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卦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4. 象傳상전
象傳상전
p.606 【經文】 =====
象曰風行天上小畜君子以懿文德
象曰, 風行天上, 小畜, 君子以, 懿文德.
象曰 風行天上이 小畜이니 君子以하여 懿文德하나니라
「象傳상전」에서 말하였다.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함이 小畜소축이니, 君子군자가 그것을 본받아서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
中國大全
p.606 【傳】 =====
乾之剛健而爲巽所畜夫剛健之性惟柔順爲能畜止之雖可以畜止之然非能固制其剛健也但柔順以擾係之耳故爲小畜也君子觀小畜之義以懿美其文德畜聚爲蘊畜之義君子所蘊畜者大則道德經綸之業小則文章才藝君子觀小畜之象以懿美其文德文德方之道義爲小也
乾之剛健而爲巽所畜, 夫剛健之性, 惟柔順爲能畜止之. 雖可以畜止之, 然非能固制其剛健也, 但柔順以擾係之耳. 故爲小畜也. 君子觀小畜之義, 以懿美其文德. 畜聚, 爲蘊畜之義. 君子所蘊畜者, 大則道德經綸之業, 小則文章才藝. 君子觀小畜之象, 以懿美其文德. 文德方之道義爲小也.
乾之剛健而爲巽所畜하니 夫剛健之性은 惟柔順爲能畜止之라 雖可以畜止之나 然非能固制其剛健也요 但柔順以擾係之耳라 故爲小畜也라 君子觀小畜之義하여 以懿美其文德하나니 畜은 聚니 爲蘊畜之義라 君子所蘊畜者는 大則道德經綸之業이요 小則文章才藝니 君子觀小畜之象하여 以懿美其文德이라 文德을 方之道義하면 爲小也라
乾卦(건괘, ䷀ ☰☰ 重天乾卦중천건괘)가 剛健강건한데 巽卦(손괘, ䷸ ☴☴ 重風巽卦중풍손괘)에게 沮止저지되니, 剛健강건한 性質성질은 柔順유순함만이 沮止저지할 수 있다. 비록 沮止저지하여 그치게 할 수는 있으나, 그 剛健강건함을 堅固견고하게 制御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다만 柔順유순함으로써 길들이고 매어 놓을 뿐이다. 그러므로 小畜소축이 된다. 君子군자가 小畜소축의 意味의미를 살펴서 그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 ‘쌓음’은 모으는 것이니, 간직하여 모으는 뜻이 된다. 君子군자가 간직하여 모으는 것이 큰 것은 道德도덕과 經綸경륜의 事業사업이고, 작은 것은 文章문장과 才藝재예이니, 君子군자가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의 象상을 살펴 그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 ‘文德문덕’은 道義도의에 比較비교하면 작은 것이 된다.
p.607 【本義】 =====
風有氣而无質能畜而不能久故爲小畜之象懿文德言未能厚積而遠施也
風有氣而无質, 能畜而不能久, 故爲小畜之象. 懿文德, 言未能厚積而遠施也.
風은 有氣而无質하니 能畜而不能久라 故爲小畜之象이라 懿文德은 言未能厚積而遠施也라
바람은 氣運기운은 있으나 形質형질이 없으니, 쌓을 수는 있으나 오래할 수는 없으므로 小畜소축의 象상이 된다.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함’은 두텁게 쌓아 멀리 베풀 수 없음을 말한다.
p.607 【小註】=====
或問風行天上小畜象義如何朱子曰天在山中大畜蓋山是堅剛之物故能力畜其三陽風是柔軟之物止能小畜之而已
或問, 風行天上, 小畜象義, 如何. 朱子曰, 天在山中大畜. 蓋山是堅剛之物, 故能力畜其三陽, 風是柔軟之物, 止能小畜之而已.
어떤 이가 물었다. “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함이 小畜소축이다.’라고 하는 象상의 意味의미는 어떠합니까?"
朱子주자가 答답하였다. ”하늘이 山산 속에 있는 것이 大畜대축이다. 山산은 굳고 단단한 物件물건이므로 힘이 그 세 陽양을 沮止저지할 수 있으나, 바람은 柔軟유연한 物件물건이므로 다만 조금 沮止저지할 수 있을 뿐이다.“
○ 君子以懿文德言畜他不住且只逐些子發泄出來只以大畜比之便見得大畜說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小畜只是做得這些箇文德如威儀文辭之類
○ 君子以懿文德, 言畜他不住, 且只逐些子發泄出來, 只以大畜比之, 便見得. 大畜說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 小畜只是做得這些箇文德, 如威儀文辭之類.
“君子군자가 그것을 본받아서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는 말은 陽양을 沮止저지하지 못하고, 또 다만 조금 따라서 새어 나옴을 말하니, 다만 大畜대축으로 比較비교하면 곧 알 수 있다. 大畜卦(대축괘, ䷙ ☶☰ 山天大畜卦산천대축괘)에서는 “以前이전의 말과 지나간 行蹟행적을 많이 알아서 그 德덕을 쌓는다.”고 하였고,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에서는 이러한 하나의 文德문덕이라고만 할 수 있으니, 威儀위의나 文辭문사 같은 種類종류이다.
