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수덩이의 산행기 원문보기 글쓴이: 한울타리
|
|
|
건강을 다지기 위해 산행을 하는 사람이 이 산 저 산에 넘쳐난다.
부산·경남에는 특히 근교 산을 찾는 등산 마니아들이 많은데 인체공학적·의학적인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무작정 오르고 보자'는 식으로 산행에 나서는 이들이 적지 않다. 전문가를 통해 제대로 된 '건강 산행법'에 대해
두차례(上.바른 자세, 下.氣 등산법)에 걸쳐 들어본다.
'산을 오를 때 발꿈치를 먼저 디뎌야 하나, 아니면 발가락을 먼저 딛는 것이 좋나?',
'등산을 하면 무릎 연골이 닳는지, 아니면 튼튼해지는지?'
산악 전문가 출신의 의사와 정형외과 전문의로부터 등산에 관한 의학적인 궁금증을 풀어본다.
'등산은 무릎 관절에 좋은가 나쁜가? ' 산행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무릎 연골의 마모가 생기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던지는 질문이다. 우리 주변에도 산행으로 하체가 튼튼해지고 무릎이 강해졌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도한 산행으로 연골이 손상돼 일상생활에서조차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어느 것이 옳은지 혼란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인제대부산백병원 정형외과 서승석 교수는 산행은 무릎 연골을 튼튼하게 해 주는 운동이라고 설명한다.
물론 미련할 정도로 무리하게 하지 않는다는 전제를 달았다.
무릎의 연골은 재생되지 않는다. 인간 수명과 비슷하게 무릎 연골도 많이 사용하면 할수록 더 닳기 마련이다.
그래서 운동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서 교수는 "취미활동으로서의 운동이 연골을 더 마모시킨다는 의학적 근거는 없다.
오히려 적절한 운동은 연골을 더욱 튼튼하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등산을 올바른 자세로 한다면 무릎 주변의 근력을 강화시키고, 강해진 근육이 다시 무릎 관절을 잘 받쳐줘
연골이 더 튼튼하게 된다는 것이다. 무릎 관절의 마모를 걱정해 산행을 피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다.
척추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부산백병원 정형외과 안기찬 교수는 "하산 과정에서 척추 연골과 디스크가 충격을 받을 수 있지만
적당한 운동량이라면 별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나이가 들면 허리의 S라인이 점차 없어지게 되는데
경사가 심한 지형은 무리가 오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고 지적했다.
산행이 무릎과 척추에 손상을 주는 것은 잘못된 자세 때문이다. 산에서 뛰거나 조금 언덕진 곳에서
껑충 뛰어내리면 무릎과 척추에 심한 손상을 일으킬 위험이 높다.
그래서 뛰기보다는 빨리 걷는 것이 무릎과 척추 건강에 좋다.
산행 때의 부상은 80~90%가 하산할 때 생긴다. 내려올 때는 몸과 배낭의 무게가 가중되면서
무릎 척추 발목의 충격이 커져 인대가 늘어지거나 골절이 일어나기 쉽다.
움직이는 돌이나 바위는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밟지 않아아 한다. 또 나뭇가지를 붙잡고
몸을 이동하다가 추락하는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썩은 나뭇가지를 붙잡았다가는 대형 사고를 각오해야 한다.
산행은 심혈관과 폐기능을 강화시키며 지구력과 소화기능을 도와준다. 그외에 스트레스 해소,
면역기능 강화 등 많은 효과가 있지만 문제는 어느 정도가 적정한가이다. 물론 모법답안은 없으며 사람에 따라 다르다.
가령 5시간 정도 산행을 해서, 몸 어딘가에 불편함이 있다면 산행시간을 줄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적정 운동량을 말하라면 본인 체력의 70~80% 정도를 이용해 산행을 즐기는 것이다.
또 주말에만 산행하는 사람들은 주중에 3일 이상, 한 번에 20~60분씩 달리기 등 유산소 운동을 시행해야
등산 효과를 제대로 얻을 수 있다.
'30분 걷고 5분 휴식', 또는 '1시간 걷고 10분 휴식' 정도로 규칙적으로 쉬어야 한다.
힘이 다 빠질 때까지 쉬면 회복이 어렵고, 너무 오래 쉬면 근육이 굳어져 다시 출발할 때 지장을 준다.
김병군 기자 gun39@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