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장모로 미셸 오바마 여사의 어머니인 메리언 로빈슨 여사가 8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고 영국 BBC가 31일(현지시간) 유족 성명을 인용해 보도했다. 로빈슨 여사는 이날 아침 평화롭게 눈을 감았다고 성명은 전했다.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자세한 것이 알려지지 않았다.
미셀은 엑스(X, 옛 트위터)에 올린 성명을 통해 모친에 대해 "내가 무엇을 필요로 하든 언제나 거기 있어준 바위"같은 존재였다고 돌아봤다. 그의 말마따나 고인은 오바마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인 2009년부터 2017년까지 백악관의 붙박이 존재로 널리 알려졌다. 대부분의 시간을 말리아와 사샤 두 손녀를 돌보는 데 보냈다. 그녀가 백악관 동행을 결심했을 당시 말리아는 열 살, 사샤는 일곱 살이었다. 미셸은 "온가족의 든든한 반석이었으며 우리는 오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공유하며 마음이 무너진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오바마 전 대통령도 별도 트윗을 통해 “메리언 로빈슨은 유일했으며 앞으로도 유일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슬픔 속에서도 그녀 일생이 선사한 특별한 선물에 의해 고양되고 있다. 우리는 남은 여생을 그녀의 본보기를 살리기 위해 보낼 것”이라고 애도했다.
1937년 시카고에서 일곱 자녀 중 한 명으로 자라난 고인은 오바마가 대선에 당선된 뒤에야 워싱턴 DC로 이사하는 데 동의할 만큼 70년 넘게 시카고에서 살았다. 비서로 일하기 전에는 교사로 일했다. 시카고 남쪽에서 남편 프레이저 로빈슨과 미셸과 크레이그를 키웠다.
오바마 성명은 "모든 단계에서 우리 가족은 우리 중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길을 걸었다. 그녀는 폭풍으로부터 우리 피난처를 지켜냈다"고 밝혔다. "2008년 대선 날 밤 버락의 두 어깨에 세상 모든 일의 무게가 얹어졌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그녀도 그의 손을 붙잡고 거기 있었다." 그날 밤 촬영된 사진을 보면 미국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통령에 당선된 사위와 소파에 나란히 앉은 장모는 개표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성명은 또 딸네 부부에게 "건전한 자극"이 되고 손주들이 "그녀를 필요로 해" 로빈슨 여사가 백악관으로 이주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에 가더라도 본인이 직접 빨래를 하겠다고 주장했다는 사실도 덧붙였다. 미국 CBS 인터뷰를 통해 그녀는 딸과 사위에게 그곳 생활이 매우 힘들 것이라는 것을 느꼈기 때문에 워싱턴으로 이주하는 데 동의해야 한다는압박을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그리고 난 그들의 안전이 걱정됐다. 난 손주들도 걱정했다. 그것이 내가 DC로 이주하게 만들었다.”
오바마는 장모를 자신이 아는 한 “가장 잘난 척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표현한 적이 있다. 또 그녀가 원하는 바를 백악관 직원들에게 이끌어내기 위해 “엄청 조율”을 해야 했다고 말했다. 유족 성명은 "오스카 수상자들이나 노벨상 수상자들과 허물없이 지내는 것보다 위층에서 TV를 보거나 침실 밖 방에서 커다란 창문으로 워싱턴 기념비를 내려다보는 것을 더 좋아했다"고 전했다. "그녀가 만났으면 좋겠다고 한 유일한 손님은 교황이었다."
어머니를 여의기 몇 주 전 어머니의 날에 미셸 여사는 시카고에 있는 오바마 대통령센터박물관의 출입문에 어머니 이름을 붙이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당시 동영상 발표문은 "그렇게 많은 방식으로, 어머니는 내가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가르쳐 내가 어떤 사람이고 어떤 사람이 될 수 있는지 확신할 수 있도록 돌봐주셨다. 우리 엄마가 없었으면 난 오늘날의 내가 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