○ 潛室陳氏曰風行天上而有取於畜之理何也蓋風者披揚解散之意今爲風矣而止行於天之上是猶有物止畜而未得解散所以成畜之小也
○ 潛室陳氏曰, 風行天上, 而有取於畜之理, 何也. 蓋風者, 披揚解散之意. 今爲風矣, 而止行於天之上, 是猶有物止畜而未得解散, 所以成畜之小也.
潛室陳氏잠실진씨가 말하였다.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하는데, 沮止저지하는 理致이치를 取취함이 있는 것은 어째서인가? 바람이라는 것은 헤쳐서 흩날리고 풀어 흩뜨리는 뜻을 갖고 있다. 이제 바람이 되어 하늘 위에서 行행함은 物件물건이 그치고 쌓여 아직 풀어 흩뜨려지지 않음이 있기 때문에 沮止저지함을 이룸이 작음과 같다.”
○ 雲峰胡氏曰小畜風行天上有氣无質懿文德者以之大畜天在山中氣凝於質多識前言往行者以之
○ 雲峰胡氏曰, 小畜風行天上, 有氣无質, 懿文德者以之. 大畜天在山中, 氣凝於質, 多識前言往行者以之.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小畜소축은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하여 氣運기운은 있으나 形質형질이 없으니,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하는 사람이 그것을 본받는다. 大畜대축은 하늘이 山산 속에 있어서 氣運기운이 形質형질에 凝結응결되니, 以前이전의 말과 지나간 行蹟행적을 많이 아는 사람이 그것을 본받는다.“
韓國大全
【조호익(曺好益) 『역상설(易象說)』】 |
風者无質, 山者有形. 无質故畜之小, 而天之文見, 有形故畜之大, 而天之文隱. 君子法文之見, 故懿美其文, 法文之隱, 故藏畜其德. 德者, 文之藏於內者也, 文者, 德之見於外者也. |
바람은 形質형질이 없고 山산은 形體형체가 있다. 바람은 形質형질이 없기 때문에 沮止저지함이 작아서 하늘의 文彩문채가 드러나고, 山산은 形質형질이 있기 때문에 沮止저지함이 커서 하늘의 文彩문채가 숨는다. 君子군자는 文彩문채가 드러난 것을 본받아서 그 文彩문채를 아름답게 하고, 文彩문채가 숨은 것을 본받아서 그 德덕을 감추어 쌓는다. 德덕이란 文彩문채가 안으로 감추어진 것이고, 文彩문채란 德덕이 밖으로 드러난 것이다. |
【김장생(金長生) 「주역(周易)」】 |
傳, 擾係. 擾, 順也. |
『程傳정전』에서 말하였다. "길들이고 매어놓는다. ‘擾요’는 順순함이다. |
【이만부(李萬敷) 「역통(易統)‧역대상편람(易大象便覽)‧잡서변(雜書辨)」】 |
臣謹按, 傳, 以文德作文章才藝, 本義, 亦云未能積厚而遠施. 此象之辭, 若不關係於帝王之學, 而朱子又曰, 文德如威儀文辭之類. |
臣신이 삼가 살펴보았습니다. 『程傳정전』에서는 文德문덕을 文章문장과 才藝재예라고 하였는데, 『本義본의』에서도 “두텁게 쌓아 멀리 베풀 수 없음”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象傳상전」의 말이 帝王제왕의 學文학문에 關係관계되지 않는 것 같은데, 朱子주자는 또 “文德문덕은 威儀위의나 文辭문사의 部類부류와 같다.”고 하였습니다. |
雖是帝王之學, 若全廢其文辭, 則無以資其講明. 此所謂懿文德也. |
비록 帝王제왕의 學文학문일지라도 그 文辭문사를 全部전부 廢止폐지하게 되면, 그 講明강명함을 뒷받침할 根據근거가 없습니다. 이것이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는 것입니다. |
【김도(金濤) 「주역천설(周易淺說)」】 |
愚按, 本義下, 朱子所釋, 惟二條, 陳氏胡氏所釋, 又惟二條, 而皆合於大象之旨矣. 夫文德者, 乃文章才藝之屬, 而所以懿之云者, 只是做得於這裏, 而欲其施用於事爲之間也, 此雖是美好之事, 而譬之於道德, 則抑末也, 本義所謂未能厚積而遠施者, 卽此也. |
내가 살펴보았다. 『本義본의』 아래에 朱子주자가 풀이한 것이 두 條目조목이고 陳氏진씨와 胡氏호씨가 풀이한 것이 또 두 條目조목인데, 모두 「大象傳대상전」의 終止종지에 附合부합한다. 文德문덕은 바로 文章문장과 才藝재예 따위인데 그것을 아름답게 한다고 말한 것은 다만 文章문장과 才藝재예에서 行행하여 그 일과 行爲행위의 사이에 그 베풀음을 쓰고자 함이니, 이것이 비록 아름다운 일이지만 道德도덕에 譬비하면 도리어 末端말단으로 『本義본의』에서 “두텁게 쌓아 멀리 베풀 수 없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
後之人不達此意, 而惟飾乎言語文字之末, 則不幾於文勝之史乎. 學者苟能自小而求大, 卽末而探本, 則道德經綸之業, 可反於吾身矣, 勉之哉. |
