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는 자동사구요 oppose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object는 목적어를 가지기 위해서 전치사 to가 필요한거구요 oppose는 타동사이므로 그냥 목적어를 받습니다. 위 문장에서 objected to는 뒤에 명사(목적어)가 오기때문에 to를 붙인거구요 밑에 oppesed는 목적어가 없기때문에 수동형으로 고친겁니다 to 이하는 전치
objected to나, was opposed to 에서의 to는 둘다 전치사에요, 해서 그 뒤에는 전치사의 목적어인 명사상당어구(명사, 대명사, "동명사" 등)가 오게 되는 거구요. objected to his studying는 자동사인 objected+ 전치사 to+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인 his+ 전치사의 to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 studying꼴이고,
was opposed to는 be동사+ 형용사opposed+ 전치사 to, 또는 타동사 oppose의 수동형으로 보기두 하구요. to가 전치사기에 그 뒤에는 목적어로 동명사인 studying이 온 거고, 이 studying을 한게 누구인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주기 위해 온 게 의미상주어인 his(<== 동명사의 의미상주어는 대명사인 경우 소유격을 써줌)
네요,,, 그리고 to부정사의 to하고 전치사 to가 사실 눈으로는 구별이 안되기에 자꾸 문제화가 되는 건데요, 암기사항으로 전치사 to를 구별해주기 위해선 대개 책들 동명사편 말미에 나오는 동명사 관련구문을 그냥 암기를 해주셔야 해요.// object to +명= be opposed to+명 = oppose+명 = have an objection to+명
첫댓글 이거는 그냥 숙어로 외우는게 좋겠는데요. object to=be opposed to 반대하다. 그리고 이건 기본으로 아시고 여기서 to는 부정사가 아니고 전치사이므로 뒤에 동명사가 와야되는게 더 중요하지요.
object to -ing, opposed to-ing, look forward to -ing(학수고대하다.)이 세가지 숙어 뒤에오는 to 부정사가 아니고 전치사이므로 꼭 명사나 동명사가 와야합니다. 중요합니다.
object는 자동사구요 oppose는 타동사입니다. 그러므로 object는 목적어를 가지기 위해서 전치사 to가 필요한거구요 oppose는 타동사이므로 그냥 목적어를 받습니다. 위 문장에서 objected to는 뒤에 명사(목적어)가 오기때문에 to를 붙인거구요 밑에 oppesed는 목적어가 없기때문에 수동형으로 고친겁니다 to 이하는 전치
사구죠..
네.. 감사합니다. 그러면 objected to에서 to는 목적어(his...~)를 쓰기위한 것이고, was opposed to에서 to는 전치사(to) + 명사(his...~)로 쓰였단 말씀인가요?
objected to나, was opposed to 에서의 to는 둘다 전치사에요, 해서 그 뒤에는 전치사의 목적어인 명사상당어구(명사, 대명사, "동명사" 등)가 오게 되는 거구요. objected to his studying는 자동사인 objected+ 전치사 to+ 동명사의 의미상 주어인 his+ 전치사의 to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 studying꼴이고,
was opposed to는 be동사+ 형용사opposed+ 전치사 to, 또는 타동사 oppose의 수동형으로 보기두 하구요. to가 전치사기에 그 뒤에는 목적어로 동명사인 studying이 온 거고, 이 studying을 한게 누구인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주기 위해 온 게 의미상주어인 his(<== 동명사의 의미상주어는 대명사인 경우 소유격을 써줌)
네요,,, 그리고 to부정사의 to하고 전치사 to가 사실 눈으로는 구별이 안되기에 자꾸 문제화가 되는 건데요, 암기사항으로 전치사 to를 구별해주기 위해선 대개 책들 동명사편 말미에 나오는 동명사 관련구문을 그냥 암기를 해주셔야 해요.// object to +명= be opposed to+명 = oppose+명 = have an objection to+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