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위 | 국가명 | 2014 | 2015 | 2016 | 증감률('16/'15) |
- | 총액 | 57,733 | 57,538 | 69,033 | 20 |
1 | 독일 | 6,172 | 4,221 | 6,235 | 47.7 |
2 | 베트남 | 5,524 | 4,308 | 4,660 | 8.2 |
3 | 멕시코 | 1,107 | 3,156 | 4,207 | 33.3 |
4 | 인도네시아 | 2,791 | 3,718 | 3,861 | 3.9 |
5 | 말레이시아 | 5,579 | 5,407 | 3,118 | -42.3 |
6 | 미국 | 1,841 | 1,838 | 1,657 | -9.8 |
7 | 이탈리아 | 1,330 | 1,002 | 1,482 | 47.9 |
8 | 프랑스 | 1,617 | 1,100 | 1,421 | 29.2 |
9 | 영국 | 2,534 | 1,661 | 1,369 | -17.6 |
10 | 헝가리 | 221 | 1,428 | 552 | -61.4 |
자료원: KITA
중국의 대한국 스마트 스피커 수입현황(HS Code 85182100 기준)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수입액(천 달러) | 247 | 1,242 | 851 | 78 | 68 |
증감률(%) | 135.7 | 402.5 | -31.4 | -90.9 | -12.6 |
자료원: KITA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중국 스마트 스피커 주요 제품별 판매량
자료원: 中关村在线
- 2016년 스마트 스피커 주요 제품은 딩동(叮咚), 필립스(飞利浦), JBL임. 그 중, 징둥이 출시한 '딩동'은 시장점유율 65%를 차지함. 이어서 필립스와 JBL도 각각 14%, 20%를 차지했음.
- 2017년 샤오미(小米)와 알리바바(阿里巴巴) 등 다수 업체가 스마트 스피커 시장에 진입하면서 시장 구조에 전반적으로 큰 변동이 생겼음. 판매량 1위인 딩동의 시장점유율이 38%로 감소했으나 여전히 1위를 유지했음. 한편, 2017년 새롭게 등장한 샤오미 스마트 스피커가 점유율 32%로 2위로 올라섰음.
- 톈마오 스마트 스피커는 출시가 비교적 늦었으나 출시 2개월 만에 시장점유율 15%로 3위를 차지해, 솽스이(双十一, 11월 11일 중국 최대 온라인 판촉 기간) 이후로 판매량 1위까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됨.
- 2016년 판매량 2, 3위를 차지했던 필립스와 JBL의 점유율은 3%, 9%로 스마트 스피커 시장에서 서서히 사라지고 있음.
중국 주요 스마트 스피커 제품
제조업체 | 징둥(京东) | 샤오미(小米) | 바이두(百度) | 히말라야 FM (喜马拉雅FM) | 알리바바 (阿里巴巴) |
제품명 | 딩동(叮咚) | 샤오미 인터넷 (小米互联网音箱) | 샤오위(小鱼在家分身鱼 视频 通话机器人) | 샤오야 (小雅音箱) | 톈마오 징링 (天猫精灵) |
제품형태 |
| | | | |
출시일 | 2015년 5월 | 2016년 11월 | 2017년 4월 | 2017년 6월 | 2017년 7월 |
가격 | 698위안 | 349위안 | 1999위안 | 699위안 | 499위안 |
자료원: 타오바오 등 자료 종합
□ 관세율
ㅇ HS Code 85182100
- 2017년 잠정 수입세율: 6%
□ 수입 인증
ㅇ CCC 인증을 받아야 함.
ㅇ 중국 품질인증센터 CCC 인증 신청서류 목록
① 인증신청서[신청기업의 직인 및 신청인(연락담당자) 필요]
② 신청인, 제조업체와 생산공장의 영업허가증, 조직기구 증서
③ 대리 권한 부여 통지(대리회사를 통해서 인증절차를 진행할 때)
④ 상표등록증명(상표가 있을 경우) 혹은 상표사용위임장 (상표를 신청기업이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
⑤ 공장점검조사표(최초 신청, 또는 기업이 추가로 상품 인증 신청 시) 혹은 최근의 유효한 '공장검사보고'
⑥ 라벨
⑦ 설명서
⑧ 부품리스트(Word 형식)
⑨ 부품인증서
⑩ 비금속재료 정보
⑪ 모델별 차이점 설명(여러 종류 모델을 동시에 신청한 경우 작성 필요)
⑫ 기계샘플 사진
⑬ 전기회로도(혹은 원리도)
⑭ 조립도
⑮ 접지 단자 부식방식 설명(부품과의 대응 관계를 명시해야 함. 특히 비금속재료 부분)
□ 시사점
ㅇ 스마트 스피커는 스피커 기능과 함께 소비자가 음성인식을 통한 네트워크 연결로 음악 플레이, 온라인 쇼핑, 일기예보 등을 이용할 수 있음. 또한, 스마트 홈 기기 컨트롤도 가능함.
ㅇ 스마트 스피커 산업 경쟁구조는 형성 중임.
- 스마트 스피커 산업은 초기단계로 창업 기업, 온라인 기업 등 다수 기업이 시장에 진입해 있어 경쟁구조는 아직 파악하기 어려움.
- 아이리서치 분석에 따르면, 스마트 스피커 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거대한 이용자 데이터와 독특한 기술 및 막강한 판매망을 가진 기업이 유리할 것으로 보임.
ㅇ 음성 인터렉션, 사물인터넷을 기초로 한 비즈니스 모델 설립
- 스마트 스피커는 사물 인터넷으로 음성 인터렉션을 통해 스마트홈 콘트롤을 실현했으며, 스마트 스피커는 지불내용, 제3자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에 새로운 활로를 개척했음.
ㅇ 한국 기업은 스마트 스피커 산업 사슬을 주목하고 관련 기업과 협력 기회를 발굴해야 함.
- 스마트 스피커용 부품 등 제품 개발, 협력 등
ㅇ 앞으로 스마트 스피커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한국 기업은 중국어 음성인식 기능을 중점으로 개발해 중국 스마트 스피커 시장에 진출해야 함.
자료원: 中关村在线, SOHO, KITA, 百度文库, 타오바오,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