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시민과 함께 꿈꾸는 복지공동체
 
 
 
카페 게시글
├ 자유게시판 스크랩 시니어 코하우징(노인주택공동체) 사례 [핀란드 로푸키리]
메트로 추천 0 조회 430 13.04.26 17:21 댓글 1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3.04.28 16:06

    첫댓글 2010년 미국 은퇴자협회(AARP)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3%가 지금까지 살던 집에서 가능한 한 오래 살기를‘강력히 원했으며’, 67%는 자신이 살던 지역사회에서 가능한 한 오래 남기를‘강력히 원했다.’ 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노인복지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실버타운' 같이 일부 부유층을 위한 특정 시설에 몰두할 게 아니라 '에이징 인 커뮤니티'와 '고령친화도시'같은 보편적인 정책에 관심을 보다 집중해야 할 듯 합니다.....

  • 13.04.28 21:44

    17평은 너무 크죠. 호텔방처럼 해서 모든 서비스를 호텔식으로 하고 서로 자원봉사하면 더 공동체 다워집니다.

  • 작성자 13.04.28 22:59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더 클 필요는 없겠습니다만 최소 17평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취사 등 독립된 생활이 가능해야 코하우징(Co-housing)의 참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협동'과 동시에 '노인'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자립'이기 때문입니다.

  • 작성자 13.04.28 23:06

    '호텔식 서비스'야 말로 이 '자립'에 반하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실버타운이 실패한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코하우징이 추구하는 바는 '호텔'이 아니라 엄연한 '집'입니다...

  • 13.04.28 22:17

    위 글을 보면 <호텔처럼 1층과 꼭대기 층에 공용공간을 넣고, 6개 조로 나눠 매주 돌아가며 밥을 짓습니다. 더불어 세탁실·관리실·사우나·체조실·회의실 청소도 이런 방식으로 해결합니다. 소말리아 이주 여성을 불러 수영을 가르치고 대신 영어를 배우는 식의 재능 나눔도 했습니다. > 라고 했네요. 호텔식 서비스를 상호간 자원봉사로 하는 것이 어찌 자립에 반하는 것일까요? 취사등 독립공간은 공유했는데 왜 필요한지요?


  • 작성자 13.04.28 23:15

    이 글에서는 분명 호텔'처럼'이라고 했습니다.
    호텔식의 '서비스'를 얘기하는 것과는 다른 얘깁니다.
    '서비스'에는 서비스 주체와 객체가 있고 필히 '비용'이 따릅니다. 저는 그러한 비용이 발생하는 소위 고급 '실버타운'이라는 것과 '시니어코하우징'은 근본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다름을 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 작성자 13.04.28 23:15

    위 글에 나온 곳은 월~금까지 '저녁 식사'만 공유합니다.
    다 이유가 있겠죠?
    독립된 생활(개인 취사)과 협동 생활(공동식사)을 적절히 나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듯 자립과 협동이 공존하는 것이 코하우징의 특징입니다.
    그러나 모두가 이렇게 할 수는 없고 실험정신이 강한 몇몇 그룹만이 '시니어코하우징'을 할 수 있고, 그외 대다수의 노인들은 '에이징 인 플레이스'(+재가노인복지서비스)로 가야 합니다...

  • 13.04.28 22:35

    <모든 서비스를 호텔식으로 하고 서로 자원봉사하면 더 공동체 다워집니다.> 라고 썼는데 이것이 어찌 주체와 객체가 구별되고 비용이 따르는 서비스로 인식되었는지요? 다시 써 드리면 <모든 공동체 구성원이 서로 자원봉사하며 호텔식으로 서로 봉사하며 각종 편의를 서비스한다는 개념이며 외부인을 고용해서 급여를 지급하는 서비스 개념은 아닙니다.>

  • 작성자 13.04.28 23:15

    그런 뜻이면 더 논쟁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적은 규모로는 실천 가능한 생각이십니다.
    다만 완전한 공동체생활은 굉장히 어려운 부분입니다.

