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04-04
7천년 된 식물뿌리에서 파란싹 돋아
정밀 분석 의뢰..학계 비상한 관심 7천년전 형성된 신석기 시대의 습지 유적지에서 출토된 식물뿌리(구근)에서 파란 싹이 돋아 화제가 되고 있다.
(재)예맥문화재연구원은 2월 28일 양양군 여운포∼송전 간 도로개설 부지에서 신석기 유적 발굴조사 중 지름 2㎝ 안팎의 수생식물로 추정되는 둥근 모양(구형)의 뿌리를 수습, 보존을 위해 증류수에 담아 보관하던 중 최근 파란싹이 돋아나 전문기관에 분석을 의뢰했다고 4일 밝혔다.
3개의 둥근 모양으로 된 이 식물 뿌리는 줄기를 통해 서로 이어져 있으며 많은 잔뿌리가 돋아 엉겅퀴를 연상케 하고 있는데 갈대와 같은 초본류가 식생하다 퇴적된 것으로 보이는 지하 4m 회청색의 사질점토층에서 솔방울과 잣, 도토리, 갈대, 많은 양의 나뭇가지 등과 함께 출토됐다. 예맥문화재연구원은 식물뿌리를 수습 후 보존을 위해 증류수에 넣어 보관하던 중 최근 싹이 돋아 2∼3㎝ 가량 자랐으며, 이는 구형의 뿌리에 남아 있는 영양분과 공기의 공급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식물뿌리가 출토된 양양 오산리 유적지는 중.고교 교과서에 실렸을 정도로 신석기 유적지로 유명한 곳으로 7천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예맥문화재연구원 고동순 학예실장은 "일일이 발굴조사가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있고 지하 4m 아래에서 1m 내외로 두텁게 퇴적된 곳에서 다른 토기와 목기편 등과 함께 출토돼 이 식물뿌리가 외부에서 들어 갔다고 보기는 힘든 상태"라며 "전문기관에 분석을 의뢰한 상태"라고 말했다.
분석을 의뢰받은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박태식 박사 "이 식물뿌리는 습지에 많이 나는 단자엽 식물로 추정되는데 정밀분석을 위해 영양제를 넣어 키워 볼 생각"이라며 "휴면상태에서 깨어난 것으로 이해하기 힘든 신기한 일이지만 사실이라면 해외 토픽감이며 (발굴조사 당시)외부에서 섞여 들어갔는 지 등을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식물뿌리가 신석기 시대의 것이 맞을 경우 현재까지 선사시대의 유적에서 출토된 씨앗 등이 자연 발아된 경우는 없던 것으로 알려져 학계의 관심이 될 전망이다.
양양군서 나온 수생종…국내 첫 사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