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두나무는 복숭아나무에 준하여 재배하여도 된다. 시비량도 비슷하고 또 병충해 방제도 비슷한 시기에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음사항을 꼭 염두에 두어야한다
자두나무재배시 꼭 알아야 할 사항
1. 꽃피는 시기(수정)에 관련해 알아야 할 사항 1) 자두는 복숭아보다 5~7일 일찍피고, 잎이 난다 -- 진디물방제 주의 2) 꽃필 때 서리나 비가오면 수정이 잘 안된다 -- 꽃가루주머니에서 꽃가루가 안나옴 (피해가 심함) 3) 수분수가 없어면 결실이 잘 안된다.(특히,대석조생) --수분수 심기(수박자두,추희등), 또는 자두나무 가지 중 한 곳에 수박자두및 추희등을 受粉樹로 접붙이기
2. 병충해 방제상 특별히 알아야 할 사항 1) 흑반병방제 -- 가을부터 집중관리(개체수 줄이기)하여 내년농사 준비, 특히 후무사, 추희 병징은 열매에 보라색 반점이 생기며, 발병하면 상품성이 없어진다, 심하면 閉園 까지 간다. 2) 주머니병 방제 --방제약 살포로 큰 효과가 없음, 봄철 이상기후와 관계가 있다. 3) 수지병 방제 -- 나방류의 애벌레가 나무가지속에 침투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방제를 소흘히 하면 나무의 主幹 또는 主枝가 망가져 나무를 못쓰게 한다. 4) 진디물 방제 -- 복숭아나무 보다 잎이 먼저 나오므로 먼저 단독 초기방제 한다. 한번 발생하면 잎이 오구러져 방제가 잘 안되니 예방또는 초기에 잡아야 한다
================================================================================================
자두나무재배 일정
10중순 ~ 11월초 --흑반병방제(개체수를 줄여, 내년 발병율을 낮춤)--석회보르보액 6-6식 살포 2회
11을중순~12월초 --기비(밑거름)주기 8년생 성목기준으로 연간시비량은 N,600g; P,300 ; K,500g,이고 기비는 70% ; 100%; 70% 의 비율로 준다 퇴비는 20Kg 한포정도 주고 볏짚이 있으면 덮어준다. (노타리치거나 조금파고 주면 좋겠지만...)
12월초~2월중순 -- 가지치기 (전지작업) 자두나무의 수형은 일반적으로 개심자연형인데 주간(원줄기)을 50~80cm에서 절단하여Y자형을 주지를 2~ 4개정도로 만든다. 또한 무리한 강전지를 하면 도장지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자두나무의 전지는 키낮추기 ,도장지쏙아내기(약한것은 측지로 이용), 복잡한 가지 쏙아내기 정도면 된다. 또한 구가지 보다 갱신가지의 과일이 품질상 좋다
3월초 --- 석회유황합제 살포 --깍지벌레,주머니병,흑반병등방제,
3월중순이후; 꽃피기직전 석회보르도액(4-8또는 6-12식)을 살포--흑반병등살균
4월중순; 꽃진후 진디물방제 2회 10~15일간격
4월말~5월초;조생종 자두나무 덧거름주기 질소10% 가리30%
5/1; 제초작업--제초제 근사미 집중살포
5월중순; 1차 적과, 적과는 조생종 10cm간격. 만생종15cm간격 2차적과는 수시로, 영양제 2회살포(농약과 혼용 살포) 살충제(나방류)및 탄저, 회성병방제 10일~15일간격으로 수확시까지 살포
5월말; 중,만생종 덧거름주기 질소10%,가리30%;
6/10 ; 제초작업 근사미집중 살포, 조생종 여름전지(도장지와 햇볕가리는 가지치지)
6월20~7월초;조생종자두 수확기 (수확일을 6/25일전후로 보고, 수확15일전 잔류농약문제로 농약살포금지 )
7월초~말; 조생종 추비 질소20%살포
7월중순~8월중순(추희제외) 중생종 수확기
8월중순~하순;중만생종 수확종료후 덧거름주기 질소20%살포 1, 조생및중생종의 수확 종료후 감사농약으로 DDVP, 다이센엠45등을 살포한다 2, 만생종인 추희는 조생종 대석조생의 수확이후에도 수확15일전까지 계속 열매의 탄저병 및 회성병 방제 와 심식나방등 나방류의 방제를 계속해야 한다
8/말; 제초작업, 근사미 집중살포
================================================================================================ 자두나무 전지요령
자두나무의 전지는 복숭아나무의 전지요령과 큰 차이는 없으나 잔가지 정리문제에 신경을 많있야한다. 즉 잔가지 절단을 신중히 해야 한다
1,자두 유목의 전지는 개심 자연형으로 주지를 중심으로 수형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주지의 숫자를 적게하여 결과지가 발달하도록 해야한다.(주지수2~4개) 이때 주지로 지목한 가지는 가지의 끝을 절단하여서는 안되며, 옆으로난 잔가지가 서로 경쟁지가 되지 않도록 한다.
2, 성목의 전지는 이미 만들어진 주지를 기준선으로 잡고 좌우의 측지와 결과지를 관리하는 것이다. 위로 난 가지와 밑으로 처진 가지의 관리문제와 잔가지의 간격문제도 고려하면서 전지하면 된다. 그리고 주지의 끝은 유목전지때와 같이 가급적으로 자르지 않고 경쟁지만 절단하면 된다. 그리고 나무의 높이는 요즘 4m정도로 키우는 경향이 있다.(조기 다수확 방법)
3,주지수를 줄이는 문제(주지및 부주지의 수 조정--3~6개로) 주지가 너무 많으면 잔가지수가 적고, 나무속이 너무 복잡하게 된다. 이경우 주지(남겨둘 주지)를 기준선으로 해서 제거할 주지를 측지로 보고 부분절단또는 제거 작업을 한다,
|
출처: 농부몽의 살아가는 이야기 원문보기 글쓴이: 농부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