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김형렬, 이하 행복청)은 8월 31일(목) 행복도시 지능형 도시 추진 현황 브리핑에서 현재 추진 중인 3단계 1차 지능형 기반 구축사업이 예정대로 준공되었으며, 주민입주가 예정된 생활권에 대한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행복도시는 도시계획 단계부터 도시 전체를 지능형도시로 구현할 수 있도록 '30년까지 3단계에 걸쳐 5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지능형 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1~2단계 사업은 성공적으로 준공하여 세종시로 이관하였고, 현재 5~6 생활권을 대상으로 3단계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 온라인 도시, 데이터 도시, 연결형 도시, 자율지능 도시, 참여형 공동체 도시
ㅇ 금년 7월 준공한 3단계 1차 사업(사업기간 '19.11~'23.7)은 6-3생활권과 6-4 생활권을 대상으로 시민 생활과 밀접한 지능형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고도화하는 등 시민 편의를 제고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 우선 폐쇄회로티브(CCTV)를 통한 방범 서비스를 고도화하여 인공지능 (AI)를 활용한 지능형방범 서비스를 구축(현재 시범운영 중)하였다.
ㅇ 기존에는 도시통합정보센터 내 상주하는 관제요원이 직접 수십대의 폐 쇄회로티브(CCTV) 화면을 직접 보면서 관제하고 있어 순간 발생하는 긴 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으나,
- 이번 3단계 1차 사업을 통해 도입한 지능형 방범서비스는 인공지능 (AI)을 통해 폐쇄회로티브(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각종 위 급한 상황을 인식하거나 인상착의를 통해 범죄자 등 특정 개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등 다방면에 활용가능한 서비스이다.
- 최근에는 승용차와 오토바이 교통사고, 새벽 도로 위 주취자를 자동 으로 탐지하고 관제요원에게 알려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한 사례가 언론을 통해 보도된 바 있다.
ㅇ 이 밖에도 버스도착정보안내기(BIT), 공공 와이파이(WiFi) 등 시민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설과 다목적 폐쇄회로티브(CCTV), 비상벨 등 안전 기반도 촘촘히 구축하여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생활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 특히, 이번에 구축한 방범 폐쇄회로티브(CCTV)와 비상벨은 엘이디 (LED) 전광판을 부착하는 등 시인성을 크게 확보하여 범죄예방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이와 함께 주민 입주가 예정된 5-1 생활권을 대상으로 한 3단계 2차 사업도 내년도 착공을 목표로 현재 설계를 추진 중에 있다.
ㅇ 이전 사업과 유사하게 시민 편의 기반과 효율적인 도시운영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구축하되, 운전자와 보행자의 신호인지 시인성을 증대하기 위한 지능형 횡단보도 서비스 등 교통안전 분야는 더욱 확충할 계획이다.
□ 또한, 시민 주도형 지능형도시 구현을 위해 추진 중인 리빙랩 사업도 내년 상반기 시범운영이 가능하도록 차질 없이 추진 중에 있다.
ㅇ 시민들이 선정한 ⓛ 지능형버스정류장, ② 지능형 재활용 해결책, ③ 지능형기 둥 서비스는 금년 9월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시범 운영 이후 시 민들의 만족도가 높은 서비스는 향후 행복도시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정우진 행복청 도시계획국장은 "현재 추진 중인 행복도시 지능형 도시 사업은 다양한 지능형 서비스를 통해 시민이 편리하고 안심할 수 있는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 의의가 있다"라면서,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협력하여 체감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행복도시를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모범 지능형 도시로 구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