後代후대의 사람들이 이 뜻을 理解이해하지 못하고 오직 言語언어와 文字문자의 末端말단만을 꾸미니, 文彩문채가 이기는 겉치레에 가깝지 않겠는가? 배우는 者자가 眞實진실로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을 求구하며 末端말단에 나아가 根本근본을 探求탐구할 수 있다면, 道德도덕과 經綸경륜의 일을 自己자기 몸에 돌이켜 볼 수 있을 것이니, 힘써야 할 것이다. |
【유정원(柳正源) 『역해참고(易解參攷)』】 |
正義, 風爲號令, 若風行天下, 則施附於物, 不得云施未行也. 今風在天上, 去物旣遠, 旡所施及, 故曰風行天上. |
『正義정의』에서 말하였다. “바람은 號令호령이니, 바람이 天下천하에 불면 베풀음이 萬物만물에 닿아 ‘베풀음이 行행해지지 않는다.’고 말하지 못한다. 이제 바람이 하늘 위에 있어 萬物만물과 이미 멀리 떨어져 베풀어 미치는 바가 없기 때문에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한다.”고 하였다.“ |
○ 龜山楊氏曰, 小畜之時, 以柔畜剛, 故君子以懿文德. 孔子曰, 遠人不服, 修文德以來之, 則畜剛莫尙乎文德也. |
龜山楊氏구산양씨가 말하였다. “ ‘小畜소축의 때’는 부드러운 陰음으로 굳센 陽양을 沮止저지하기 때문에 君子군자가 본받아서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하는 것이다. 孔子공자는 ‘멀리 있는 사람이 服從복종하지 않으면 文德문덕을 닦아 오게 한다.’고 하였으니, 굳센 陽양을 沮止저지함이 文德문덕을 崇尙숭상하는 것만 한 것이 없다.” |
○ 廣平游氏曰, 天以剛健, 故其事武, 地以柔順, 故其事文. 風之柔旡所不入, 地類也, 故有文德之象. |
廣平游氏광평유씨가 말하였다. “하늘은 剛健강건하기 때문에 그 일이 굳세고, 땅은 柔順유순하기 때문에 그 일이 文彩문채가 난다. 바람의 부드러움이 들어가지 못할 곳이 없고 땅의 種類종류이기 때문에 文德문덕의 象상이 있다.” |
○ 雙湖胡氏曰, 此象專主一柔言美文德之事, 難倣他卦兩體竝論. |
雙湖胡氏쌍호호씨가 말하였다. "이 象상이 專的전적으로 부드러운 한 陰음을 主人주인으로 하여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하는 일을 말하였으니, 다른 卦괘에서 두 몸체를 함께 擧論거론한 것의 準據준거로 삼기는 어렵다." |
本義, 厚積遠施. 『本義본의』에서 말하였다. “두텁게 쌓아 … 멀리 베푼다.” |
案, 書曰誕敷文德, 詩曰矢其文德, 文德非不能厚積遠施也, 而添一懿字, 則此專以威儀文辭言也. 君子之德, 但以威儀言語爲美, 則必有文勝滅質之弊. 是如風之有氣旡質也, 其何能厚積而遠施乎. |
내가 살펴보았다. 『書經서경』에서 “크게 文德문덕을 편다.”고 하고, 『詩經시경』에서 “그 文德문덕을 베푼다.”[주 16]고 하였다. 文德문덕은 두텁게 쌓아서 멀리 베풀 수 없는 것이 아닌데도 “아름답게 한다.”는 ‘懿의’字자를 덧붙였으니, 이것은 專的전적으로 威儀위의와 文辭문사로써 말한 것이다. 君子군자의 德덕이 다만 威儀위의나 言語언어로써 아름다움을 삼는다면, 반드시 너무 꾸미게 되어 素朴소박함을 잃어버리는 弊端폐단이 있다. 이것은 바람이 氣運기운은 있는데 形質형질이 없는 것과 같으니, 그것이 어떻게 두텁게 쌓아 멀리 베풀 수 있는 것이겠는가? |
16) 『詩經시경‧蕩之什탕지십』. |
【김상악(金相岳) 『산천역설(山天易說)』】 |
懿美也. 文德如威儀文辭之類, 有書契而後有文德, 有文德而後禮有節文. |
‘懿의’는 아름답게 함이다. 文德문덕은 威儀위의나 文辭문사 같은 部類부류이니, 書契서계가 있은 뒤에 文德문덕이 있고, 文德문덕이 있은 뒤에 禮義예의에 節文절문이 있다. |
古者聖人作書契以代結繩, 百官以治萬民, 以察取之于夬, 故小畜曰懿文德, 履曰辨上下定民志, 所以文之德燦然有條理, 於斯爲美. |
옛날 聖人성인이 書契서계를 만들어 結繩결승[주 17]을 代身대신하였고 百官백관을 두어 萬民만민을 다스리면서 夬卦(쾌괘, ䷪ ☱☰ 澤天夬卦택천쾌괘)에서 살펴 取취하였기 때문에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에서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고 하였고, 履卦(이괘, ䷉ ☰☱ 天澤履卦천택리괘)에서는 “위아래를 分辨분변하여 百姓백성의 뜻을 定정한다.”고 하였으니, 이 때문에 文彩문채의 德덕이 燦然찬연히 條理조리가 있어 이에 아름답게 되었다. |
