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각 코스별 이용 안내
- 외암리 민속마을 입장료 : 어른 2,000원, 어린이/청소년/군인 1,000원
- 현충사 입장료 : 500원
① 외암리민속마을 주차장
온양에서 공주를 향하여 39번 도로를 따라 좀 내려가면 행정구역 상으로 아산시 송학면 외암리(巍巖里)에 자연 그대로 형성 보존 되여 온 민속마을이 있다.
[외암리 민속마을]
관리 사무소 앞, 아궁이에 불이 지펴져있다. 아궁이를 보고있으면 옛추억이 소록소록 피어난다.
그네를 타는 아이들의 모습이 큰 나무와 함께 시야에 들어온다.
![]() |
![]() |
외암민속관
외암리 민속마을은 관광객을 위해 일부러 조성한 모형적 마을이 아니라, 사람들이 실제 거주하는 500년 전통의 삶의 향기가 전해내려오는 마을이다.
한국민속촌이나 하회마을들은 그 유명 세만큼이나 꾸민게 많고 새로 지은 게 많지만, 이곳 외암리는 예전의 마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먹음직스런 감을 보고 있으면, 나도 탐하고 싶은 욕구가 불현 듯 생긴다.
|
![]() |
송화댁
이곳은 가옥 주인의 관직명이나 출신지명을 따서 참판댁, 병사댁, 감찰댁, 참봉댁, 종손댁, 송화댁, 영암댁, 신창댁 등의 택호가 정해져있다.
연자방아
마을 길에 연자방아가 보인다. 연자방아는 소의 힘을 이용하여 둥글고 평평하게 잘 다듬은 돌을 돌게하여 곡식을 빻는 기구이다. 연자방아는 개인 소유물이 아닌 마을 공동 소유물이라고 하니 누구나 이것을 이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 |
짚단을 만들고 있는 아저씨의 모습. |
![]() |
민속마을을 둘러보고 내려오는 길. |
내려오는 길, 민속마을의 전경. 전체가구수가 60여호 정도가 되는 외암리 민속마을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사람의 향기가 나는 아름다운 곳으로 남아있길 바라는 마음이다.
[외암리 민속마을 전경]
② 현충사 - 충무문
현충사 입구에 들어서면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 건립공사가 한창이다.
이곳이 충무문이다. 이곳을 통하여 현충사에 들어설 수 있다.
[충무문]
현충사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이충무공께서 성장하여 무과에 급제할 때까지사시던 곳이다.
현충사 - 정려
현충사 경내에 들어서면 오른쪽편에 커다란 연못이 있고 그 입구에 충무공과 그 후손을 기리는 정려가 있다.
현충사 정려에는 정도대왕이 하사한 이충무공과 공의조카 이완, 사대손 이홍무, 오대손, 이봉상 등 네분의 충신과 팔대손 이제빈, 한분의 효자 편액이 걸려있다.
![]() |
![]() |
현충사 - 옛집
이곳 옛집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부터 사시기 종손이 대대로 살았으며 일부는 개수되어 오늘날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이 곳 활터는 이순신 장군이 활을 쏘던 장소로 남쪽에 있는 과녁과의 거리는 145m라고 한다.
현충사 - 본전
걷다 보니 어느 덧 현충사 본전에 다다랐다.
[현충사 본전]
이순신 장군 영정 앞에서 그의 우국충정을 기리기위해 참배를 드렸다. 그의 뛰어난 리더쉽과 성품은 후세의 지금까지도 빛을 발한다.
외암리 민속마을 http://oeammaul.co.kr/
현충사 http://www.hcs.go.kr/
외암리 민속마을 관리사무소 041) 540-2654 http://oeammaul.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