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가 많이 내렸는지 아직도 땅이 흠씬 젖어 있네요.^^* 이제는 다시 더워지겠지요. 초복이 다가오니까요...^^*
저는 단독주택에 사는데, 이번에 비 올 때, 오랜만에 아파트 유리창 청소를 했거든요. 평소에 물뿌리면서 유리창을 청소하면 좋은데 그게 게을러터져서... ^^* 비가 오는 날 청소하면 괜찮다고 차일피일 미루기만 했거든요.
스펀지 밀대로 유리창 안팎을 몇 번 문질렀더니, '불투명 유리'가 '투명 유리'로 변하더군요. 그동안 어찌나 더러웠던지...
오늘은 유리 이야기 좀 드릴게요.
밖에서 안이 잘 보이지 않도록 일부러 투명도를 낮춘 뿌연 유리를 뭐라고 하죠? 저는 국민학교 때 '간유리'라고 배웠고 그렇게 가르치기도 했습니다. 언제부터였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아도 그 불투명 유리 이야기를 했더니, 그건 흰 젖 빛깔이라고 하여 '유백유리'나 '젖유리'가 맞다고 하네요. 여러분은 뭐라고 하세요?
표준어로, '유백유리'와 '젖빛유리'가 표준말입니다. 두 가지 모두 투명도가 낮은 유리이긴 하지만, 같은 유리는 아닙니다.
유백유리는, "불투명한 흰색의 유리"로, 유리 속에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의 미립자를 분산시켜 놓아 투명도를 떨어뜨린 것이고,
젖빛유리는, 유리의 표면을 갈아 광택과 투명성을 없앤 것입니다.
이해를 돕자면... 노래방 같은 곳에 가 보면, 방 안이 잘 보이지 않도록 유리에 그림을 그려놓은 게 보입니다. 그게 바로 투명 유리를 금강사로 갈아 광택과 투명도를 없앤 젖빛유리입니다.
오늘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고, 자주 웃으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드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