17) 結繩결승:옛적에 글자가 없었던 時代시대에, 노끈으로 매듭을 맺어서 記憶기억의 便利편리를 꾀하고 또 서로 뜻을 通통하던 것이다. |
* 書契서계: 글자로 事物을 나타내는 符號부호. 文字문자를 말한다. 中國의 아주 太古 적에는 文字문자가 없어서 노끈으로 매듭을 맺어 政令정령의 符號부호로 삼다가, 伏羲氏복희씨가 王왕이 되고 나서 처음으로 文字문자를 만들어 使用사용하였다. 『周易주역』 「繫辭계사」 下 |
【박윤원(朴胤源)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
本義, 以爲文德方之道義爲小. 以此觀之, 此言文德, 與舜之誕敷文德之文德, 不同歟. |
『本義본의』[주 18]에서 “文德문덕은 道義도의에 比비하면 작은 것이 된다.”고 하였다. 이것으로 살펴본다면 여기서 말한 文德문덕은 “舜순임금이 文德문덕을 크게 편다.”[주 19]고 한 文德문덕과는 같지 않은 듯하다.“ |
18) 『本義본의』가 아니라 『程傳정전』의 內容내용인데, 錯誤착오가 있는 듯하다. |
19) 『書經서경‧大禹謨대우모』. |
【김귀주(金龜柱) 『주역차록(周易箚錄)』】 |
本義, 風有氣, 云云. 『本義본의』에서 말하였다. "바람은 氣運기운은 있으나, 云云운운." |
小註, 濳室陳氏曰, 風行, 云云. 小註소주에서 潛室陳氏잠실진씨가 말하였다. "바람이 行행하는데, 云云운운." |
○ 按, 此云有物止畜而未得解散者, 恐非小畜之象, 當以本義所云能畜而不能久爲小畜者爲正. |
내가 살펴보았다. 여기서 “物件물건이 그치고 쌓임은 있으나 아직 풀어지고 흐트러지지 않았으니”라고 말한 것은 아마도 小畜소축의 象상은 아닌 듯하니, 當然당연히 『本義본의』에서 “쌓을 수는 있으나 오래할 수는 없다는 것으로 小畜소축을 삼은 것”이 바르다. |
雲峰胡氏曰, 小畜, 云云. 雲峰胡氏운봉호씨가 말하였다. "小畜소축은, 云云운운." |
○ 按, 本義之言有氣無質, 蓋言風之爲物, 本柔軟也. 風本柔軟, 故所畜者小, 山則堅剛, 故所畜者大. 胡氏乃以天在山中爲氣凝於質者, 未知何謂. |
내가 살펴보았다. 『本義본의』에서 “氣運기운은 있으나 形質형질이 없다.”고 말한 것은 大體대체로 바람이란 것이 本來본래 柔軟유연함을 말한다. 바람은 本來본래 柔軟유연하기 때문에 쌓이는 것이 작고, 山산은 단단하고 굳세기 때문에 쌓인 것이 크다. 胡氏호씨는 바로 하늘이 山산 안에 있는 것을 氣運기운이 形質형질에서 엉기는 것으로 보았는데, 무엇을 말하는지 모르겠다. |
【박제가(朴齊家) 『주역(周易)』】 |
本義, 懿文德, 言未能厚積而遠施也. |
『本義본의』에서 말하였다. “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함’은 두텁게 쌓을 수 없어서 멀리 베풀 수 없는 것을 말한다.” |
案, 此專釋畜之小者, 故如此說. 然卦雖小畜, 君子之以之者, 豈可亦小畜乎. 卦之不雨, 君子亦豈自爲密雲耶. 夫風行太空之中, 雖無形色, 其流動造化之妙, 甚大, 亦如人之文德之運用發見耳. |
내가 살펴보았다. 이것은 專的전적으로 沮止저지함이 작은 것만을 풀이하였기 때문에 이와 같이 말하였다. 그러나 卦괘가 비록 小畜소축이지만 君子군자가 그것을 본받는 것이 어찌 또한 작게 쌓는 것이겠는가? 卦괘에서 “비가 오지 않는다.”고 해서 君子군자가 또한 어찌 스스로를 빽빽이 낀 구름으로 여기겠는가? 바람이 虛空허공에 부는 것이 비록 模樣모양과 빛깔은 없지만, 그 흐르고 움직여서 造化조화롭게 되는 奧妙오묘함은 매우 커서 또한 사람의 文德문덕이 運用운용되고 發見발현되는 것과 같다. |
詩云, 矢其文德洽此四國, 如曰舞所以節八音, 而行八風者. 文德雖從外爲言, 亦必充積于中, 而後發見, 恐無不可厚積遠施之理. 大象之義, 正取其宣掦動盪. 如武事則必有剛猛嚴威之質, 文德則乃是無形跡之感化賁飾之具耳. |
『詩經시경』에서 “그 文德문덕을 베풀어 이 四方사방 國家국가를 潤澤윤택하게 한다.”고 하였으니, “舞무는 八音팔음을 調節조절하여 八風팔풍을 行행하는 것이다.”고 한 것과 같다. ‘文德문덕’이 비록 밖으로부터 말한 것이지만, 또한 반드시 안을 채우고 쌓은 뒤에 發見발현하니, 아마도 두텁게 쌓아 멀리 行행하는 理致이치 아닐 수 없을 것 같다. 「大象傳대상전」의 意味의미가 바로 그 드러내 떨치고 움직여 크고 넓음을 取취하였다. 軍隊군대의 일[武事무사]과 같은 境遇경우엔 반드시 굳세고 勇猛용맹하며 威嚴위엄이 있는 資質자질이 있으며, 文德문덕과 같은 境遇경우엔 바로 形體형체가 없는 感化감화이고 꾸밈(賁飾분식)을 아름답게 하는 道具도구뿐이다. |
以之而必曰文德, 且經曰風行, 不曰風止, 文固行遠者也. 如傳云, 文德方之道義爲小, 則猶之可也. 但取象各有所指, 非必舍道義之大, 而爲文德之小也. |
