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자인 한자는 한국과 일본에도 사용되는데 한국의 경우는 한자를 거의 백프로 음독으로 읽습니다. 한자의 중국발음을 그대로 읽으려고 함 아마도 이것은 유교적 전통(사대주의)이 강해서 중국의 한자음을 그대로 발음하려는 역사적 전통때문인것 같고 반면 일본은 한자를 발음 할때 중국발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그 한자의 뜻에 해당하는 순 일본어를 발음하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어떤 단어는 음독 또 어떤 단어는 훈독 또 어떤 단어는 음독과 훈독 둘 다 혼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음독의 경우도 어떤 글자는 음독의 두개인 경우도 있는데 正 이라는 한자는 정(음독) 쇼(음독) 타다시이(훈독) 처럼
음독의 두개인 경우가 있는 이 경우는 일본의 경우 한자가 중국의 오나라에서 백제를 거쳐 들어왔는데 그때 오나라의 발음(쇼)과 그리고 그 후 북경지방의 표준 발음(세이)가 뒤 섞여서 여러형태의 음독이 있게된 이유가 이런 경우임 우리나라도 옛날 표기 향찰문자인가 이두문자인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그때는 훈독으로 읽기는 읽었다는데 하여튼 지금은 한국에서는 음독만 일본에서는 음독 훈독 둘다 사용됩니다.
첫댓글 하늘 천, 땅 지, 검을 현, 누를 황.
한자로 된 단어는 음독이고 순일본어는 훈독.
중국문자인 한자는 한국과 일본에도 사용되는데 한국의 경우는 한자를 거의 백프로 음독으로 읽습니다. 한자의 중국발음을 그대로 읽으려고 함 아마도 이것은 유교적 전통(사대주의)이 강해서 중국의 한자음을 그대로 발음하려는 역사적 전통때문인것 같고 반면 일본은 한자를 발음 할때 중국발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그 한자의 뜻에 해당하는 순 일본어를 발음하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어떤 단어는 음독 또 어떤 단어는 훈독 또 어떤 단어는 음독과 훈독 둘 다 혼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음독의 경우도 어떤 글자는 음독의 두개인 경우도 있는데 正 이라는 한자는 정(음독) 쇼(음독) 타다시이(훈독) 처럼
음독의 두개인 경우가 있는 이 경우는 일본의 경우 한자가 중국의 오나라에서 백제를 거쳐 들어왔는데 그때 오나라의 발음(쇼)과 그리고 그 후 북경지방의 표준 발음(세이)가 뒤 섞여서 여러형태의 음독이 있게된 이유가 이런 경우임 우리나라도 옛날 표기 향찰문자인가 이두문자인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그때는 훈독으로 읽기는 읽었다는데 하여튼 지금은 한국에서는 음독만 일본에서는 음독 훈독 둘다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