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규모의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전시회 Beauty World 성황리에 마쳐 -
- 참가업체 신상품 출시와 스테디셀러 시연으로 풍부한 제품 체험기회 제공 -
□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 Beauty World Middle East 2017 |
전시분야 | 화장품, 헤어, 목욕 제품, 향수 및 미용기구, 원자재, 포장재료 등 |
개최기간 | 2017년 5월 14~16일(1987년 최초 개최 이래 22회차) |
개최규모 | 24개 국가관, 57개국 1,570여 개 업체 참가, 42,000여 명 방문 |
개최장소 및 주기 | UAE Dubai World Trade Centre에서 매년 개최 |
주최 | Messe Frankfurt Middle East |
홈페이지 | http://www.beautyworldme.com |
Beauty World 2017 전시장 구성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 전시장 구성
ㅇ B2B 맞춤형 행사로 구성
- 제22차인 뷰티월드는 올해 참가업체 평에 따르면 지난 해보다 더 많은 화장품 관련 전문가, 뷰티센터·살롱 운영자, B2B 구매 담당자들이 참가했다고 전해짐.
- 실제로 많은 참가자들이 캐리어를 끌고 다니며 샘플을 수집했으며, 다양한 제품 시연 행사에 직접 참여하는 등 적극적으로 트렌드 읽기에 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음.
ㅇ 퍼스널케어 및 위생용품(Personal Care & Hygiene) 섹션 신설
- 전시회는 총 6개 분야로 구성 ① 헤어, 네일 및 살롱제품(Hair, Nails & Salon Supplies), ② 메이크업 및 스킨케어(Cosmetics & Skincare), ③ 전문기구 및 스파 제품(Professional Equipment, Spa & Wellness), ④ 포장 및 원자재(Machinery, Packaging & Raw Materials), ⑤ 향수(Fragrance), ⑥ 퍼스널케어 및 위생용품(Personal Care & Hygiene)
- 스킨케어 분야를 좀 더 세분화해 퍼스널케어 및 위생용품 섹션을 새로이 도입했으며, 해당 섹션에는 보디케어, 구강케어, 위생용품, 클렌징 티슈, 화장실용품 등을 전시했음.
ㅇ 전 세계 1570여 개 화장품 관련업체, 24개 국가관 참가
- 전 세계 4만2000여 명의 관계자가 참가했으며 참가자 수는 매년 증가 추세
-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등 화장품 강국과 중국의 기업들이 특히 많이 참가했음.
주요 국가관 참석 현황
| 구분 | 참가국 |
1 | 아시아 | 한국, 중국,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파키스탄, 대만, 태국 |
2 | 유럽 | 불가리아,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폴란드, 스페인, 영국, 터키 |
3 | 미주 | 아르헨티나, 브라질, 미국 |
4 | 중동 및 아프리카 | 이집트, 모로코, 튀니지 |
주요국 국가관 전경

주: (왼쪽부터 차례대로)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 촬영
ㅇ 한국관 참여 현황
- 한국은 62개 업체 참가, 주로 국제관(International Pavilion)에 부스를 두었음. 메이크업 & 스킨케어, 헤어·네일·살롱 제품 등 코너에서도 전시를 했음
- 시트형 마스크팩, 필오프형 마스크팩, 색조 메이크업, 마사지기 등 미용기구, 네일 기구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임.
- 우리 기업들이 BB크림, 쿠션 팩트 등 글로벌 히트상품을 최초 출시한 저력이 있는 만큼 현지 바이어들이 한국관을 찾아오는 등 적극적으로 트렌드 읽기에 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음.
