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간엔 아파트 선택시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구조에 대해서 말씀드릴려고 하는데요.
생활패턴에 따라서 어떤 것을 선택해야할지 고민될 수도 있겠지만 두가지 구조의 특징을 보시고 본인에게 더 맞는 구조로 선택하시면 될거 같아요.
아파트는 크게 판상형과 타워형으로 나뉘는데 간단하게 특장점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아파트 판상형과 타워형의 차이)
- 판상형 구조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구조로써 좀 더 선호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건물 자체가 일자로 쭉 늘어서 배열된 모양인데요.
남향위주의 배치로 일조량이 매우 풍부하고 맞통풍으로 환기도 용이한 편입니다.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동선까지 편리한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일자형 배치의 아파트 구조로 남향위주의 배치라고 말씀드렸는데 그 중에서도 내부의 주거공간 중에 방들의 배치 부분에서는 그 활용에 따라 일조량이 풍부해야하는 안방이 남쪽에 배치됩니다
건축비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베란다와 같은 그 외 면적이 넓어서 같은 평수라도 넓은 공간을 꽤할 수 있습니다.
맞통풍의 장점은 있으나 앞뒤로 창문이 열려있으니 그로 인한 사생활 침해의 사례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외관은 화려함을 뽐내기 보다는 단조로운 느낌이 강하며 조망권의 확보 또한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용적률을 최대로 활용하는 것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동간 거리에 의해 일조권도 크게 좌우될수 있습니다.
- 타워형 구조

2000년대 초에 등장하기 시작한 타워형 아파트는 사각형 탑 모양으로 건축하였던 형태로 탑상으로도 불리고 있어요.
주상복합 구조 아파트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르실 것 같네요.
서울 목동 히페리온이 그 처음 사례이고 도곡동에 위치한 타워팰리스도 타워형 아파틍 구조로 건축된 건물입니다.
주로 재건축 단지의 모델하우스를 알아보면 이 구조로 지어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거주자 입장에서는 조망도 외관도 우수하니, 이쪽을 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있어요.
건축자 입장에서는 부대시설을 집중시 킬 수도 았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일자형 아파트 단지의 보통의 내부 구조를 보면 거의 다 비슷비슷한 만큼 공간 극대화가 어려운 것이 사실인데요.
타워형은 확실히 그런 공간 활용설계에 있어서 자유롭지만 통풍이 부실하고 서비스면적이나 동선 부분에 있어서 단점이 있어서 일반 가정집이 선호하는 구조는 아닌것이죠.
최근 신도시에 이런 타워형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고 있는데 외관 면에서도 판상형 아파트 보다는 다채로운 분위기를 냅니다
그럼 타워형 아파트의 단점은 판상형과 반대일 것이라고 예상하실 수 있으실건데요.
아무래도 건축비나 분양가가 높고 관리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편의시설이라던가 부지 내 관리 할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보면 판상형과 타워형은 각각 장 단점이 바뀐 구조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 복합형구조
요즘엔 판상형,타워형의 장점이 모아진 형태의 복합형 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v자 형태 혹은 L자 형태로 건물들을 배치해 이것을 하나의 동, 단지로 구성하고 있는데요.
일자형과 Y자형의 모습을 모두 가지고 있는 구조입니다.
기둥과 기둥사이의 공간을 말하는 BAY는 정면 창문 쪽의 햇볕이 들어오는 기둥과 기둥사이의 독립된 공간을 의미하는데요.
이 복합형 아파트 내에서 판상형 구조를 보면 3BAY,4BAY로 건축되는 경우가 많고 5BAY까지 최근에 나왔다고 합니다.
베란다나 발코니가 놓여지는 공간처럼 햇볕을 주로 받는 쪽의 기둥 그 사이의 공간, 즉 들어가는 문과 반대방향의 안쪽 공간이 얼마만큼 많은 벽으로 나뉘어져 있냐를 의미합니다.
타워형 구조는 V자 혼합형의 중간 세대로 배치합니다.
건물의 꺾이는 부분을 말하는데요 그래서 내부의 공간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합니다.
남향을 최대한 적용하여 남서향이나 남동향 등 일조량을 풍부하게 받을 수 있도록 건축을 하는 것입니다.
단지 내 여유 공간도 많이 두어 녹지 비율을 높임으로써 입주민들의 쾌적한 주거가 가능하도록 하기도 합니다.
- 판상형과 타워형 매매가 차이
2018년도에 매매가 활발했던 서울 주요 대단지 아파트이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판상형과 타워형의 집값 상승 폭을 84제곱미터 기준,5층 이하 저층 주택은 제외한 자료통계를 보면..
그 결과 단지별로 차이는 있지만 판상형이 타워형보다 적게는 5%,많게는 30%정도 높은 집값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물론 판상형과 타워형 구조의 분양가격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점은 고려해보셔야겠죠.
다양한 유형의 아파트가 최근 건축되고 있기 때문에 생활 패턴이나 선호도에 맞추어 아파트 매매시 살펴보시면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첫댓글 판상형과 타워형에 대해 잘 배웠습니다. 각각 장,단점을 비교해서 써 주시니 이해가 훨씬 쉽네요^^
아파트 유형에 따라 가격차이가 있다는 걸 올린 글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늘 좋은 정보를 제공해주셔서.....,
잘보았습니다.
유형에 따라 장단점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유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방은 주로 판상형이라고 보아야 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