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영삼굴(兔營三窟)
토끼는 숨을 수 있는 굴을 세 개는 마련해 놓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 술책을 마련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兔 : 토끼 토(儿/6)
營 : 경영할 영(火/12)
三 : 석 삼(一/2)
窟 : 굴 굴(穴/8)
토끼는 날래다. 앞발은 짧고 뒷발은 길어 높은 곳을 오를 때는 딴 동물이 못 따른다. 토끼에 관한 성어로 절대 있을 수 없는 것을 뜻하는 귀모토각(龜毛兎角)이나 토각우익(兎角牛翼)이 있지만 대체로 빠르다는 것을 비유했다.
세월이 빠르다는 오비토주(烏飛兔走), 재빠르게 도주하는 동여탈토(動如脫兔) 등에서 알 수 있다. 필요가 없어지면 버림받는다는 뜻으로 많이 쓰이는 교토구팽(狡兎狗烹)의 교활할 교(狡)도 재빠르다는 뜻이다.
토끼가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세 개의 굴을 파 놓는다는 이 성어는 자신의 안전을 위해 미리 대비책을 짜놓는 현명함도 지녔다. 교토삼굴(狡兔三窟), 교토삼혈(狡兔三穴)이라 해도 같다.
전국사공자(戰國四公子)는 기원전 403년~221년,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 각 제후국에서 빈객들을 수천 명씩 거느리고 세력을 떨쳤다.
유명한 제(齊)나라의 맹상군(孟嘗君)을 비롯하여 조(趙)나라의 평원군(平原君), 위(魏)나라의 신릉군(信陵君), 초(楚)나라의 춘신군(春申君)이 그들이다.
닭소리 내는 사람이나 개 도둑도 받아 계명구도(鷄鳴狗盜)의 성어로 유명한 맹상군은 거지 출신의 풍환(馮驩)도 들였다. 무위도식하는 그가 음식이나 탈것 등에 불만을 늘어놓아도 맹상군은 군말 없이 받아들였다.
맹상군은 설(薛) 지역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아 식객을 거두었는데 때가 되어 풍환에게 해결하라고 했다.
그는 가서 채무자들을 모아놓고 주인이 면제해 준다며 차용증을 태웠다. 그리고선 돌아와 태연히 돈 대신 은혜와 의리를 갖고 왔다고 했다.
맹상군이 재상에서 밀려나자 다른 식객들은 모두 떠났으나 풍환은 설 지역으로 모셔 그곳서 대대적 환영을 받았다.
맹상군이 고마워하자 풍환은 말했다. ‘토끼는 빨라도 굴 세 개는 있어야 비로소 죽음을 면할 수 있습니다.’
狡兔有三窟 僅得免其死耳.
교토유삼굴 근득면기사이.
풍환은 이후에도 맹상군을 복위시키고, 설 땅에 종묘를 마련하여 평안한 만년을 보내게 했다. 전국책(戰國策)과 사기(史記)에 실려 전하는 이야기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여러 시련에 닥치게 된다. 일이 닥치기 전에 대비하는 유비무환(有備無患)이면 쉽게 고비를 넘기고 더 밝은 미래를 맞는다.
핵무기 개발에 여념 없는 북한과 자국이익만 호시탐탐하는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는 안보에 더욱 철저히 대비해 조금의 피해도 없도록 해야 한다.