우리 기업 주요 전시 상품
기업명, 제품 및 리뷰
| 사진 |
㈜제이티 - 제품명: 아이 패치 · 기존에 얼굴 전체를 덮는 마스크에서 나아가 소비자가 필요한 특정 부위에 적용 가능 · 국내에서는 익숙하나 현지에는 새로운 콘셉트로 차세대 유행 상품으로 주목 받음 | 
|
한국콜마·화진 - 제품명: 색조 메이크업 제품 · 중동 여성은 강하고 화려한 색조화장을 하는 것으로 유명 · 색조제품은 유럽 및 미국 글로벌 업체의 점유율이 높아 우리기업 진출이 쉽지 않으나 OEM·ODM을 통한 시장진출 모색 확대 중 |  |
현진
- 제품명: 필오프 마스크팩 · 골드마스크 등이 이미 현지에서 유행 중임에도 골드 및 다이아몬드를 함유한 제품 시연을 통해 방문객들의 좋은 반응을 얻음. 더불어 미세먼지를 흡수하는 마그네틱 팩도 함께 선보여 주목을 받았음. |
|
미랑
- 제품명: 미용기구 · 얼굴 온열 마사지기, 휴대용 미스트 등 국내 홈쇼핑을 통해 인기가 검증되고 홍콩 등 해외에도 진출한 홈케어용 미용기구 출품 · 미용기구를 찾는 현지 바이어들 사이에 좋은 반응을 얻음 |  |
트렌디 - 제품명: 네일기구 · 네일 파일, 손톱깎기 등 네일 관리기구와 네일컬러링 관련 제품 등이 다수 출시 · 살롱을 운영하는 현지 바이어들이 가격경쟁력이 높은 제품을 찾고 있어 관심을 받았음 |
|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 전시회 프로그램 및 특징
ㅇ Business in Beauty 서밋 개최
- 세계 뷰티산업 트렌드와 향후 마케팅 방향 제언 등을 주제로 전문가 강연 시리즈 진행
- 두바이 세관, 두바이 시청 등 정부 관계자 뿐 아니라 세계적인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 관계자, 뷰티산업 UAE 최대규모 업체인 MADI International사 CEO가 연사로 참여
- 유료 행사로 진행, 참석 희망자들이 많았음에도 고가의 참가비로 참석하지 못해 다소 아쉬웠음.
ㅇ Quintessence 향수 전문섹션 마련
- 중동지역은 향수 문화가 매우 발달돼 있으며, 현지 화장품 시장 중 제1위 매출상품은 향수
- 뷰티월드에서도 향수 만을 위한 섹션을 마련해 다양한 제품을 시향하고 향수 관련 세미나도 진행
Quintessence 참가 향수업체 전경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 촬영
□ 바이어 인터뷰: Cosmetica
Cosmetica 기업 소개

| - 설립: 2009년 - 주력 분야: 뷰티 살롱, 스파용 화장품 및 가구 전문 디스트리뷰터 - 활동지역: UAE를 포함한 중동 전역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 주요 납품처: 미용실, 전문 살롱 및 스파 1,000여 개 (힐튼 호텔, 쉐라톤 호텔, ,오만 Six senses 호텔 스파) - 보유 브랜드: MAESTRO(디자이너 살롱 가구 및 화장품) |
자료원: www.cosmeticatrading.com, Cosmetica 담당자 인터뷰
ㅇ 한국 제품에 대한 평가 및 구매희망 제품
- 숯(Charcoal) 마스크, 골드마스크 등 스킨케어용 마스크팩 제품을 높이 평가하며, 뷰티 살롱과 스파에 공급하기 위해 필오프 형태의 마스크팩을 수입하기 희망함.
- 그 밖에 뷰티센터 및 스파에서 사용할 미용기구, 네일케어 액세서리 등도 수입 의향이 있음.
□ 기타 바이어 인터뷰: Madi International 및 Nazih
ㅇ 양 업체 모두 UAE 내 화장품 관련 스킨케어, 메이크업, 헤어케어, 뷰티센터 등 거의 모든 부분을 커버하는 대형 바이어이나 유럽 및 미국 제품을 주로 구매하고 있음.
ㅇ 한국 제품에 대해서는 인지도와 신뢰도가 낮은 수준
- 우리 제품은 중국 제품보다 전반적으로 나은 수준이지만 유럽이나 미국 제품의 수준에는 못 미친다고 평가함.
- 또한 저가 중국 제품이 한국 제품의 신뢰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평가함.
- 일본 제품도 우리 제품과 비교해 그다지 높게 평가하지 않아 아시아 제품 전반에 대해 인지도와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보임
- 네일 파일, 손톱깎기 등 관련 미용기구, 네일 및 페디큐어 소모품 등 저가 소모품 위주 구매 의사가 있다고 밝힘
바이어 전시관 전경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촬영
□ 우리 참가업체 인터뷰: Natural F&P
Natural F&P 전시장 및 주요 제품

자료원: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촬영
ㅇ 주력 상품
- 시트마스크를 주력으로 해 수분공급, 주름개선, 영양공급, 미백, 모공 수축 등에 특화된 마스크를 생산하고 있음.