그것 때문에 반드시 ‘文德문덕’이라고 하고 또 「大象傳대상전」에서 “바람이 行행한다.”고 하고 “바람이 그친다.”고 하지 않았으니, 文彩문채가 眞實진실로 멀리까지 行행하는 것이다. 『程傳정전』에서 “文德문덕은 道義도의에 比비하면 작은 것이 된다.”고 한 것 같은 것은 오히려 괜찮다. 다만 象상을 取취한 것이 各各각각 가리키는 바가 있으니, 반드시 道義도의의 큰 것을 버려야 文德문덕의 작은 것이 되는 것은 아니다. |
況卦之二義, 風畜天則爲止, 天畜風則爲行, 畜而不能久, 雖曰彖義, 君子何必取畜而不久者爲德耶. 故彖言卦義, 大象只取物象, 做自已工夫者, 所以不同. |
하물며 卦괘의 두 가지 意味의미는 바람이 하늘에 쌓이면 그치게 되고 하늘이 바람을 쌓으면 行행하게 되니, 쌓지만 오래할 수 없는 것이 비록 ‘彖傳단전의 뜻’이라고 하지만, 君子군자가 何必하필이면 쌓지만 오래할 수 없는 것을 取취하여 德덕을 삼겠는가? 그러므로 「彖傳단전」에서는 卦괘의 意味의미를 말하고 「大象傳대상전」에서는 다만 物件물건의 象상을 取취하여 自己자기의 工夫공부로 삼은 것이 이 때문에 같지 않다. |
先儒多言, 此卦卦辭爻辭不同. 雲峯胡氏曰, 卦言畜, 取止之義, 爻言復, 取進之義, 不可一例觀. 雙湖胡氏曰, 諸爻各自取義, 無復密雲西郊意, 亦可見爻辭周公作, 故不同. |
以前이전 儒學者유학자들이 이 卦괘의 卦辭괘사와 爻辭효사가 같지 않다고 많이 말하였다. 雲峰胡氏운봉호씨는 “卦괘사에서 ‘畜축’을 말한 것은 ‘沮止저지한다’는 뜻을 取취한 것이고, 爻辭효사에서 回復회복함을 말한 것은 ‘나아간다’는 뜻을 取취한 것이니, 한 가지 例예로 살필 수 없다.”고 하였다. 雙湖胡氏쌍호호씨는 “여러 爻효가 各其각기 뜻을 取취하여 다시 ‘빽빽이 구름이 낌’과 ‘西서쪽 들’의 뜻이 없으니, 또한 爻辭효사가 周公주공의 글이기 때문에 같지 않음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
此皆說不出卦義. 夫行而後止之曰畜. 若初不行, 則初不以畜名矣, 故彖之傳曰, 密雲不雨尙往也, 言雲之尙往. 若不往則止, 止則便雨, 故自初以復爲言曰, 復自道. |
이것들은 모두 卦괘의 뜻을 말하지 못한 것이다. 行행하고 난 뒤에 그치게 함을 ‘畜축’이라고 한다. 萬若만약 애-初초에 行행하지 않았다면 처음부터 畜축으로 이름붙일 수 없기 때문에 「彖傳단전」에서 “빽빽이 구름이 끼고 비가 오지 않음은 위로 올라감”이라고 하였으니, 구름이 위로 올라간 것을 말한다. 萬若만약 올라가지 않았으면 그친 것이고, 그쳤으면 곧 비가 오기 때문에 初爻초효부터 回復회복함으로 말하여 “回復회복함이 道도로부터 함이니”라고 하였다. |
自道者, 陽之性也, 不待敎而能者, 故曰自道, 貴其進, 故曰道, 曰吉. 二之牽復, 與初同道, 故曰牽, 竝進之謂也. 二自中剛, 非牽於初而後進者也, 三始迫於陰, 而行不得, 故謂之輿說輻. |
‘道도로부터 함’은 陽양의 性質성질이니, 가르치지 않아도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道도로부터 함’이라고 하였고, 그 나아감을 貴귀하게 여기기 때문에 ‘道도’라고 하고 ‘吉길하다’고 하였다. 二爻이효에서 ‘이끌어 回復회복함’은 初爻초효와 道도가 같기 때문에 ‘이끈다’고 하였으니, 함께 나아감을 말한다. 二爻이효 自身자신은 가운데가 굳센 陽양이어서 初爻초효에게 이끌린 뒤에 나아가는 者자가 아니며, 三爻삼효는 陰음에게 막 逼迫핍박받아 行행할 수 없기 때문에 ‘수레에 바큇살이 벗겨진다.’고 하였다. |
乾體三陽竝進, 而指接於四者而言, 故謂之夫妻. 內懷不平, 故謂之反目, 皆取往意而不成雨者. 至四有孚, 而五以隣, 則巽體同力. 上九更無可往而止則雨, 此政小畜之亨, 而終無施未行之理. |
乾卦(건괘, ䷀ ☰☰ 重天乾卦중천건괘)의 몸체인 세 陽양이 함께 나아가는데, 四爻사효에 隣接인접한 것을 가리켜 말했기 때문에 ‘夫婦부부’라고 하였다. 안으로 不平불평을 품었기 때문에 ‘反目반목한다’라고 하였으니, 모두 가는 뜻을 取취하였으나 비를 이루지는 못한 것이다. 四爻사효의 ‘믿음이 있다’는 것과 五爻오효의 “이웃을 左之右之좌지우지 한다.”는 것에 이르면 巽卦(손괘, ䷸ ☴☴ 重風巽卦중풍손괘)의 몸체에서 힘을 合합한다. 上九상구는 다시 가서 그칠 것이 없어서 비가 내리니, 이것은 丁寧정녕 小畜소축의 亨通형통함이고 끝내 베풀어 行행해지지 못하는 理致이치가 없는 것이다. |
則周公之辭, 初非卦外之旨, 乃所以發明卦義者甚精. 卦則總言, 故不雨曰小畜, 爻分時, 故知小畜之終雨也. |
