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현(安鼎鉉)
安鼎鉉(안정현)
3派24世-교서공파-취우정공(휘광우)파
1871 ~ 1928
字는 子玉이고 號는 靜窩이며
一八七一年辛未生이며 一九二八年戊辰十月十三日卒이다
行篤學博하고 人稱眞儒이다
ㅇ墓는 五大祖考右方癸坐이며碣銘直閣李義國撰이고
有文集行于世序는晦峰河謙鎭撰이며 行狀는知軒趙正來撰이다
配는 碧珍李氏이며一八六九年己巳生이고 忌는正月二十日이며 父는馨和이고 祖는承健이다
ㅇ墓는 公兆부右이고无育이다
后配는 咸安趙氏이며一八七五年乙亥生이고 一九三二年壬申十一月十八日卒이며 父는益奎이고祖는熙邦이다
ㅇ墓는 公兆右壬坐이다
안정현(安鼎鉉 ; 1871~1928)
자는 자옥(子玉), 호는 정와(靜窩),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안성주(安聖柱)의 아들로 함안(咸安)에서 살았다.
그는 처음 조정규(趙貞奎)에게서 7~8년 동안 수학하며 위기지학(爲己之學)의 요지를 알았으며,
그 후에 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 나아가서 경서(經書)를 논변(論辨)하고 예(禮)에 대한 가르침을 얻었다.
50세가넘어서 모친이 별세했는데, 추위와 더위에도 아랑곳없이 성묘를 거르지 않았으며,
백형(伯兄)을 섬기되 부모를 섬기듯 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이후로는 항상 상심하여 안유상(安有商), 이정호(李正浩)와 더불어 산 속에 들어가서 『춘추(春秋)』를 강론하였다.
안정현(安鼎鉉)
자 |
자옥(子玉) |
호 |
정와(靜窩) |
생졸년 |
1871 (고종 8) - 1928 |
시대 |
일제 강점기 |
본관 |
순흥(順興) |
활동분야 |
학자 > 유학자 |
1871년(고종 8)∼1928년. 일제 강점기 학자.
자는 자옥(子玉)이고, 호는 정와(靜窩)이다.
본관은 순흥(順興)이고, 거주지는 경상남도 함안(咸安)이다.
증조는 안민권(安敏權)이고, 조부는 안목(安沐)이다. 부친 안성주(安聖柱)의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안정재(安鼎宰)가 있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이형화(李馨和)의 딸 벽진이씨(碧珍李氏)이고,
둘째 부인은 조익규(趙益奎)의 딸 함안조씨(咸安趙氏)이다.
어려서는 서천(西川) 조정규(趙貞奎)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자신을 위한 마음 수양의 요지를 배웠으며,
자라서는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경서(經書)와 예(禮)에 대한 학문을 익혔다.
50세가 넘어서 모친상을 당했는데, 눈·비를 무릅쓰고 하루도 빠짐없이 성묘를 하였으며,
부모님 대신 형을 부모처럼 섬겼다.
1910년(융희 4) 경술국치를 당한 후에는 동우(東愚) 이정호(李正浩)와 도천(陶川) 안유상(安有商)과 함께
산 속에서 《춘추(春秋)》를 강학하며, 나라 잃은 슬픔을 달래었다.
평생토록 품행이 바르고 마음가짐이 독실하여 사람들로부터 진정한 유자(儒者)로 일컬어졌다.
유고로 1935년에 간행된 4권 1책의 시문집 《정와유고(靜窩遺稿)》가 전한다.

영남문집
정와유고(靜窩遺稿)
자(字) 자옥(子옥), 호(號) 정와(靜窩), 본(本) 순흥(順興), 부(父) 성주(聖柱), 거(居) 함안(咸安)
4권1책
묘갈명(墓碣銘); 이의국(李義國) 찬(撰). 공(公)은 서천(西川) 조정규(趙貞奎)에게서 7-8년 동안 배워
위기학(爲己學)의 지결(旨訣)을 알았고 후(後)에 곽면우(郭면宇) 종석(鍾錫)에게 가서 경서(經書)를 논변(論辨)하고
예(禮)의 통변등절(通變等節)을 배웠다.
50세가 넘어서 모친(母親)이 별세(別世)했으되 한서(寒暑)를 불구(不拘)하고 성묘(省墓)를 폐(廢)하지 않았으며,
백형(伯兄)을 섬김도 부모(父母)섬기듯 하였다.
1910년 국치이후(國恥以後)로는 항시(恒時) 상심(傷心)하여 도천(陶川) 안유상(安有商),
동우(東愚)이정호(李正浩)와 더불어 만하(晩霞)산중(山中)에 들어가서 춘추(春秋)를 강(講)하였다.
안정현(安鼎鉉)
본(本) 순흥(順興) 자(字) 자옥(子玉) 호(號) 정와(靜窩)
면우선생문집(俛宇先生文集) 현풍(玄風) 곽종석(郭鍾錫)의 문집(文集)
卷之 84. 書 ; 答尹禹明(昌洙), 答安國重(鼎呂)別紙(2), 答安國重(2), 與許致可(正魯), 答許致可(2), 答河道若(啓洛)(2),
答丁仲昭(奎翊)(6), 答韓鼎呂(禹鉉), 答李氣浩(養根), 答琴德一(守烈), 與琴德一, 答崔孔善(孝根)別紙, 答鄭國卿(鎭韶),
答安子玉(安鼎鉉), 答文誠信(址洙)(2), 與文誠信, 答郭士震(元根)(2), 答郭子從(大根)(6), 答李景章(章奎), 答河廣叔(寓)別紙(2).
又及門生安鼎鉉字子玉順興人居仝郡道項
儒藪吾南夕氣凉群英聚首哭摧樑德可經邦終老蓽文能範俗但留箱至性已推萊彩舞餘休不絶謝芝香坐
在薪憂辜負了麗堂無復曝秋陽
勿川先生文集附錄卷之五 [誄辭]
표제/책임표시사항 |
靜窩遺稿. 卷1-4 / 安鼎鉉 著 |
 |
판사항 |
石版本 |
 |
발행사항 |
威安 : 聚友亭, 1935 |
 |
형태사항 |
4卷1冊 ; 30.3 x 20.4 cm |
 |
주기사항 |
|
跋: 乙亥(1935)...李秉株. 商橫敦장(1930)...金榥, 趙學來, 安鼎冕 序: 甲戌(1934)...河謙鎭 引: 安鼎呂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