- 그 밖에 스킨케어 제품, BB크림, 썬크림 등 생산
- 2012년도부터 해외수출을 시작, 현재 미국 아마존을 통한 판매 등 연 200억 원 규모의 수출액을 달성하고 있음.
ㅇ 강점
- 대기업 경쟁사들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높으며, 납품도 빠른 편임.
- 성분 구성에 있어 고객사 맞춤형 제품 생산이 용이하며, 자체 패키징 등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음.
ㅇ 전시회 참가 목적
- 미주, 홍콩, 일본에서의 판매 경험을 바탕으로 중동 시장에 진출하고자 함.
- 아직 현지 법인은 없으며, 현지 바이어와의 협력 하에 주문 발생 시 운송 처리
ㅇ 애로사항
① 현지 바이어 발굴에 애로
- 중동지역 화장품 시장 진출 시 자체 매장을 가지고 있거나 대형 유통망에 납품하는 바이어와의 협력이 필수적
- 중동지역 시장 진출을 시도한 이래 자체 브랜드 수입상을 찾았으나, 성과가 저조해 앞으로는 OEM·ODM을 원하는 업체를 위주로 파트너링을 모색할 계획
- 현지 바이어나 유통업체와의 네트워크가 부족한 바, KOTRA 등 유관기관의 지원이 필요함
② 화장품 유통기한
- 통상 제품 생산 시 유통기한을 3년으로 잡고 생산하나 운송·통관·납품에 1년 이상이 소요되면, 정작 소비자가 제품을 접할 때는 유통기한이 짧게 남게 되는 경우가 발생
- 까다로운 통관 애로를 해소하고, 현지 유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함.
□ 시사점 및 우리 기업 진출방안
ㅇ 우리제품의 인지도 개선 노력 시급
- K-Beauty가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북미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음을 고려할 때, UAE를 비롯한 중동시장에서는 우리 제품의 인지도가 현저히 떨어짐.
- 일부 바이어들은 우리 제품이 품질 면에서 중국제품과 품질이 비슷하다고 막연히 판단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임.
- 따라서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이 유동인구가 많은 쇼핑몰 위주로 공격적인 자체 매장 운영 전략을 구사하든지, 대대적인 온라인 광고를 통해 제품홍보를 하든지 우리제품에 대한 인지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시급한 형편임.
- 우리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은 세계적으로 널리 인정받은바, 중동지역에서는 할랄 인증 등의 취득을 통해 이 점을 더욱 부각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임.
- 할랄 인증은 현지 유통을 위해 강제적인 사항은 아니지만, 인체 안전성 관련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음.
ㅇ OEM·ODM을 통한 현지 진출 적극 모색 필요
- UAE 화장품 시장은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가 각축하는 시장으로, 소비자들도 유럽 및 미국의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임.
- 따라서 인지도가 낮은 중소업체가 자체 브랜드로 시장 진출을 하기에 애로가 많기 때문에 OEM(주문자 위탁생산)을 통해 현지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판단됨.
- 자체 제품 개발이 용이하고, 다양한 제품 라인 생산에 무리가 없는 중견기업 이상은 ODM(제조업자 개발생산) 등을 통해 스킨케어, 색조 제품 등 다양한 제품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ㅇ 트렌드 리더 상품 꾸준히 개발
- BB크림, 쿠션 팩트 등이 유럽, 북미에서의 인기를 계기로 글로벌 히트 상품이 된 이후 많은 글로벌 화장품 제조사들이 한국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찾고자 함.
- 이번 전시회에서도 아이 패치와 같은 우리 제품이 많은 바이어들의 관심을 받는 등 현지 화장품 시장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엿보임.
- 우리 기업들이 뷰티 제품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트렌드 리더 상품을 꾸준히 개발해 신규 수요를 창출한다면 해외 시장 공략이 좀 더 수월할 것으로 보임.
ㅇ 뷰티산업 관련 전시회 참가
- 두바이에서는 매년 두바이 더마(피부미용기기), 뷰티월드(화장품)가 상반기에 개최됨.
- 상기 전시회에는 화장품 분야의 현지 바이어들이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새로운 제품을 찾기 위해 한 자리에 모이게 됨.
- 따라서 현지 시장진출을 원하는 기업은 필수적으로 전시회에 참가해 제품을 시연하고 잠재 바이어들을 만나 수요를 파악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 권장됨.
자료원: Beauty World 홈페이지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