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모델의 정의<?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인지이론(cognitive theory)이라고 하는 것은 아들러(Alfred Adler)의 개별심리학, 엘리스의 이성 및 감성 정신치료, 워너의 이성적 개별사회사업, 근래서의 현실치료의 사고체계를 모두 포함한 것을 인지이론이라 하며, 여기에 과제주기, 강화, 보상, 반복, 행동주의적 요소가 결합된 것을 인지 ․ 행동주의 접근법 ① 인지․행동모델기법의 기본전제는 대부분의 사회적 행동적 역기능이 자기 자신, 타인, 그리고 삶의 상황들에 대해 갖고 있는 잘못된 생각(인지체계)에서 비롯 ② 개인의 행동을 주로 결정하는 인지 사고체계는 의식적 현상 또는 의식에 가까운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인간은 자신의 의식 영역 내에 원조자의 도움과 자신의 노력으로 잘못된 인지체계를 극복해결 할 수 있다고 본다. ③ 인지 행동모델은 개인과 환경 모두에 초점을 두면서 문제에 접근 한다, 즉, 인지행동 이론은 개인과 환경사이의 상호적 영향이 대개 정보의 교환을 통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인지행동모델의 특징1) 자신과 타인에 대한 무조건적인 존경 인지행동 치료자는 클라이언트 자신의 가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 2) 주관적인 경험의 독특성 중시 각 개인이 갖는 삶의 사건과 정서 반응에 독특한 의미를 부여 3) 자신의 책임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정서적ㆍ행동적 문제를 자신의 책임으로 수용하는 것을 의미 4) 구조화된 접근 치료자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신체 생리적, 사회 환경적 영역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특정 문제에 초점을 둔다. 또한 치료자가 문제해결을 위해 구조적인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간의 협조적인 관계와 노력 그리고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 5) 소크라테스적 방법과 질문(문답식 방법) 소크라테스식 질문 및 접근방법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논박을 통해 인지적 왜곡이나 오류가 있음을 밝혀내고, 질문을 통해 자기발견과 타당화의 과정을 거치게 되어 행동의 의미를 재발견 6) 클라이언트의 적극적인 참여 클라이언트는 치료세팅 내외에서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참여해야 한다. 치료자와 협력하여 변화 전략을 세우며,클라이언트는 치료자와 함께 변하기 위해 노력 7) 경험적인 초점(empirical focus) 클라이언트의 인지적 기능은 정서적ㆍ행동적 반응과 연관 되므로 인지적 기능에 대해 경험적으로 탐색한다. 클라이언트의 개념, 생각, 신념, 태도, 기대가 밝혀지면 표적이 되는 인지가 유용한지, 합리적이며 적용 가능한 지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