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 옆에서
서정주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경향신문』, 1947. 11.9)
[어휘풀이]
-뒤안길 : 늘어선 집들의 뒤쪽으로 나 있는 길
-무서리 : 그 해의 가을 들어 처음 내리는 묽은 서리
[작품해설]
가장 한국적인 시를 쓴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미당의 대표작이다. 우리나라 현대시를 대표하는 명시의 하나이다. 국화의 개화(開花) 과정을 통하여 어떠한 생명체라도 치열한 생명 창조의 역정을 밟고 태어난다는 것을 선명히 보여 주는 이 시는 불교의 연기론(緣起論-因緣說)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한다고 할 때, 그것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강한 힘을 부여하는 인(因)과 약한 힘을 보태는 연(緣)과의 상호 결합의 결과로 본다. 이 시에서도 국화 자체의 힘[因]과 소쩍새·천둥·무서리가 봄부터 가을까지 작용(緣)함으로써 국화가 꽃을 피우는 것이다. 여기에서 국화는 모든 생명체의 대유이자, 나아가 생명이 그러한 아름다움으로 승화된 상태의 상징이며, 동시에 시적 자아의 ‘누님’과 같은 40대 중년 여인이 도달할 수 있는 원숙하고 평온한 아름다움의 상징이기도 하다. 원래 국화는 사군자(四君子)의 하나로 절개와 지조를 상징하는 꽃이지만, 이 시의 국화는 이러한 관습적 상징의 차원을 넘어서 있다. 시인은 생명 탄생의 고귀함과 원숙한 중년 여인의 불혹(不惑)의 미를 상징하는 창조적 상징의 차원으로 국화를 노래한다. 이와 같은 함축미를 지닌 국화의 개화를 위해서 외적(外的)으로는 소쩍새의 울음·천둥·무서리 등의 협동이 필요했고, 내적(內的)으로는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로 상징된 설움과 번민의 시련과 고통 등을 극복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런 과정을 통하여 국화는 마침내 ‘내 누님같이 생긴’ 아름다운 꽃 한 송이를 피우게 되고, 무수한 괴로움과 역경을 극복하 인간은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앉아 조용히 자신을 투영, 성찰하는 완전한 모습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작가소개]
서정주(徐廷柱)
미당(未堂), 궁발(窮髮)
1915년 전라북도 고창 출생
1929년 중앙고보 입학
1931년 고창고보에 편입학, 자퇴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되어 등단
시 전문 동인지 『시인부락』 창간
1946년 조선청년문학가협회 결성, 시분과 위원장직을 맡음
1950년 종군 위문단 결성
1954년 예술원 종신 위원으로 추천되어 문학분과 위원장 역임
1955년 자유문학상 수상
1977년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2000년 사망
시집 : 『화사집』(1941), 『귀촉도』(1948), 『흑호반』(1953), 『서정주시선』(1956), 『신라초』 (1961), 『동천』(1969), 『서정주문학전집』(1972), 『국화옆에서』(1975), 『질마재 신화』 (1975), 『떠돌이의 시』(1976), 『학이 울고간 날들의 시』(1982), 『미당서정주시선집』 (1983), 『안 잊히는 일들』(1983), 『노래』(1984), 『시와 시인의 말』(1986), 『이런 나
라를 아시나요』(1987), 『팔할이 바람』(1988), 『연꽃 만나고 가는 사람아』(1989), 『피
는 꽃』(1991), 『산시(山詩)』(1991), 『늙은 떠돌이의 시』(1993), 『민들레꽃』(1994), 『미당시전집』(1994), 『견우의 노래』(1997), 『80소년 떠돌이의 시』(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