그렇다면 周公주공의 말이 애-初초에 卦괘 밖의 뜻은 아니라 卦괘의 義理의리를 發明발명한 까닭이 매우 精密정밀한 것이다. 卦괘는 通통틀어서 말했기 때문에 비가 오지 않음을 ‘小畜소축’이라고 하였고, 爻효는 나뉘는 때이기 때문에 小畜소축이 마침내 비가 옴을 알 수 있다. |
【서유신(徐有臣) 『역의의언(易義擬言)』】 |
風行天上, 主於風之辭, 天在山中, 主於天之辭也. 風不能行於天下, 而但行於天上, 風之欝畜也. 風畜故小畜也. 旣畜於上, 則將行於下也. 君子畜德於上, 而敷文於下, 如禹之文明敷于四海也. 文德詞命也, 巽象. |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함은 바람을 中心중심으로 한 말이고, 하늘이 山산 안에 있다는 것은 하늘을 中心중심으로 한 말이다. 바람이 天下천하에 行행할 수 없고 但只단지 하늘 위에서 行행하니, 바람이 가득 쌓이는 것이다. 바람이 쌓이기 때문에 조금 쌓이는 것이다. 위에서 쌓이고 나면 아래에서 行행하게 된다. 君子군자는 위에서 德덕을 쌓아 아래로 文彩문채를 펴니, 禹우임금의 文明문명이 四海사해에 펼쳐진 것과 같다. 文德문덕은 글로 펼치는 命令명령[詞命사명]이니, 巽卦(손괘, ䷸ ☴☴ 重風巽卦중풍손괘)의 象상이다. |
【박문건(朴文健) 『주역연의(周易衍義)』】 |
文德, 文敎也. 文德문덕은 文敎문교이다. |
〈問, 風行天上, 小畜, 君子以, 懿文德. 曰, 風行天上, 无所礙滯, 故小畜, 小爲聚止, 則其行必不已, 君子以之, 而懿美其文德於天下也. 觀於此, 則可以偃武而休文矣. |
물었다.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함이 小畜소축이니, 君子군자가 그것을 본받아서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答답하였다.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하는 것은 걸려 막히는 바가 없기 때문에 小畜소축인데, 조금 모이고 그치게 되면 그 行행함이 반드시 그치지 않으니, 君子군자가 그것을 본받아서 天下천하에 그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보면 武器무기를 놓아두고 學文학문을 닦아 나라를 太平태평하게 할 수 있습니다.” [주 20]〉 |
20) 『書經서경‧武城무성』:偃武而修文언무이수문. |
【이지연(李止淵) 『주역차의(周易箚疑』】 |
程傳曰, 文德方之道德爲小也, 本義曰, 文德, 言未能厚積而遠施也. 此皆明畜小之義, 而但道德經綸, 非文德而何. 又焉有文德而未能厚積遠施者乎. |
『程傳정전』에서는 “文德문덕은 道德도덕에 比較비교하면 작은 것이 된다.”고 하였고, 『本義본의』에서는 “文德문덕은 두텁게 쌓아 멀리 베풀 수 없음을 말한다.”[주 21]고 하였다. 이것은 모두 小畜소축의 意味의미를 밝힌 것이고 道德도덕과 經綸경륜일 뿐이니, 文德문덕이 아니라면 무엇이겠는가? 또 어찌 文德문덕은 있는데 두텁게 쌓아 멀리 베풀 수 없는 것이 있겠는가? |
蓋文德者, 與武德有間. 武德, 則有發掦蹈厲氣象, 文德, 則有雍容揖遜意思, 此其无跡可見, 風行天上之象也. |
大體대체로 ‘文德문덕’은 ‘武德무덕’과 差異차이가 있다. 武德무덕은 곧 發掦발양하여 奮發분발하는 氣象기상이 있지만, 文德문덕은 和樂화락하고 包容포용하여 謙遜겸손한 뜻이 있으니, 이것은 그 文德문덕의 자취가 없음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하는 象상이다. |
舜階之敷文德, 禹服之敷文敎, 使天下之人慕而效之, 如草之必偃也. 然則小畜取象, 只就風行二字而已, 似不帖, 帖於本卦上以陰畜陽之意歟. |
舜순임금이 階段계단에 서서 文德문덕을 펴고,[주 22] 禹우임금은 天下천하를 五服오복[주 23]으로 나누어서 文敎문교를 펼쳐[주 24] 天下천하의 사람들로 하여금 思慕사모하여 본받게 하니, 바람에 풀이 반드시 눕는 것과 같았다. 그렇다면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의 象상을 取취한 것이 但只단지 “바람이 行행한다.”는 ‘風行풍행’ 두 글자에 나아간 것일 뿐이어서 덧붙일 것이 없을 듯한데, 本본 卦괘에 陰음으로 陽양을 沮止저지하는 뜻을 덧붙이겠는가? |
卦以畜爲名, 而爻以復爲義, 若相戾, 而復故畜之, 畜故益欲復之也. 復字上, 尤可見畜之之義, 而因以存扶陽之意焉. |