▶️ 兔(토끼 토)는 상형문자로 兎(토)의 본자(本字)이다. 본래 긴 귀와 짧은 꼬리를 가진 토끼의 모양을 본떠 그것이 지금의 자형(字形)으로 변했다. 그래서 兔(토)는 ①토끼 ②달(달 속에 토끼가 있다는 뜻에서 달의 별칭이 됨)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토끼털을 토모(兔毛), 달의 딴 이름을 토월(兔月), 토끼 가죽을 토피(兔皮), 날쌘 토끼를 교토(狡兔), 집토끼를 가토(家兔), 야생하는 토끼를 야토(野兔), 달 속에 있다는 금두꺼비와 옥토끼 곧 달의 별칭을 섬토(蟾兔), 부엉이를 목토(木兔), 산토끼를 산토(山兔), 달아나는 토끼로 몹시 빨리 달아남을 일컫는 말을 탈토(脫兔), 털빛이 흰 토끼를 백토(白兔), 병이 든 토끼나 앓는 토끼를 병토(病兔), 다 자란 토끼를 성토(成兔), 토끼를 기름 또 그 토끼를 양토(養兔), 옥토끼로 달을 달리 이르는 말을 옥토(玉兔), 달의 미칭으로 달 속의 흰토끼를 은토(銀兔), 씨를 받으려고 기르는 토끼를 종토(種兔), 사냥하러 가서 토끼를 잡으면 사냥하던 개는 쓸모가 없게 되어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 요긴하게 써 먹고 쓸모가 없어지면 가혹하게 버린다는 뜻 또는 일이 있을 때는 실컷 부려먹다가 일이 끝나면 돌보지 않고 헌신짝처럼 버리는 세정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토사구팽(兔死狗烹), 토끼의 죽음을 여우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의 불행을 슬퍼한다는 말을 토사호비(兔死狐悲), 토끼는 숨을 수 있는 굴을 세 개는 마련해 놓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 술책을 마련함을 비유하는 말을 토영삼굴(兔營三窟), 토끼의 뿔과 거북의 털이라는 뜻으로 불교에서 이른바 세상에 있을 수 없는 일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토각귀모(兔角龜毛), 토끼 그물에 꿩이 걸린다는 뜻으로 소인은 계교로 좌에서 벗어나고 군자가 도리어 화를 입음을 이르는 말을 토라치리(兔羅雉罹), 토끼가 달리고 까마귀가 난다는 뜻으로 세월의 빠름을 이르는 말을 토주오비(兔走烏飛), 그루터기를 지켜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어 구습과 전례만 고집함을 일컫는 말을 수주대토(守株待兔),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양자의 싸움에서 제3자가 이익을 봄을 이르는 말을 견토지쟁(犬兔之爭), 여우의 죽음에 토끼가 운다는 뜻으로 동류의 불행을 슬퍼함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호사토읍(狐死兔泣), 우리를 빠져 도망하는 토끼의 기세라는 뜻으로 매우 신속하고 민첩함을 이르는 말을 탈토지세(脫兔之勢), 교활한 토끼는 굴을 세 개 파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교묘하게 잘 숨어 재난을 피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교토삼굴(狡兔三窟), 금까마귀와 옥토끼란 뜻으로 금오는 태양을 옥토는 달을 가리키는 말을 금오옥토(金烏玉兔), 오는 해이고 토는 달을 뜻하는 데에서 세월이 빨리 흘러감을 이르는 말을 오비토주(烏飛兔走), 토끼를 발견한 후에 사냥개를 놓아서 잡게 하여도 늦지 않다는 뜻으로 사태의 진전을 관망한 후에 응하여도 좋다는 말을 견토방구(見兔放狗), 거북의 털과 토끼의 뿔이라는 뜻으로 있을 수 없거나 아주 없음을 이르는 말을 귀모토각(龜毛兔角), 솔개의 눈에 토끼의 귀라는 뜻으로 잘 보이는 눈과 잘 들리는 귀를 일컫는 말을 연목토이(鳶目兔耳), 노루를 쫓는 데 생각지도 않은 토끼가 걸렸다는 뜻으로 뜻밖의 이익을 얻음을 이르는 말을 주장낙토(走獐落兔) 등에 쓰인다.
▶️ 營(경영할 영)은 ❶형성문자로 営(영)의 본자(本字), 营(영)은 통자(通字), 营(영)은 간자(簡字)이다. 집을 뜻하는 呂(려)와 음(音)을 나타내며 둘러싸다의 뜻을 갖는 呂글자 이외의 글자 𤇾(영)으로 이루어졌다. 사방을 둘러싼 주거(住居)의 뜻이 전(轉)하여 집을 만들고 영위(營爲)하다의 뜻이다. ❷회의문자로 營자는 ‘경영하다’나 ‘계획하다’, ‘짓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營자는 火(불 화)자와 宮(집 궁)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宮자는 큰 대궐을 그린 것으로 ‘집’이나 ‘가옥’이라는 뜻이 있다. 營자는 이렇게 ‘가옥’을 뜻하는 宮자에 火자를 결합한 것으로 집에 불을 켜고 밤새워 일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그래서 營(영)은 영문(營門)의 뜻으로 ①경영하다 ②짓다 ③꾀하다 ④계획하다 ⑤두려워하다 ⑥변명하다 ⑦오락가락하다 ⑧재다 ⑨현혹하다 ⑩갈다(주로 밭작물의 씨앗을 심어 가꾸다) ⑪고을의 이름 ⑫별의 이름 ⑬진영 ⑭주택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지날 경(經)이다. 