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거리재-백이산(인증)-빈계재-고등산(인증)-작은굴목재(인증)-조계산(명산100 인증)-접치(약 19.6km/10시간)
석거리재(4.6km), 백이산(582 2.2km), 분계재(1.6km) - 상탕군산(519.4 1.5km), 물붕굴재(1.2km), 고동치(고등재 2.3km)
- 장안치(2.8km) - 굴목재(2.1km) - 작은굴목재(1.0km) - 배바위 - 조계산(장군봉 887 0.8km) - 장박골갈림길(0.9km) - 접치(272 3.0km)
<시간계획>
ㅇ23:50~04:30 : 들머리 이동 (전남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 1061-1 주변)
ㅇ04:30~14:30 : 산행
* 차량 대기 장소 : 전남 순천시 주암면 행정리 산142-2 주변
ㅇ14:30~19:00 : 귀경
* 아래 지도는 핸드폰 디지털 이미지용으로 출력시 작아서 보이지 않을 수 있음.
좋은사람들 예약 홈페이지
석거리재는 전남 순천시 외서면 장산리와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 사이의 고개로 15번도로가 지나간다. 신거치(新巨峙), 신치(薪峙)라고도 하였으며 섶나무거리가 많아서 섶거릿재라 이름붙인 것이다. 석거리재는 섶거릿재가 변한 것이다.
전남 순천시 외서면 장산리, 신덕리, 순천시 낙안면 검암리, 옥산리, 벌교읍 낙성리 경계의
백이산(伯夷山 582)은 풍수적 측면에서 볼 때 우백호에 해당된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20-02 백이산 정상석
분계재는 전남 순천시 외서면 신덕리와 낙안면 하송리 사이의 고개로 58번도로가 지나간다. 분계치(分界峙), 분계령(分界嶺), 빈계치, 빈계재, 빙깃재 등으로도 불렸다. 고개에 있는 이정표에는 빈계재로 기재되어 있어 있다.
전남 순천시 외서면 신덕리, 낙안면 하송리, 목촌리 경계의
상탕군산(성탄군산 519.4)은 지명의 유래를 찾기 어렵다. 목촌리(木村里)는 목씨가 많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물붕굴재는 전남 순천시 외서면 쌍율리와 낙안면 목촌리 사이의 고개이다.
고동치(고등재 高同峙)는 전남 순천시 송광면 장안리와 낙안면 목촌리 사이의 고개이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21-01 고동산 정상석
장안치는 전남 순천시 송광면 장안리와 낙안면 평사리 장안골 사이의 고개이다.
굴목재(굴목이재)는 전남 순천시 송광면 장안리 장박골과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골 사이의 고개이다. 울창한 숲이 기나긴 굴을 이룬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배바위(船岩)는 장군봉에서 남쪽 능선으로 약 100m 아래에 위치한 약 70m높이의 바위로 옛날 세상이 온통 물에 잠기는 홍수가 발생하였지만 사람들이 커다란 배를 이 바위에 묶어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21-02 작은굴목재 안내판,이정목
전남 순천시 송광면 장안리, 승주읍 죽학리 경계의
조계산(장군봉 曹溪山 887)은 서쪽에 삼보사찰 가운데 승보사찰(僧寶寺刹)인 송광사와 동쪽에 선암사가 있다. 고온다습한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예로부터 소강남(小江南)이라 불렸으며, 송광산(松廣山)이라고도 한다.
전남 순천시 송광면 장안리 장박골은 조계산의 능선을 따라 이어진 골짜기이다.
★ 블랙야크 호남정맥 인증지 : 블랙야크 100대명산
접치(接峙 272m)는 전남 순천시 주암면 행정리 접치마을과 승주읍 두월리 사이의 고개로 22번도로와 호남고속도로가 지나간다. 행정리는 은행나무 정자가 있다 하여붙여진 이름이다.
GPS 트랙
- 설명이 포함된 트랙 : 지명 유래 및 인증지 리스트
- 간략 설명 및 인증지 리스트 : 램블러용
조계산 참고 산행기
누리사랑의 산이야기 | 조계산 산행기 및 GPS 트랙 : 2021-04-24 - Daum 카페
누리사랑의 산이야기 | 조계산 산행기 및 GPS 트랙 : 2020-10-24 - Daum 카페
누리사랑의 산이야기 | 조계산 산행기 (105/130) : 2017-04-01 - Daum 카페
호남정맥 산행기 참고용
호남정맥20차(석거리재~접치)
2024년 호남정맥 18구간 석거리재~접치
석거리재 ~ 접치 :: 산지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