卦괘가 ‘쌓는다’는 畜축으로 이름을 삼고 爻효가 ‘回復회복함’으로 뜻을 삼았으니, 卦괘와 爻효가 서로 어긋나는 것 같지만 回復회복하기 때문에 쌓으며, 쌓기 때문에 더욱 回復회복하려 하는 것이다. ‘回復회복한다’는 ‘復복’字자에서 더욱 쌓는 뜻을 볼 수 있으니, 陽양을 북돋우려는 뜻을 保存보존해두었기 때문이다. |
大有之九二, 曰大車以載, 九二爲大車, 則九三其爲輻乎. 此卦之正對爲豫, 豫之六三亦盱豫, 柔而不中不正者, 剛而不正者, 同一情態也. |
大有卦(대유괘, ䷍ ☲☰ 火天大有卦화천대유괘)의 九二구이에서 “큰 수레로 싣는다.”고 하였으니, 九二구이가 ‘큰 수레’가 되면 九三구삼은 그 수레바퀴가 된다. 이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의 陰陽음양이 바뀐 卦괘가 豫卦(예괘, ䷏ ☳☷ 雷地豫卦뇌지예괘)가 되는데, 豫卦(예괘, ䷏ ☳☷ 雷地豫卦뇌지예괘)의 六三육삼이 또한 ‘올려다 보며 기뻐함’이니, 부드러운 陰음으로 가운데 있지도 않고 바르지도 않은 것과 굳센 陽양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同一동일한 實情실정이다. |
自四至二爲互兌, 有中孚之意. 以一柔敵三剛, 豈无傷乎. |
四爻사효에서 二爻이효까지는 互卦호괘인 兌卦(태괘, ䷹ ☱☱ 重澤兌卦중택태괘)가 되니, 中孚卦(중부괘, ䷼ ☴☱ 風澤中孚卦풍택중부괘)의 뜻이 있다. 부드러운 한 陰음으로 굳센 세 陽양을 對敵대적하니, 어찌 傷상함이 없겠는가! |
需之上六, 敬之而无咎, 畜之六四, 惕之而无咎, 爲陰之道, 當以處順得正而卑已尊陽爲貴也. |
需卦(수괘, ䷄ ☵☰ 水天需卦수천수괘)의 上六상육이 恭敬공경하여 허물이 없고,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의 六四육사가 두려워하여 허물이 없는 것은 陰음의 道도가 되니, 마땅히 順순한데 있어 바름을 얻고 自身자신을 낮추어 陽양을 높이는 것으로 貴귀함을 삼는다. |
巽有近利市三倍之象, 故曰冨. |
巽卦(손괘, ䷸ ☴☴ 重風巽卦중풍손괘)에 利益이익을 追求추구하여 세 倍배의 利潤이윤을 남기는 象상이 있으므로 ‘富者부자’라고 하였다. |
密雲不雨, 單指六四而言也. 旣雨旣處, 竝指九五上九而言也. 五六二陽與四同體, 則亦爲陽中之陰也. 畜至於上九, 便是以三陰而畜三陽, 故陰陽和合, 下三陽, 亦不能進, 而止於止處, 故云旣雨旣處也. |
“빽빽이 구름이 끼고 비가 오지 않음”은 六四육사만을 가리켜 말한다. “이미 비가 오고 이미 그침”은 九五구오와 上九상구를 아울러 가리켜서 말한다. 五爻오효와 六爻육효의 두 陽양은 四爻사효와 한 몸이니 또한 陽양 가운데의 陰음이 된다. 沮止저지함이 上九상구에 이르면 바로 세 陰음으로 세 陽양을 沮止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陰음과 陽양이 和合화합하고, 아래의 세 陽양이 또한 나아갈 수 없어서 그쳐야 할 곳에서 그치기 때문에 “이미 비가 오고 이미 그침”이라고 하였다. |
月指巽體. 君子指下三陽. 坤之上六, 曰陰疑於陽, 必戰, 疑敵也. |
‘달’은 巽卦(손괘, ䷸ ☴☴ 重風巽卦중풍손괘)의 몸체를 가리킨다. ‘君子군자’는 아래의 세 陽양을 가리킨다. 坤卦(곤괘, ䷁ ☷☷ 重地坤卦중지곤괘)의 上六상육에 “陰음이 陽양을 疑心의심하면 반드시 싸운다.”고 하였으니, 敵적으로 疑心의심한 것이다. |
21) 이 部分부분의 『本義본의』 原文원문은 “懿文德, 言未能厚積而遠施”으로, 「大象傳대상전」의 “風行天上, 小畜, 君子以, 懿文德. ”를 註解주해한 것이다. |
22) 『書經서경‧大禹謨대우모』. |
23) 中國중국 堯舜요순 時代시대의 制度제도로 王畿왕기를 中心중심으로 하여 周圍주위를 五百里씩 順次的순차적으로 나눈 다섯 區域구역. 上古상고에는 甸服전복‧侯服후복‧綏服수복‧要服요복‧荒服황복을 五服오복이라 하였다. |
24) 『書經서경‧禹貢우공』. |
【김기례(金箕澧) 「역요선의강목(易要選義綱目)」】 |
風者, 有氣无質, 況在天上不能畜止乾剛, 故小畜. 君子不能施道德, 故懿文德而已. |
바람은 氣運기운이 있지만 形質형질이 없으니, 하물며 하늘 위에 있어서는 乾卦(건괘, ䷀ ☰☰ 重天乾卦중천건괘)의 굳센 陽양을 沮止저지하여 그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小畜소축이다. 君子군자가 道德도덕을 베풀 수 없기 때문에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할 뿐이다. |
【이항로(李恒老) 「주역전의동이석의(周易傳義同異釋義)」】 |
按, 傳義両釋, 互相發明, 叅看乃好. |
