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주관으로 12월17일 충주 그랜드호텔에서 염소산업발전에대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합니다
여러번 이런 행사에 참석했읍니다만 매번 같은 내용을 레코드판 처럼 되풀이되어 식상했는데, 이번에는 정말로 우리 염소사육 농가에 꼭 필요한 내용을 논의했으면 하는 바람에 이 글을 씁니다
사육농가로서.......
염소산업이 발전할려면 정부에서 해주어야할 일이 있고 사육농가 자력으로 해야할 일이 있읍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농림부과장과 축협등 관련 기관의 토론자가 참석한다고하니 정부에 요구할 사항을 서술코자합니다
1.축협에서 염소경매시장을 운영해야한다.
축산법34조에 가축시장은축협만이개설할수있다
했읍니다
이는 축협에 시장개설 권한을 부여한것인데 왜? 기타 가축인 염소는 소처럼 경매 시장을 운영안하는지?
2.몇개 군 단위로 염소 도축장이 개설되어야한다
현 정부의 정책방향의 한 축인 불량식품근절에 염소불법도축이 단속의 중요한 과제처럼 되어있읍니다
관행적으로 해오던 것을 제도권으로 흡수할려면 먼저 도축장을 마련해야 함은 삼척동자도 알수있는 일인데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3.종축개량을 정부차원에서 이루어져야한다
소나 돼지는 종축개량을 위해 다양한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염소는 종축개량에대해 전혀 지원이 없는 상태입니다
국가차원에서 하던가 아니면 종축시범농장을 선정 지원하여 개인이 하기어려운 일을 하여야합니다.
4.산지생태축산 및 동물 복지 농장에 대한 개별법의 규제를 완화해 산지의 활용을 높혀야한다
현행 산지관리법이나 환경영향평가법 환경보존법등등 의 개별법에의해 초지의 신규조성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산지에 가축방목도 절차가 너무 복잡해 사실상 어려운 실정입니다
이러한 규제를 완화해야만 합니다
.........
이러한 현실성있는 문제에대한 해결 방안을 위해 이번 심포지엄이 활용되었으면 합니다
물론 이에 앞서 우리 염소사육농가도 단합된 협회로 재구성하여 자조금등등 우리가 해야할일을 먼저 실행해야함은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답답하기만 합니다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염소산업 발전을 위한 심포지엄에 대한 의견
경매사
추천 0
조회 352
15.11.27 23:39
댓글 6
다음검색
첫댓글 경매사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고양이 목에 방울을 누가 달가요...?
염소천국에 올린글이 삭제되었네?
심포지엄에서 주장하시길...
저는 초지학술심포지엄에서 산지생태축산의 문제점을 여러교수들 앞에서 이슈화시켰듯이 누군가는 해야할 일입니다
왠 만한 시군 축산, 산림과 공무원들은 산지생태축산 이란 단어도 겨우 알아듣는 수준입니다. 저역시 시도하다 지쳐서 우선 15,000제곱미터에 한해서 신고 수리 하였는데, 설계비용이우선 400만원에 수목 표본 조사비 100만에, 관리사 신고,설계비 별도, 임도 별도, 보증보험료 350만원에... 세월은 하세윌에... 울타리 망값,설치비 3,000 여만원에 우선 50마리가 적정선 이랍니다. 산이 20만평의구릉지인데... 법과 시행령이보완내지 개정 안되면 ...엄청난비용과 하세월은...
관련 모임에가봐도 뜬구름잡는 고명한 학자님과 모임자체에 방점을두는 면피성 공무원과... 실망의... 앞으로는 염소 양축단체의 명의로 개선책을 개진하고, 농림수산부에도 계속적,반복적으로 요구.청원 해야... 신경을 좀쓸듯 합니다.
해본 사람은 그 어려움을 알지요
지역이 어딥니까?
문경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