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ASEAN 수입 전기차 시장 점유율 ‘1/5 토막’ ... “중국이 추월”
- ASEAN 수입 전기차 시장 2배 넘게 커지는 동안 ... 韓 43%(’19) → 8%(’21) vs. 中 26% → 46% - 수입액 Top4(태국·싱가포르·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중 인도네시아 外 3개국에서 韓 점유율 하락
최근 3년간 2배 넘게 커진 ASEAN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 한국 전기차의 점유율은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와 대조적으로 중국은 폭발적으로 점유율을 높여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3년간(2019~2021년) ASEAN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의 주요국 점유율 추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산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43.2%(1위)에서 2021년 8.2%(3위)로 크게 줄었다. 수입액으로 따져도 약 5,600만 달러에서 2,400만 달러로 절반 넘게 감소했다.
ASEAN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10개국의 연합체로, 한국의 2위 수출시장이자 전세계 인구의 8%(약 6.7억 명)를 차지하는 거대 경제권이다. 아직 전기차 시장은 작지만 정부의 탄소감축 노력에 따라 친환경차 시장이 연평균 47.5%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ASEAN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ASEAN의 수입 전기차 시장은 2019년 1.3억 달러에서 2021년 3억 달러로 2배 넘게 성장했다.
<그래프> ASEAN 수입 전기차 시장 주요국 점유율 (출처 : UN Comtrade (HS코드 870380))
한국 점유율이 감소한 자리는 중국이 메운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ASEAN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2019년 25.7%(약 3,400만 달러)에서 2021년 46.4%(약 1억 3,800만 달러)로 급등하며 1위로 올라섰다. 또 다른 전기차 경쟁국인 독일 역시 같은 기간 1.3%에서 34.1%(2위)로 큰 증가폭을 보였다. 하이브리드카에 집중하고 있는 일본은 13.8%에서 1.6%로 점유율이 쪼그라들었다.
대한상의는 “ASEAN 국가들의 전기차 보급 의지는 점차 강해지는 반면, 국민들의 구매력은 이에 못 미치다 보니 중국산 전기차의 가격 메리트가 더욱 커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점유율 역전이 코로나를 기점으로 일어난 것도 주목할 만하다”며 “코로나 시기 중국이 ASEAN에 마스크·백신 등 의료물품을 적극적으로 지원한 것이나, 2021년 中-ASEAN 대화수립 30주년 기념 정상회의 등으로 인한 양국 간 외교‧경제협력 분위기가 강화된 것 등이 중국에 유리하게 작용했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ASEAN 국가별로 살펴보면, 10개국 중 전기차 수입액이 천만 달러가 넘는 국가는 태국(1.3억 달러), 싱가포르(8천만 달러), 말레이시아(4천만 달러), 인도네시아(3천만 달러)로 이들 4개국이 전체 수입액의 95%를 차지한다. 이중 한국은 인도네시아를 제외한 3개국에서 점유율이 하락했다. 태국에서는 2019년 3.2%(3위) → 2021년 0.03%(9위), 싱가포르에서는 72.7%(1위) → 7.8%(2위), 말레이시아에서는 2.1%(6위) → 0.1%(8위)로 떨어졌다. 반면, 국내 기업들이 201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시장을 조사하고 현지 판매법인을 설립하며 공을 들여온 인도네시아에서는 점유율이 19.4%(3위)에서 63.2%(1위)로 급증했다.
중국은 태국시장에서는 독일의 선전에 밀려 점유율이 일부 하락했지만(64.3% → 52.4%), 태국 시장이 3배 가까이 성장해 수입액은 오히려 2배 이상 늘었다. 싱가포르에서도 점유율이 4.1%(3위)에서 79.5%(1위)로 급성장하며 한국을 추월했다. 독일은 말레이시아(13.8% → 83%)와 태국(0.2% → 35.6%),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모두에서 점유율을 높였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풍부한 광물자원·인구가 있고 전기차로의 전환 니즈가 강한 ASEAN시장을 간과해선 안 된다”며 “ASEAN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합리적 가격의 수출용 차량을 개발하는 한편, ASEAN 각국의 전기차 전환 정책에 따른 우리 기업의 유불리를 분석해 시나리오별로 대응하는 등 정부 차원의 외교적‧정책적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