내가 살펴보았다. 『程傳정전』과 『本義본의』의 두 풀이는 서로 밝혀 드러냈으니, 參考참고하여 보는 것이 좋다. |
【심대윤(沈大允) 『주역상의점법(周易象義占法)』】 |
風有氣无質, 畜而无形, 故君子象之以懿文德. 文, 文章制度也, 德, 德行也. 〈君子之文, 可以施行而立德, 故曰文德.〉 |
바람은 氣運기운이 있지만 形質형질이 없어 쌓이더라도 模樣모양이 없기 때문에 君子군자가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는 것으로 그것을 形狀형상하였다. 文德문덕에서의 ‘文문’은 文章문장과 制度제도이고, ‘德덕’은 德行덕행이다. 〈君子군자의 文彩문채는 施行시행하여 德덕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文德문덕’이라고 하였다.〉 |
【오치기(吳致箕) 「주역경전증해(周易經傳增解)」】 |
以陰畜陽, 不若大畜之以陽畜陽, 故爲小畜, 而若言大畜, 則道德義理之實行也. 君子觀風行天上, 有氣旡質之象, 懿美其文德, 比之大畜之道義爲小也. 文德如文章才藝也. |
陰음으로 陽양을 沮止저지함은 大畜卦(대축괘, ䷙ ☶☰ 山天大畜卦산천대축괘)의 陽양으로 陽양을 沮止저지하는 것보다는 못하기 때문에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가 되는데, 萬若만약 大畜대축괘를 말한다면 道德도덕과 義理의리가 實行실행된다. 君子군자가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함에 氣運기운은 있지만 形質형질이 없는 象상을 보았으니, 그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함은 大畜卦(대축괘, ䷙ ☶☰ 山天大畜卦산천대축괘)의 道義도의에 比較비교하면 작은 것이 된다. 文德문덕은 文章문장과 才藝재예와 같다. |
【이진상(李震相) 『역학관규(易學管窺)』】 |
風行天上, 則施未及於天下也. 風有氣而無質, 故其象爲懿文. 文勝質, 則其不能厚積而遠施, 固宜. 若詩之言矢其文德, 書之言誕敷文德, 質文之相孚者也. |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하면 베풀음이 天下천하에 미치지 못한다. 바람은 氣運기운이 있지만 形質형질이 없기 때문에 그 象상이 文彩문채를 아름답게 함이 된다. 文彩문채가 바탕을 이기면 두텁게 쌓아 멀리 베풀 수가 없는 것이 眞實진실로 마땅하다. 『詩시』에서 “그 文德문덕을 널리 편다.”고 말하고, 『書經서경』에서 “그 文德문덕을 크게 편다.”고 말한 것은 바탕과 文彩문채가 서로 調和조화되는 것이다. |
此則懿美之而已, 未及於宣布也. 然而懿之之極, 則積而能施, 上九之旣雨, 是也. |
小畜卦(소축괘, ䷈ ☴☰ 風天小畜卦풍천소축괘)에서는 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할 뿐, 아직 널리 펴 알리는 데까지는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아름답게 하기를 至極지극히 하면 쌓여서 베풀 수 있으니, 上九상구의 ‘이미 비가 옴’이 이것이다. |
【이병헌(李炳憲) 『역경금문고통론(易經今文考通論)』】 |
荀九家曰, 風行天上, 則命令畜而未下. |
『荀九家易순구가역』에서 말하였다. “바람이 하늘 위에 行행하면 命令명령이 沮止저지되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한다.” |
虞曰, 懿美也, 乾爲德. |
虞翻우번이 말하였다. " ‘懿의’는 아름답게 함이고, 乾卦(건괘, ䷀ ☰☰ 重天乾卦중천건괘)는 德덕이 된다.“ |
- 出處: daum, Naver, Google, 周易大全(주역대전), 동양고전종합DB |
- 한국주역대전(韓國周易大全) DB |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2-EAZ-2101 |
- 모바일서당/모바일서원 |
m.cyberseodang.or.kr/ |
- 세계뉴스통신 |
http://www.segyenewsagency.com/news/articleList.html?sc_section_code=S1N1&view_type=sm |
- 세계타임즈 |
http://www.thesegye.com/news/newsview.php?ncode=1065590098108213 |
******(‘20.12.17.)
첫댓글 꿈에 등장하는 거북이는
재물, 성공, 행운, 권력, 귀인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