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낮추는방법, 비교 분석
<참고 논문>
1. 식이와 운동이 흰쥐의 체내 지질수준, 혈소판 응집 및 적혈구막 Na 유출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holesterol Diet
and Exercise on Plasma and Liver Lipids, Platelet Aggregation and Erythrocyte Na
Efflux in Rats
2. 항고혈압제 투여와 지구성운동이 혈압 및 운동 지속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nti - hypertentives administration and endurance exercise or
blood pressure and exercise ability
3. 고혈압을 처음 진단 받은 환자에서 좌심실 비대 및 심실기능과 24시간
활동 혈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The Correlation between LVH, LV Function
and 24-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Hypertension
4. 혈액순환과 관련하여 nitric oxide 생성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활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cai Berry Ethanolic Extracts on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Activity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Related to Blood Circulation

우리나라 30대 이상 성인 10명중 3명은
고혈압을 앓고 있습니다.
흔히 고혈압은 약으로 완치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실상을 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고혈압이 왜 나타나는지
원인부터 살펴봅시다
고혈압의 가장 큰 요인은
혈액순환 장애입니다.
혈중 노폐물이 혈관 내에
돌아다니다가 작은 혈관을 막으면
피가 잘 순환하지 못하면서
혈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혈전으로
인해 혈액이 탁해지거나 혈관이 좁아지면
혈액순환을 위해 혈관이
더 센 압력을 필요로 하면서 혈압이 높아지게 돼 고혈압으로 이어집니다.
그런데 우리가 먹는 고혈압
약(ACEI, 안지오텐신, ARB, 알파차단제, 칼슘길항제 등)은
근본적인 원인인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라 혈압 수치만을 내리는데 중점을 둡니다.
고혈압 약은 크게 3가지를 통해서 혈압 수치를 낮춥니다
1. 심장의 활동력을 떨어뜨린다..
2. 혈관을 확장시킨다.
3. 혈액의 양을 감소시킨다.
즉, ‘심장의 근력’과 ‘혈관의
탄력’을 약화시켜 일시적으로 혈압을 내리는 것 입니다.
1. 심장의 활동력을 감소시켜 혈압을 내리는 약
대표적인 베타차단제는 심장박동수와
심장의 수축력을 낮추고 동맥을 이완시키는 효과를 냅니다.
베타차단제는 고혈압 외에도
협심증이나 심장의 일정한 박동장애 치료에 이용되는데
심장기능이 감소하면 산소를
덜 필요로 하게 되므로 협심증을 완화시키는 원리 입니다.
2. 혈관을 확장시키는 약
혈관 확장제, 알파차단제, 안지오텐신, 칼슘길항제, ACEI, ARB 등이 있습니다.
이 약물들을 사용하면 혈관이
확장되면서 혈관내 저항력이 감소하고
공간이 확대되어 결과적으로
혈압이 내려갑니다.
많이 쓰이는 칼슘길항제는
혈관벽의 세포에 칼슘이 섭취되면
혈관은 강하게 수축하고, 혈소판에 칼슘이 섭취되면 혈소판은 응축되고
혈관벽에 혈소판 침착 물이
증가합니다.
3. 혈액의 양을 감소시키는 약
이뇨제라고 부르는데 신장에
작용, 나트륨과 수분 배설을
촉진해 혈액량 자체를 줄임으로써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혈압을 내리기 위해 소변의
양을 늘리기 때문에
혈액과 신체 조직 속의
수분이 줄어들기도 하고 혈중 칼륨 농도가 낮아지며
콜레스테롤이나 지질의 양이
많아집니다.
이뇨제는 가격이 싸기 때문에
고혈압 환자에게 제일 처음 처방하며
다른 강압제와 함께 사용하면
강압 효과 또한 큽니다.
이런 혈압 약들은 두통, 기립성저혈압, 안면홍조, 성기능장애, 신부전,
위장장애, 치매, 당뇨,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원인을 개선하지 못해 약 복용을 중단할 경우
혈압은 다시금 제자리로 돌아간다는 것 입니다.
근본적인 원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해서는 누구나 다 아는 식습관과 운동이 필요합니다.
이와 더불어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건강식품을 복용하는 것도 효과적인데
대표적인 것이 홍삼입니다.
홍삼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순환 개선 효과를
공인 받았는데 이와 관련한
임상자료와 논문도 상당합니다.
실 사례를 토대로 홍삼이
혈액순환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나아가 혈압 개선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임상자료1

충북 의과대 신경섭 박사
팀은 혈액순환 장애 환자 28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홍삼을, 나머지 한 그룹엔 위약(가짜약)을
복용시킨 후
혈소판 응집 정도를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위약 복용 그룹의 혈소판 응집 정도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지만
홍삼 복용 그룹은 20%나 줄어들었는데 혈소판은 혈액을 굳게 하는
성분으로 응집 정도가 낮을수록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임상자료2

관동대학교 주일우 교수
팀에서는 고혈압 환자 24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게만 홍삼을 복용시킨
결과, 홍삼 미 복용 군에 비해 홍삼 복용 군은
혈압이 12mmHg나 낮아진 것을 확인했습니다.
임상자료3

충남대학교 전병화 박사
팀의 연구에서는 고혈압을 유발한 실험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만 홍삼을 투여한 후 혈압을 측정,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홍삼 미 투여 그룹의 혈압 수치는 190mmHg에 달한 반면
홍삼 그룹은 160mmHg로 무려 30mmHg나 낮았습니다.
이를 통해 홍삼이 혈압낮추는방법으로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홍삼을 먹어야
하느냐 문제가 남습니다.
백화점, 마트, 동네 어딜 가든 많은 홍삼매장들이 있지만
그 속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참 많이 다르고 차이도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홍삼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도 클 수 밖에 없어
잘 따져 보셔야 합니다.
대부분의 홍삼회사들은 물로
추출하는 물추출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추출하고 남은
홍삼박에 물에 녹지 않는 많은 지용성 영양성분이
남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엔 “온체식홍삼” 이라 해서 통째로 갈아 넣는 방식으로 제품을
만드는 곳들이 있는데 기존의
제품들과 비교해 상당히 괜찮아 보입니다.
이 부분은 잘 정리해 놓은
전문가 글이 있어 그 글을 보시는 게 더 쉬울 듯 합니다.
https://consumerreport01.blogspot.com/2018/11/blog-post.html
<온체식홍삼 등 품질 비교>
지금까지 혈압낮추는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한 동안 비소 검출로 난리였던 BCG경피용
주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