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경남 산청을 시작으로
경북의성 울산 울주 등 영남권 곳곳에 화마가 덮쳤다
그런데 대형 산불이 발생한 원인이 실화에 의한
인재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있다
25일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21일 경남 산청군 사천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최초 발화지점 인근에서
애초기로 풀을 베던 작업 중 불씨가 튀어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불로 산불 진화에 나섰던 창녕군
진화 대원 3명과 공무원 1명이
숨졌고 다른 진화에 대원 5명이 중경상 을 입었다
하루뒤인 22일 오전11시24분에는 경북의성군 안평면에서
산불이 났다 의성군은 안평면에서 산불이났다
의성군은 이 산불이 성묘객이 묘지를 정리하던중
실수로 불을 낸 것으로 파악하고있다
울주군과 김해에서 발생한 산불도 산불도 실화로 추정된다
같은 날 낮 12시12분쯤 울주군 온양읍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최초 산불 발화 원인이 야산 인접지 시설에서 용접작업을 하던중
불꽃이 튄것으로 추정된다
같은날 오후 2시2분 쯤 김해시 한림면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도
야산 인근에서 쓰레기를 태우던 과정에서 산불이 번진 것으로
추정하고 진화 작업이 끝나는 데로 정확한 원인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우리나라에서 산불은 건조한 상태에서 야외활동이 많은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림청이 계절별 산불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것을 보면
연평균 발생건수는 546건 중 봄철 (3`5월)이303건으로
56% 를 차지한다
산불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171건(31%)
쓰레기 소각이 68건(13%) 논 밭두렁 소각이 60건(11%)으로 뒤를 이었다
대부분 설마 하는 생각에 불씨를 안이하게 다루다 큰불로 번지는
사례가 많다는 의미다
특히 우리나라는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동고서저 의
지형적 특성과 남쪽은고기압 북쪽은
저기압인 남고북저 의 기압배치로
봄철에 대기가 건조하고 서풍이 강하게 부는데
이런 지형과 기압의 영향으로
실화가 큰불로 번질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전문가 들의 지적이다
산불은 인명과 재산에 손해를 끼치는 것과 더불어 잔연에도
큰 상처를 남긴다
불에 탄 산림을 복구하려면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돼야 한다
따라서 개개인이 산불에 대한 경각심 을 가져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특히 산불이 발생하기 쉬운곳에 감시원의 숫자를 늘려 배치하거나
폐쇄회로(CC)TV 등을추가로 설치하는등 산불을 예방할수있는
관리방안을 정부와 자치 단체가 강화할 필요가 있다
기후 변화로 갈수록 화재발생 가능성은 늘어나고 한번 발생하면
대형화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화마는 방심이라는 불소시게를 만날 때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위성욱 중앙일보 부산총국장
첫댓글 자나깨나 불조심 꺼진불도 다시보자 !!
불조심
70년대에는 리본도 가슴에 달고 다닌 기억도나요
@봄여가겨 맞아요..ㅠㅠ
매년 되플이되는 문제인데 올해가 좀 더 심한 것일 뿐.....
근본적인...대책이 시급 한거죠...
답답혀요...!
비가조금 5mm내린다 해도 소화는못미치나봐요
@봄여가겨 그러게 말 입니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