다.
일진일퇴를 거듭하던 방패군이 척석군을 당해내지 못하고 물러섰다.
방패군을 지휘하는 총제 하경복· 곽승우· 권희달· 박실과 상호군 이징석· 대호군 안희복이 전세를 만회하기
위하여 기마병을 거느리고 공격하였으나 패하여 달아났다.
하경복은 돌에 맞아 얼굴을 상하고 박실은 여러 군사에게 공격을 당하여 줄행랑을 쳤다.
대마도 정벌의 맹장 박실이 망신을 당한 것이다.
“너희들이 내 옥관자를 보았느냐?”
옥관자(玉貫子)는 망건에 달아 당줄을 걸어 넘기는 구실을 하는 작은 고리이지만 관품과 계급을
나타내기도 했다.
1품은 만옥권이라 하는 옥환을 했고 2품은 금관자, 3품은 매화양 옥관자를 하였다.
즉 대장을 알아보고 집중공격을 하였느냐는 볼멘소리다.
박실에 대한 공격을 멈춘 척석군이 이징석이 탔던 말을 빼앗아 태종에게 바쳤다.
전투는 장비가 우선이 아니라 사기가 중요하다
“경복의 무리가 크게 다치지나 아니하였는가?”
“비록 싸움은 패하였으나 많이 상하지는 않았습니다.”
얼굴이 피투성이가 된 하경복이 억지로 몸을 일으켜 누(樓)에 올랐다.
“공격다운 공격 한 번 못해보고 어찌하여 패했느냐?”
“저녁노을이 눈부시게 비쳐오고 바람과 티끌이 얼굴에 가득히 날아와서 돌을 보기가 어렵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진영을 바꾸어 겨뤄보도록 하라.”
태종의 명이 떨어졌다. 싸우는 방법도 달라졌다.
돌을 던지는 것을 금하고 몽둥이를 가지고 맞붙게 했다.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방패군이 척석군을 이기지 못하고 물러섰다.
“나는 방패군이 건장한 보졸로 알았더니 실상 겁이 많고 용기가 없는 자들이구나.
척석군 40명을 뽑아서 방패군 편에 가담하게 하라.”
역시 결과는 똑 같았다. 앞장서서 싸우는 자는 척석군뿐이었고 방패군은 도망하여 숨었다.
도망하지 않은 자는 고함만 지르면서 성세(聲勢)만 도울 뿐이었다.
“맞아서 넘어진 사람은 다시 치지 말라. 죽거나 다치게 해서는 안 된다.”
태종은 의원(醫員)에게 명하여 다친 자를 돌보아 치료하게 했다.
땅거미가 짙어지는 저녁 무렵에야 강무는 끝났다.
전투는 장비가 우선이 아니라 사기가 제일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한 한 판 훈련이었다.
다음. 212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