  • 13.04.28 22:39

    참고로 제가 추구하는 것은 코하우징이 아닌 의식주 공동체입니다. 의식주외 기타 모두 공동체에서 자원봉사로 자급자족하는 것을 이상향으로 하고 있죠. 아주 먼 옛날 그렇게 살았다고 보네요. 원시공동체라고 불리는 형태에서. 그것이 가장 이상적인 삶의 형태라고 봅니다.

  • 13.04.29 08:44

    객관주의 님과 메트로 님의 논의가 참 좋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현재는 대안 모색단계이기에 각 기관마다 조금씩 운영자가 빛깔을 달리하여 시도해봄직하다고 봅니다. 참가자들의 성향, 건강상태에 따라서 시도하는 것이 달라야 하고, 처음 시작은 자립+협동이지만, 건강상태가 나빠지면 전문가와 봉사자의 지원이 좀더 강화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 집에서 살 수 있는 한 최대한 살고 요양등급이 나올 정도 되면 별도의 서비스가 필요할 것입니다.

  • 13.04.29 11:03

    의식주공동체는 사회적 가족제이며 공동체안에 병원도 존재합니다. 별도시설요양개념이 필요하지 않지요. 대부분의 요양시설 이용노인들도 시설을 꺼려한다는 뉴스를 보면 차별화에 따른 소외감을 느끼는 듯 합니다만..

  • 13.04.29 11:00

    완전한 공동체생활이 굉장히 어렵다하셨는데 어떤 문제가 있는지요? / 참고로 제가 쓴 공동체 관련글을 읽어보시고 문제점을 지적해주시면 공동체수립계획에 반영하겠습니다.

  • 작성자 13.04.29 11:48

    세상엔 많은 공동체가 있지요. 생태 공동체, 영성 공동체 등... 그러한 운동도 활발한 것으로 압니다.
    예를 들어 '핀드혼 공동체' 같은 경우는 영적사명감 같은 게 있어야 겠지요. 모든 게 선택하기에 달려있습니다.
    제 말은 님이 생각하시고 계획하시는 '공동체' 와 제가 생각하고 계획하는 '시니어코하우징'은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다는 애깁니다. 어느 것이 낫다는 얘기가 아니라...
    '문제점'이 있다는 얘기가 아니라 목적을 이루는 데 있어 각각 나름의 어려움이 있다는 그런 얘깁니다...

  • 13.04.29 12:55

    공동체의 정의가 무엇이냐가 문제인데, 저는 공동체를 거래가 아닌 베품을 실행하는 곳으로 봅니다. 거래가 발생하면 자본주의나 공산주의와 차이가 없지요. 공동체 밖의 사람들과 거래는 어쩔수 없다할지라도 공동체 안에서는 거래를 금해야 공동체다워집니다. 가족간에 거래를 한다면 가족이라 하기 뭐하죠. / 생태공동체는 생산을 특히 농업생산을 함께 합니다. 그리고 판매를 하지요. 그 구성원간 거래가 없다면 공동체가 되겠지만 타 공동체에 베품이 아닌 판매가 주목적이라면 공산주의에 가깝지요.

  • 13.04.29 12:57

    영성공동체는 솔직히 뭐하는 곳인지 모르겠네요. 몇군데 카페에 공동체연합 글을 올렸는데 활동정지나 강퇴시키더군요. 타공동체 또는 연합에 배타적인 곳들이 많습니다. 자기들만의 공동체를 하겠다는 것인데 이런건 이름만 공동체라고 봅니다.

  • 13.04.30 17:06

    인간의 사고가 무한대 일치하지 않는한 공동체 비슷한것은 있어도 공동체나 객관주의도 없다. 걍 오차범위안에서 정도를 객관주의라 하고 공동체라 하자와 같은 허용적인 말이지 진정한 공동체가 어떻게 존재할것인가!!! 그러한 단어를 개념화할때 이미 주관이 내재해버린것을!!!

  • 13.04.30 17:13

    공동체나 개관화 같은것은 한계를 내포한 단어이기에 큰 틀에서 볼때 유사하면서도 조금씩 다른 모델들을 만들어서 각 개인이 선호도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는것이 합리적일 듯...

  • 작성자 13.04.30 18:55

    빙고^^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