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 진표님이십니다
특히나 이분이 유명하신점은 홈용에 TUBE 방과 TR 방 2개를 갖고 계신다는점...
청감능력이 매일 좋은환경의 음악들을 듣다보니 매우 저희입장에서는 어려운 고객이 아닐수 없습니다^^
메인유닛은 메킨토시를 사용하고 계시며
씨아레 250T 최상급 트윗과
임펙트 미드우퍼
오디슨 LRX 4.5
그리고 제차에서 듣던 감흥을 살리고자 브라복스 10인치 서브우퍼로 업글하셨습니다^^
현재 크로스오버는 2웨이 어비스 제품으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먼저 트윗의 환경적인 위치를 고려한 각 필러작업을 통해 위상에 맞는 커스텀작업을 해드리며
저역의 어찌보면 사람들이 지긋히 좋아한다는 양감조차도 부밍이라는 두글자로 혐오하시는 분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흐흐 물론 그부분은 고가장비의 네츄럴하고 리니어적인 홈오디오의 환경이겠죠^^
브라복스 10인치와 인클로우져 BOX튜닝에 있어 충분히 진표님이 원하시는 대역대를 맞추어가며 부밍의 스트레스없이
박스자체의 공정만으로 섭소닉과 같은 저항을 쓸필요가없다는것..
원하는 대역은 자작나무 박스의 통울림소리와 지져분한대역은 소멸이 되기에 아무래도 스테이지감을 만들어가기에는
너무 좋은 환경이라 볼수있습니다
음악의 장르는 연주곡 과 클래식 위주의 음악을 즐기시기에 무대감을 만들어드려야 한다는 압박이 물론 들지않을까요^^
다행이도 노력끝에 80% 만족의 결과를 얻고 돌아가셨습니다^^
수고많으셨습니다~


참으로 오랜만에 보는 메켄토시입니다
너무 디지털에 빠지다보니 ㅠㅠ 이렇한 아날로그 특성을 갖고있는 멕조차 눈에보이질 않습니다 ㅠㅠ
저좀 어떻게 해주소서~~

너무 순정틱한 모습 (레진구조물은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
현재 포차에서는 포차공법과 퍼티를 통해 작업하냐고 타업체 분들에게 많이 여쭙는데
사실 저희 공정자체가 옳다고 말씀드릴수는 없습니다 모든숍들마다 장점이 있기때문에 저희쪽에서 작업하시지 않는분들도
너무 그런 이미지를 안주셨으면 합니다 ㅠㅠ 제가 괴롭습니다

자태가 아름답습니다.. 어떻한 이는 야동을 봐도 흥분이 되지않지만 이렇한 작업퀄리티를 볼때마다 흥분된다고
하시는 분이 있으니... 그분의 신상정보는 비밀입니다 ㅋㅋㅋ


참 눈에 확띄는것은 언제듯이 패가수스 RCA 선재이군요...^^
OFC 단자체결이 비트방식이면 더 좋았을터인데 요즘 오디오시장이 바뀌어가고 있을수록 고가를 상징하던 선재들이
이미지도 바뀔까 걱정입니다^^

스페어 타이어를 털어 그자리에 매우 깨끗하게 정렬된 모습입니다^^ 크로스오버가 가장 위에자리에서 너희들을 가지고
놀것이다 라는 자세를 잡고있는 모습인듯 합니다^^ 무섭군요 ㅋㅋ
사실 고가의 크로스오버는 아닙니다 다만 이제품들을 만드는 생산자들과 개발자의 의도를 충분히 파악한다면 튜닝의
근본적인 기초는 성공했다 라고 말할수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크로스오버 마다 저항의 방식에서 어떻한 소재냐 몇 밴드냐 훔,,, 어찌보면 중요하다고 할수있지만 이런부분들이 영업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생각은 하지 않으십니까?? 누구누구님 ㅋㅋㅋ

기존 스피커 아대를 자작나무를 통해 교체해드렸습니다^^

자 일명 LMS 박스로 칭합니다 ㅋㅋ
쉽게 측정기조차 이녀석 박스의 반응을 예상치 못한다는 그런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댐핑의 관련된 중요성은 이미 많은 자료를 통해 데이터를 올려드렸습니다^^
본 인클로우져의 BOX 제작하기 위해서는 16시간이라는 정밀한 튜닝의 TIME 필요합니다

눈으로 보기만 해도 즐겁군요^^ 재질은 필란드산 자작나무를 통해 루터로 가공한 작품입니다!!






차후 집에서 홈오디오에 걸어서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흐흐

첫댓글 sq용 브라복스 우퍼 부러워요~~~
와우! 멋지네요!^^
브라복스의 저역을 매우 조심스럽게 살포시 데쉬보드 위로 올려드리겠습니다...
조금만 기
려...내가 꼭 품어 줄께.... 멋집니다..나무의 질감이 그대로 묻어 있어 더욱 멋진 자태가 돋보입니다....

사장님께서 80% 만족이란 단어를 쓰시다니 처음인것 같군요. 역시 고가에 홈 오디오를 하시는분이 카오디오를 하시려면 참 힘들지요. 사장님께서는 더욱 분발 하셔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