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생성
서기 8세기 초 신라가 삼국을 통일시키는 위업을 달성하면서 고구려와 백제의 정치·문화적인 문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또 하나의 문학이 형성되었다.
고대 가요의 전승은 바로 통일 신라의 '향가 문학'으로 이어졌는데, 이 문학은 중국의 한자와 불교 등의 수입이 이루어진 사회적 배경을 토대로 한다(향가 발전의 배경). 이 과정에서 신라인들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보편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는 문자를 필요로 하였는데, 마침내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로 적는 이두(吏頭)의 표기법을 창안하게 되었다. 바로 이 ' 향찰(鄕札)'이 국어 문장 구성법에 따라 우리말로 적은 '향가 문학'을 가능하게 해준 요인이다.
향가는 어떤 노래인가 분명하게 규정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향가라는 말이 언제 어떤 뜻으로 쓰였는가 알아보자면 『三國遺事』의 「月明師 兜率歌」 대목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거기 보면, 경덕왕이 월명사를 불러 노래를 지으라고 하자, 자기는 國仙之徒에 속해 있으므로 다만 향가만 깨쳤고 梵聲은 모른다고 했다. 梵聲이란 범패이거나 찬불가로 향가는 그런 것들과는 대립적인 위치에 있는 우리말 노래이고 국선지도가 지어 부르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위해 제를 지낼 때, 향가를 지었더니 문득 바람이 일어나 제단에 놓인 종이돈을 휘몰아 서쪽으로 갔다고 했다. 기사 끝에는 <삼국유사> 저자의 말로 “신라사람들이 향가를 숭상한지 오래 되었다”고 하고, 향가가 “천지와 귀신을 감동시킨 일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했다.1) 향가는 ‘우리말로 된 노래’로 ‘향’은 ‘우리 것’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전하는 향가는 『三國遺事』에 실린 신라시대의 시가 14수와 고려 초의 『均如傳』에 실린 11수로 모두 25수이며 고려 초기 예종(睿宗)의 「도이장가(悼二將歌)」나 정서(鄭敍)의 「정과정(鄭瓜亭)」은 고려에 잔존하는 향가의 모습으로 보고 있다.
現傳하는 향가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은 「서동요(薯童謠)」이다. 「서동요(薯童謠)」의 형성 시기는 6세기경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신라 진평왕 대로부터 그 연원을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로써 향가의 최초 발생시기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3세기 초 내해왕 때의 「물계자가(勿稽子歌)」나 5세기 초 눌지왕 때의 「우식곡(憂息曲)」과 같은 노래나 1세기 초 유리왕때 「도솔가(兜率歌)」를 지어 가악의 시초를 열었다고 한 기록들은 향가의 연원을 그 이전의 시대로 파악하게 하는 근거가 된다. 이로 볼 때 구전가요가 아닌 기록가요로서 향가가 최초로 성립된 것은 유리왕 5년 「도솔가(兜率歌)」의 제정에서 비롯되며, 이후 점차 발전을 거듭하여 6세기 전반 융천사의 「혜성가(彗星歌)」에 이르면서 비로소 10구체의 완성된 시 형태를 낳게 된 것이다.2)
1) 조동일, 『제 3판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1994, p144~145
2) 박노준, 「향가」『국문학개론』, 새문사, 1992
★향가는 왜 없어졌나?
신라 시대에 활발하게 창작되고 높은 시적 수준을 보였던 향가가 쇠퇴하게 된 까닭은 여러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1) 향가의 주요 작자층이었던 화랑이 사회적으로 쇠잔해 버린 점,
2) 불교가 민중에서부터 귀족들의 것으로 옮아가게 된 것,
3) 구비 창작 전승물로서 누구나 노래하며 두루 향유할 수 있었던 향가 양식이 귀족이나 승려 등 일부 특수 계층의 전유물처럼 인식되면서 그 향유층이 제한되었던 점,
4) 그리고 산문학의 발달과 더불어 문자 행위로서의 문학이 중시된 점 등이 함께 영향으로 작용함으로써 향가는 잔영만 남기면서 쇠퇴하게 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첫댓글 ★향가는 왜 없어졌나?
1) 향가의 주요 작자층이었던 화랑이 사회적으로 쇠잔해 버린 점,
2) 불교가 민중에서부터 귀족들의 것으로 옮아가게 된 것,
3) 구비 창작 전승물로서 누구나 노래하며 두루 향유할 수 있었던 향가 양식이 귀족이나 승려 등 일부 특수 계층의 전유물처럼 인식되면서 그 향유층이 제한되었던 점,
4) 그리고 산문학의 발달과 더불어 문자 행위로서의 문학이 중시된 점 등이 함께 영향으로 작용함으로써 향가는 잔영만 남기면서 쇠퇴하게 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저 지난 학기에 향가가 왜 없어졌는지 배웠었는데, 여기에 올리시니 넘 반갑네요.^^
향가가 없어진 이유도 좋지만 향가가 어떻게 변하였나를 알아보는 것도 좋을법 한데요^^
네 교수님. 향가의 발전 과정도 찾아서 올렸습니다. ^^감사합니다.
고등학교 때 입시를 위한 향가를 배웠던 기억이 나요 ㅎㅎ
향가가 없어진 이유 등 심층적인 정보를 볼 수 있어서 참 좋아요^^
좋은 자료 잘 읽었습니다^^
향가를 조선이 신라에 이어받아 지금까지 꾸준히 지속시켰다면 더욱 더 좋은 작품이 나왔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쇠퇴한 향가가 아쉽네요ㅠ 좋은 자료 잘 읽었습니다.^^
향가가 왜 없어졌는지에 대해 여러가지 이유를 알수있어서 좋았습니다~
단순히 세월이 지나면서 향가의 유행이 지나서 없어진 줄 알았는데, 특별한 이유가 여러가지 있었네요 ㅎㅎ
일완님, 좋은 자료, 참 고맙고요. 늘 멋진 나날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