용례로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영업(營業), 재산 상의 이익을 얻으려고 활동하는 일을 영리(營利), 무슨 일을 해 나감을 영위(營爲), 군대에서 규율을 어긴 자를 가두는 건물 또는 거기에 가두는 처벌을 영창(營倉), 농업을 경영함을 영농(營農), 집 따위를 짓거나 물건을 만듦을 영조(營造), 삶을 누림을 영생(營生), 병영 밖을 영외(營外), 일정한 울이나 지경의 안을 영역(營域), 지형을 변화시키는 힘을 영력(營力), 병영의 문을 영문(營門), 군대가 주둔하는 곳을 영소(營所), 조직이나 기구 따위를 운용하여 경영함을 운영(運營), 규모를 정하고 기초를 세워 일을 해 나감을 경영(經營), 군대가 집결하고 있는 곳을 진영(陣營), 나라에서 경영함을 국영(國營), 정부에서 직접하는 경영을 관영(官營), 통제하고 경영함을 통영(統營), 병사들이 먹고 자고 하는 집을 비롯한 필요한 시설을 갖추어 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일정한 구역을 병영(兵營), 직접으로 영업함을 직영(直營), 시에서 하는 경영을 시영(市營), 군대에 들어감을 입영(入營), 공공단체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경영함을 공영(公營), 둘 이상의 사업을 겸하여 경영함을 겸영(兼營), 이권에 아득바득하여 떳떳하지 못함을 영영구구(營營區區), 관청이나 공공의 일을 이용하여 개인의 이익을 꾀함을 빙공영사(憑公營私), 토끼는 숨을 수 있는 굴을 세 개는 마련해 놓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 술책을 마련함을 비유하는 말을 토영삼굴(兔營三窟) 등에 쓰인다.
▶️ 三(석 삼)은 ❶지사문자로 弎(삼)은 고자(古字)이다. 세 손가락을 옆으로 펴거나 나무 젓가락 셋을 옆으로 뉘어 놓은 모양을 나타내어 셋을 뜻한다. 옛 모양은 같은 길이의 선을 셋 썼지만 나중에 모양을 갖추어서 각각의 길이나 뻗은 모양으로 바꾸었다. ❷상형문자로 三자는 '셋'이나 '세 번', '거듭'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三자는 나무막대기 3개를 늘어놓은 모습을 그린 것이다. 고대에는 대나무나 나무막대기를 늘어놓은 방식으로 숫자를 표기했다. 이렇게 수를 세는 것을 '산가지(算木)'라 한다. 三자는 막대기 3개를 늘어놓은 모습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숫자 3을 뜻하게 되었다. 누군가의 호의를 덥석 받는 것은 중국식 예법에 맞지 않는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최소한 3번은 거절한 후에 상대의 호의를 받아들이는 문화가 있다. 三자가 '자주'나 '거듭'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도 이러한 문화적 배경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三(삼)은 셋의 뜻으로 ①석, 셋 ②자주 ③거듭 ④세 번 ⑤재삼, 여러 번, 몇 번이고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석 삼(叁)이다. 용례로는 세 해의 가을 즉 삼년의 세월을 일컫는 삼추(三秋), 세 개의 바퀴를 삼륜(三輪), 세 번 옮김을 삼천(三遷), 아버지와 아들과 손자의 세 대를 삼대(三代), 한 해 가운데 셋째 되는 달을 삼월(三月), 스물한 살을 달리 일컫는 말을 삼칠(三七), 세 째 아들을 삼남(三男), 삼사인이나 오륙인이 떼를 지은 모양 또는 여기저기 몇몇씩 흩어져 있는 모양을 일컫는 말을 삼삼오오(三三五五), 삼순 곧 한 달에 아홉 번 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린다는 말을 삼순구식(三旬九食), 오직 한가지 일에만 마음을 집중시키는 경지를 일컫는 말을 삼매경(三昧境), 유교 도덕의 바탕이 되는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의 인륜을 일컫는 말을 삼강오륜(三綱五倫), 날마다 세 번씩 내 몸을 살핀다는 뜻으로 하루에 세 번씩 자신의 행동을 반성함을 일컫는 말을 삼성오신(三省吾身), 서른 살이 되어 자립한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견식이 일가를 이루어 도덕 상으로 흔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을 삼십이립(三十而立), 사흘 간의 천하라는 뜻으로 권세의 허무를 일컫는 말을 삼일천하(三日天下), 세 사람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든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남이 참말로 믿기 쉽다는 말을 삼인성호(三人成虎), 형편이 불리할 때 달아나는 일을 속되게 이르는 말을 삼십육계(三十六計), 하루가 삼 년 같은 생각이라는 뜻으로 몹시 사모하여 기다리는 마음을 이르는 말을 삼추지사(三秋之思), 이러하든 저러하든 