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환자 너무 싱겁게 먹으면 사망률 높아진다
나트륨 농도 낮은 그룹, 사망률 2.7배, 심혈관계 사망률 3.3배 높아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진호준 교수팀, 65세이상 950명 분석
너무 짜게 먹는 것도 문제이지만 너무 싱겁게 먹어 혈중나트륨 농도수치가 낮으면 사망률 및 심혈관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진호준 교수팀은 노인인구에서 체내 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특히 혈중나트륨 농도는 정상범위이지만 그 수치가 낮게 유지되는 경우에도 사망률 및 심혈관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혈중 나트륨 농도가 135.0에서 145.0mEq/L로 정상 범위인 성남시 65세이상 인구 949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농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눠 5년 동안 추적 연구를 시행했다(그룹1 : 135.0-138.0, 그룹2 : 138.1-142.0, 그룹3 : 142.1-145.0). 연구결과 젊은 연령층의 인구와는 달리 노인인구에서는 혈중 나트륨 농도가 정상 범위에 있더라도, 그 농도가 낮을수록 사망률 및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의 위험도가 높아졌다고 25일 밝혔다.
혈중 나트륨 농도가 낮은 그룹(135.0~138.0)이 중간범위 그룹(138.1~142.0)에 비해 사망률은 2.7배, 심혈관계 사망률은 3.3배 높게 확인됐다. 특히 나트륨 농도가 2mEq/L 감소할수록 사망률이 14.9% 증가하는 경향도 밝혀냈다.
많은 노인환자들은 만성질환이나 노화로 인해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대사장애가 적지 않다. 우리 몸속 수분인 체액과 전해질 균형이 어긋나게 되면 신장기능에 급속한 손상을 줄 수 있고 결국 생명에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고혈압을 앓고 있는 고령환자가 증가하면서 고혈압 치료를 위한 이뇨제 처방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뇨제를 복용하면 수분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나트륨, 칼륨 등의 전해질도 같이 빠져나가게 되어 체내 전해질 불균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체내 전해질인 나트륨 감소는 젊은 연령보다는 노인인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인지장애, 골다공증, 골절, 입원율 증가 등에 영향을 미쳐 결국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존 연구들을 통해 보고돼 왔다.
진호준 교수는 “노인 인구에서는 소량의 혈중 나트륨이 감소되더라도 사망률 및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며 “노인의 경우에는 적절한 수분과 염분 섭취를 통해 체내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고, 정기적으로 신장기능 검사 및 전해질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진 교수는 이어 “노인 환자 중 고혈압 치료를 위해 이뇨제를 복용하는 경우에는 과다한 수분섭취를 피해야 하는데, 이뇨제와 같이 수분과 전해질 장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제를 선택할 때는 의료진과의 상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출처: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짜게 먹을 때와 싱겁게 먹을 때의 위험
우리 사회에 가장 잘 알려진 음식과 관련된 건강 지식은 "싱겁게 먹어라"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의사들의 첫마디가 "싱겁게 먹으라고 한다"
TV 건강 프로그램에서 빠지지 않고 나오는 멘트는 "짜게 먹지 말라"이다. 고혈압도, 또 무슨 병도 모두 짜게 먹은 결과라고 한다. 내가 알기로 혈액의 염분 농도와 고혈압의 인과관계는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누가 정확하게 안다면 댓글로 알려주기 바란다
가장 잘못 알려진 것은 초과 섭취한 염분은 모두 몸에 남아있는 거로 잘못 알고 있다. 동물이나 인체는 기본적으로 체액의 여러 물질들의 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성성'의 기능이 있다. 그래서 너무 짜게 먹으면 필요 이상의 엄분은 자동으로 땀이나 오줌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의사들과 언론에서 이 사실을 언급하는 사례를 보기 어렵다. 시시콜콜 하찮은 것들을 잘도 찾아내 알려주면서 이 중요한 일 에는 왜 그토록 무감각한가?
보건소에는 게시판에는 '세게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염분 섭취 권장 기준'이라는 안내문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김치, 된장 등을 많이 먹어 평균보다 몇 배 짜게 먹는다는 경고문이 겁을 준다. 누가 이 문제를 제대로 연구해 정확한 지식을 알려 준다면 그 사람에게 박사 학위 100개를 선사하고 싶다.
이제 짠 맛을 즐길 수 있는 ''안동간고등어도 없고, 또 '영광 굴비'도 없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 단지의 소금밭에 묻어두었다 꺼내 잠깐 쌀뜨물에 염분을 빼서 연탄불에 구운 짭짤하고 고들고들한 고등어 맛을 잃은지는 오래다. 아내에게 제발 냉장고에 넣지 말고 옛날처럼 해보자고 여러번 졸랐지만 언제 그 맛을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다.
음식점에서 좀 간이 제대로 된 음식을 내놓다가는 날벼락 호통이 기다리고 있다. TV에서 수십 년간 쇠뇌된 '싱겁게주의자들'의 벼락 호통에 아예 점주들은 가장 싱겁게 먹는 사람 기준에 맞추고 보니 음식맛은 둘째다. 요즘은 가장 짠 음식인 젓갈류도 싱거워져 제 맛을 잃어가고 있다.
염분 섭취애 대한 어설픈 건강지식이 올바르다면 얼마나 다행일까? 내가 나이들어 과학을 다시 공부하며 알게된 지식으로는 우리 사회의 염분 섭취 지식은 올바르지 않고...... 더 답답한 것을 이 중요한 것을 제대로 검증해보려는 시도가 거의 전무하다는 점이다. 이게 정상적일까?
나의 과학지식으로 두 기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기본적 사실을 알리고 싶다.
"짜게 먹을 때" : 필요 이상 섭취된 염분은 모두 땀이나 오줌으로 배출된다. 인체는 기본적으로 '항상성 유지' 기능이 있어 체액의 염분이나 당분 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짜게 먹는다고 그 염분이 몸에 남는 것이 아니다. 초과분은 모두 배출된다. 단, 특별한 질병 몇가지만 주의하면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금 걱정 말고 짠 맛을 즐겨라!
"싱겁게 먹을 때" : 너무 싱겁게 먹으면, 피와 체액의 염분 농도가 낮아진다. 소금의 가장 강력한 기능은 살균 작용이다. 간이 된 음식은 상온에 여러 날 있어도 잘 부패하지 않는다. 피나 체액의 염분 농도가 정상보다 낮으면 몸속에 들어온 여러 세균을 제압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소금으로 세균을 제압하지 않고 항생제로 제압하려면 그 부작용이 얼마나 클까를 생각해보라. 의사는 소금보다 항생체 처방을 선호할 것이다.
싱겁게 먹는 사람의 치명적 약점은 짜게 먹으면 자동으로 염분이 땀이나 오줌으로 자동 배출되지만, 너무 싱겁게 먹으면 부족한 염분은 오줌 여과 기능에서 재흡수를 하지만 그것도 조금 부족할 때이지 절대량이 부족하면 우리 인체는 대응할 방법이 없다. 세균의 공격에 무장해제된 상태이다. 지금까지 너무 싱겁게 먹어 부작용이 없었는지 잘 생각해보라.
< 글쓴이: 김 광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