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김광수경제연구소포럼
 
 
 
카페 게시글
_부동산문제 아파트의 감가상각 그리고 하락 속도
레플 추천 5 조회 2,774 13.06.07 13:16 댓글 2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3.06.07 13:27

    첫댓글 공구리는 2% 감가상각으로 가격 하락

    땅 지분은 가격상승

    땅 지분의 가격이> 건물 가격을 능가하면 명목가격 상승 ,실질가격은 하락으로 결국 가치하락.

    땅 지분 안습이면 명목가격마저도 하락.

    땅값은 오르고 건물가격은 감가상각으로 내려야겠죠. 어느쪽 포지션이 크냐에 따라 명목 가격이 오를수도 내릴수도 있죠.

    3억 아파트가 내년에 3억3백이면...금리 3%고 물가상승율도 3%라면...이걸 올랐다고 할수 있을까요?

    아파트가 주구장창 내리기 위해서는 건물의 감가상각+ 땅 가격의 주구장창 요지부동이어야겠죠.

    빵원론 입장에서 보면 굉장히 불쾌한 하락론이겠죠. 하락을 가장한 상승론자라고 의심도 들테고...

  • 작성자 13.06.07 13:26

    땅값이 오른다는 가정도 했지만...지금 인구구조상 쉽게 오르지 않는다는 가정을 한다면...분양가에 포함된 대지지분 이외의 가격이 감가상각이 된다고 계산해야 하지 않을까...잠시 생각했습니다.
    가격이 오를 유일한 요인이 대지 지분의 가치 상승이라면, 서울로 한정했을때 오를꺼라 생각하진 않습니다.

  • 13.06.07 13:36

    서울이고뭐고 따질것 없어요. 땅 가격의 차별성은 공시지가도 있고 공구리 가격은 전국동일일테니....

  • 13.06.07 13:26

    무조건 하락한다고 하는것 보다.. 이렇게 이성적으로 분석하니.. 더 설득력 있네요..
    위 4번, 5번에 동의합니다.

  • 레플님께서 제시한 하락속도가 늦는 이유도 일리가 있지만,
    제가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LTV와 거치기간이 있는 대출제도 덕분입니다.
    그리고 정부 정책 때문이기도 하고요..
    시장을 이기는 정책이 없다고 하지만, 하락 또는 상승의 방향성은 바꾸기 힘들어도
    속도는 한계 상황에 도달하기 전에는 조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하락폭은 과거에 거품이 컸으면 더 크고, 작았으면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것 같고요...
    사람들의 심리도 하락속도가 늦은 이유겠죠.
    부동산은 수십년 동안 잠깐의 기간을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배반하지 않았으니..
    전세제도는 앞으로 큰 변수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 전세보증금이 위험하다고 느낀 세입자부터 월세를 선호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집주인들은 보증금의 상당부분을 토해내야 하는데요...
    LTV 한도를 초과한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원금 일부 상황을 미루는 것은 정부가 은행을 통제하는 것으로 가능하지만, 세입자들의 이런 태도변화는 통제불능입니다.
    전세제도는 지금은 하락을 늦추는 원인이 될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큰 혼란을 일으키면서 하락세를 부추기는 폭탄이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 13.06.07 13:31

    재건축을 하니 못하니 하면서 땅 지분은 의미가 없다는 말이 또 나올듯....

    하여간 합리적이려면 땅가격은 상승 건물은 하락 총합은 상승 그러나 실질가격은 하락이 맞다고 봅니다.

    주택 소유자<전세 임차자< 월세임차자의 순으로 주거비용 지불이 맞다고 보구요.

    돈을 가장 많이 투자한 사람이 가장 적은 주거비용을 지불하는게 당연한거고... 그러나 주택 소유자라도 공짜 주거는

    안되는거고...이러면 다들 불만 없을듯... 명목가격의 상승이어도 임금소득의 상승이 더 클테니...쫒아가는 임차인도

    초조하지 않을테고...

  • 13.06.07 13:32

    Ltv DTI 가 걸려있는것도....하락속도가 늦는 이유죠....이거 안걸어 났음 큰일 날뻔 했습니다.

