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방접종은 말 그대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다. 백신은 인공적으로 면역을 얻기 위해 약화시킨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조작해 만든 것으로 신체에 항체를 형성해 특정 감염증을 예방한다. 반면, 백신의 생산, 유통과정, 접종과정, 특이체질로 인한 과민반응 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자연적으로 아이의 면역력을 길러주며 예방접종을 멀리하는 엄마들도 있지만 예방접종을 피하기는 어렵다. 아이들이 맞아야 하는 접종에는 꼭 맞혀야 하는 국가필수예방접종과 선택에 따라 접종하는 기타예방접종이 있다. 국가필수예방접종은 흔히 발생하고 합병증이 심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국가에서 권장하는 기본 접종이다. 기타예방접종은 고위험군이나 질병이 우려될 때 선택 접종하는 것으로 비용이 비싼 편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엄마들이 필수예방접종은 맞히고 비싼 선택 접종은 선별해서 맞히는 추세.
아이에게 맞춰야 할 필수예방접종 | |
결핵(BCG) 모자보건법과 대한소아과학회에서는 BCG 접종을 생후 4주 이내에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신생아 때 한 번 접종하는데 아기가 피부질환을 앓고 있거나 발열, 면역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는 일단 접종을 피하는 것이 좋다. 효과는 10년 이상 나타나는데 12세 전후에 투베르쿨린 반응에 음성을 보인다면 추가 접종을 해야 한다. 부작용으로 부분적인 궤양이나 화농성 임파선염이 나타날 수 있다. | |
| |
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DPaT) 이 3종류의 백신을 함께 접종하는 것으로 흔히 DPT라 부른다. 디프테리아는 균에 감염되면 인후점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호흡이 곤란해지거나 심장마비, 심근염을 일으킬 수 있고 파상풍은 치사율이 가장 높은 질병으로, 감염되면 특유의 신경 증상이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5회에 걸쳐 예방접종을 하는데 생후 2개월에 1차 접종을 하고 두 달 간격으로 2차와 3차 접종을 한다. 그 후 18개월에 4차, 4~6세 사이에 5차 추가 접종을 하며 5회 접종이 끝나면 10년마다 성인형 파상풍과 디프테리아(Td)를 접종한다. 백일해는 7세 이상의 소아에게는 접종하지 않는다. 접종 후 통증, 발열, 경련 등 부작용이 올 수도 있는데 1차 접종 후 부작용이 심했다면 접종하지 말아야 한다. 백신이 흡수되는 데는 1~3개월이 걸리므로 가급적 같은 부위에 접종하지 않는다. | |
| |
홍역·볼거리·풍진(MMR) 생후 12개월에 혼합 접종을 하고 4~6세에 추가 접종을 한다. 홍역이 유행한다면 생후 6개월부터 홍역 단독 접종이 가능. 볼거리와 풍진은 12개월 이후에 접종하는 것이 좋다. 12개월 전에 접종하면 모체로부터 받은 항체로 인해 항체 형성이 억제되기 때문에 홍역을 접종한 아기 중 5~15%는 접종 후 6일쯤에 열이 나고, 5% 정도는 접종 후 7~10일 사이에 일시적인 발진이 일어나 2~4일간 지속되기도 한다. | |
| |
B형간염 아기가 태어나자마자 맞는 예방접종. 산모가 B형간염 바이러스 보균자일 경우는 백신 접종만으로 부족하므로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HBIG)을 같이 주사한다. 아기는 바이러스에 감염돼도 거의 발병하지 않지만 보균자가 될 우려가 높기 때문. 아기에게는 대퇴근육에 주사를 놓는데 생후 1·2·6개월에 접종한다. | |
| |
인플루엔자 급성호흡기질환인 독감을 예방하기 위한 접종. 6개월 이상의 아이에게 접종이 가능하며 열이 나거나 달걀 알레르기가 있으면 피해야 한다. 접종 후 2주 이내에 항체가 생기기 시작해 4주째에 최고에 달하는데 항체가 5개월이 지나면 없어지기 때문에 독감 유행 시기를 잘 계산해 접종해야 한다. | |
| |
| |
엄마 뜻에 맡기는 선택예방접종 | |
뇌수막염(Hib)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 세균이 침투해 뇌막염, 중이염, 후두개염, 화농성 관절염, 잠재성 균혈증, 폐렴 등을 일으키고 가끔 신생아 패혈증이나 뇌막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백신의 종류에 따라 생후 2개월부터 두 달 간격으로 2회나 3회 접종하고 12개월이나 15개월에 추가접종을 한다. 12개월이 지난 아기라면 1회 접종하고 면역 기능이 정상인 5세 이하의 아이에게도 접종할 수 있다. | |
| |
A형간염 A형간염 바이러스에 의해서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병으로 최근에 다시 급증하고 있으며 구강과 분변으로 전염된다. A형간염은 6세 이하는 비교적 가볍게 걸리기 때문에 잘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6세 이상과 성인은 발열, 황달, 식욕부진, 구역질,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12개월 이후에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 | |
| |
폐렴구균 폐렴구균은 중이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감염되면 폐렴, 뇌막염, 부비동염을 일으킨다. 또 생후 1~24개월에 흔히 발생하는 특발성 균혈증의 원인균이기도 하다. 예방접종은 2종류가 있는데 만 2개월, 4개월, 6개월 3회 접종 후 12~15개월에 추가 접종하는 7가백신과 2세 이상의 소아에게 접종할 수 있는 23가백신이 있으며 부작용은 드물다. | |
| |
로타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생후 6~24개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다른 장염과는 달리 수십 차례 설사와 함께 탈수를 일으켜 위험성이 높은 편.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원칙적으로는 생후 24주까지 완료해야 하는데, 생후 6주 이후 1차 접종하고 최소 4주 이후, 생후 16주 이전에 2차 접종한다. | |
| |
| |
| |
| |
| |
![]() | |
| |
예방접종 안전하게 맞히기 | |
예방접종 후 주사를 맞은 자리가 빨갛게 붓거나 고름이 나기도 하고, 열이 나거나 잘 먹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아이가 최상의 컨디션일 때 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지켜야 할 수칙들. | |
| |
step1 예방접종 전 | |
| |
step2 예방접종할 때 | |
| |
step3 예방접종 후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