모두 옳다고 함을 이르는 말을 삼가재상(三可宰相), 삼 년 간이나 한 번도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 뒷날에 웅비할 기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을 삼년불비(三年不蜚), 세 칸짜리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보잘것 없는 초가를 이르는 말을 삼간초가(三間草家), 봉건시대에 여자가 따라야 했던 세 가지 도리로 어려서는 어버이를 시집가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아들을 좇아야 한다는 것을 이르는 말을 삼종의탁(三從依托), 키가 석 자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라는 뜻으로 철모르는 어린아이를 이르는 말을 삼척동자(三尺童子), 세 사람이 마치 솥의 발처럼 마주 늘어선 형상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을 삼자정립(三者鼎立), 세 칸에 한 말들이 밖에 안 되는 집이라는 뜻으로 몇 칸 안 되는 오막살이집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삼간두옥(三間斗屋), 가난한 사람은 농사 짓느라고 여가가 없어 다만 삼동에 학문을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를 겸손히 이르는 말을 삼동문사(三冬文史),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 곧 약혼을 이르는 말을 삼생가약(三生佳約), 세 마리의 말을 타고 오는 수령이라는 뜻으로 재물에 욕심이 없는 깨끗한 관리 즉 청백리를 이르는 말을 삼마태수(三馬太守), 세 치의 혀라는 뜻으로 뛰어난 말재주를 이르는 말을 삼촌지설(三寸之舌), 얼굴이 셋 팔이 여섯이라는 뜻으로 혼자서 여러 사람 몫의 일을 함을 이르는 말을 삼면육비(三面六臂),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의 벗으로서 정직한 사람과 성실한 사람과 견문이 넓은 사람을 이르는 말을 삼익지우(三益之友), 세 가지 아래의 예라는 뜻으로 지극한 효성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삼지지례(三枝之禮), 머리가 셋이요 팔이 여섯이라 함이니 괴상할 정도로 힘이 엄청나게 센 사람을 이르는 말을 삼두육비(三頭六臂), 세 번 신중히 생각하고 한 번 조심히 말하는 것을 뜻하는 말을 삼사일언(三思一言) 등에 쓰인다.
▶️ 窟(굴 굴)은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구멍 혈(穴; 구멍)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후벼파다(掘)의 뜻을 나타내는 屈(굴)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窟(굴)은 ①굴(窟), 동굴(洞窟) ②움집(움을 파고 지은 집), 토굴(土窟: 땅굴) ③소굴(巢窟) ④혈거(穴居)하다, 둥지를 틀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뫼 구덩이 광(壙), 구멍 공(孔), 구멍 혈(穴), 구멍 규(竅), 구멍 두(竇)이다. 용례로는 빛살이 들어오지 않는 어둔 방을 굴방(窟房), 굴처럼 생긴 모양을 굴형(窟形), 바위나 땅에 깊게 팬 커다란 굴을 굴혈(窟穴), 깊고 넓은 굴을 동굴(洞窟), 좋지 못한 짓을 하는 사람들이 활동의 근거지로 삼고 있는 곳을 소굴(巢窟), 바위에 뚫린 굴을 석굴(石窟), 신선이 사는 곳이라는 뜻으로 속세를 떠난 거처를 선굴(仙窟), 이익이 생길 만한 일거리나 기회를 이굴(利窟), 재물이 많이 모여 드는 곳을 화굴(貨窟), 도가에서 배꼽에 있다고 하는 구멍을 금굴(金窟), 산 속에 있는 굴을 산굴(山窟), 눈이 쌓인 구덩이를 설굴(雪窟), 적의 무리가 뿌리 박고 있는 소굴을 적굴(敵窟), 흙을 파낸 큰 구덩이를 토굴(土窟), 뱀의 굴을 사굴(蛇窟), 숨어 있는 곳 잠복하여 있는 곳을 잠굴(潛窟), 도둑들의 소굴을 적굴(賊窟), 추악한 소행을 하는 무리들의 소굴을 추굴(醜窟), 쓰지 못하게 된 굴을 폐굴(廢窟), 범의 굴이라는 뜻으로 가장 위험한 곳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호굴(虎窟), 현실을 도피하여 깊은 산 속에 숨어서 사는 선비를 굴혈지인(窟穴之人), 창기들이 모여서 사는 소굴을 홍분굴혈(紅粉窟穴), 토끼는 숨을 수 있는 굴을 세 개는 마련해 놓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미리 몇 가지 술책을 마련함을 비유하는 말을 토영삼굴(兔營三窟), 교활한 토끼는 굴을 세 개 파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교묘하게 잘 숨어 재난을 피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교토삼굴(狡兔三窟)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