  • 13.06.07 13:56

    (아파트 대지 지분평수 x 공시지가 x145%) + 아파트 평수 x 평당 건축비 4백만원x ((아파트 수명 40-사용연수)/아파트수명40년

    저는 이게 합리적이라고 봅니다.

    서울이든 시골이든....땅 가격이 물가상승율만큼 오른다면 수도권은 명목 가격 상승이 나오고 아마 시골은 명목가격도 하락으로 나오겠죠.

    시골의 경우는 땅값이 차지하는 포지션이 작으니 살벌하게 진행되는 건물의 감가상각을 대적하기가 어려운거죠.

  • 작성자 13.06.07 14:56

    145%는 왜 넣은거죠? 궁금하네요~

  • 13.06.07 16:00

    공시지가와 실거래가의 차이가 있는게 엄염한 현실이잖아요.

    보정률인데...공시지가에 그정도 곱하면 실거래가로 적당할듯 합니다.

    공시지가가 실거래가의 70%정도일거예요 아마...

  • 13.06.07 20:40

    아포론68님 의견이 객관적이네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제가 어머니랑 집문제 때문에 티격태격 할 때 어머니는 항상 이런 말씀을 하세요.
    "집 없는 설움을 아이들이 느끼게 해줄래?"
    그럼 저는 "요즘은 집 없는 것보다 돈 없는 설움이 더 크고, 직장마저 불안정하면 설움이 더 크죠. 저는 집보다 통장에 돈 많은 것이 더 좋아요." 라고....
    접점이 없습니다. 평행선...ㅡㅡ;

  • 작성자 13.06.07 14:53

    저도 그래서 기준되는 가격을 어디로 선정해야 할지 의문입니다. 해당 아파트의 분양가로 계산해야 하는지 특정 연도의 가격을 기준으로 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구요. 매매가가 붙어있는 가격에 10%~20% 다운된다는 사실이 내년에도 10% 다운된다는 의미가 아닐지 모르니까요...

  • 작성자 13.06.07 15:26

    아마 서초구의 아파트는 기준되는 시점이 모두가 최고점인 시점을 생각하고 있을텐데...감가상각은 그동안 한번도 안했다면...감가시점을 폭등이전으로 기준점을 바꾸고 감가를 한번에 넣으면 그정도 하락할 수 있을거라고 봅니다.

  • 작성자 13.06.07 15:35

    서초동 삼풍 시세가 네이버에 나온 그대로라면 지금 시세는 2006년도 시세에서 거의 한푼도 안떨어진 가격입니다. 그때도 8억, 지금도 8억이니까요. 하지만 고점인 11억을 기준으로 하면 3억이 빠진거죠.
    그 이전 시세는 네이버에 안나와서 잘 모르겠지만, 88년도 입주 아파트가 이정도 가격이면 높은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2006년도 기준으로 8억이라면, 7년 지난 지금 시점은 얼마로 계산해야 좋을까요?
    저라면 땅값 지분이 25%정도로 계산한다면 6억에서 감가 상각 24년치 50% 해서 2억+3억 해서 5억이라고 계산하는게 합리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직 3억의 괴리가 거품인지 실제 가격인지는 시간이 지나면 알 수 있을듯합니다.

  • 13.06.07 19:45

    아파트 땅에 대한 소유권은 실질적으로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 땅에 내가 내마음대로 할수있는게 없기 때문입니다.

    집합건물은 그 태생적 한계가 있는 것입니다.

  • 작성자 13.06.08 01:17

    100% 공감합니다

  • 13.06.08 02:35

    레플님 감사합니다

  • 13.06.07 19:58

    돈가치 하락(연간 물가상승율)도 포함하면 2%이상의 가격하락이 있는것 아닐까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13.06.08 01:17

    동감합니다. 같은 지역 비슷한 크기 입지의 조건의 집이 흔하지 않기에 대체제가 적다는게 집이 다른 재화의 차이점 인 듯 힙니다. 다만 30년에 다가선 아파트들에서 사는건 점점 쉽지 않기때문에 그 자산이 어떻게 될지가 궁금 할 뿐이죠.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