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idaero47/223765745631
한글로 선교하고 한글과 함께 빛난 기독교
불교와 유교도 기독교가 한글 쓴 것을 본받자
지난 2월 13일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한글학회 강당에서 칼 귀츨라프가 1832년에 최초로 성경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하고 한글이 우수한 글자임을 알리는 논문을 영문으로 쓴 칼 귀츨라프 업적을 되새기고 기독교가 한글로 성경을 만들어 선교해서 한글과 함께 빛난 것을 되새기는 이야기 마당이 열렸다. 기독교인들은 1832년 칼 귀츨라프가 이 땅을 밟은 최초 선교사인 것은 알고 있었고 그 업적을 기리는 행사는 했지만 그가 한글을 세계에 알리고 빛나는 일을 한 사람임을 모르는 국민이 많았다. 그래서 기독교가 한국 땅에서 100년 만에 수천 년 된 불교와 유교에 맞먹는 종교가 되는 데 칼 귀츨라프 선교사가 있었다는 것을 알리자는 뜻이었고 우리 국민과 불교와 유교도 한글을 쓰는 것이 좋다는 것을 깨닫게 하자는 자리였다.
그래서 이번에 한글을 지키고 살린 한글학회에서 처음으로 그 사실을 알리고 공적을 알아주자는 발표를 한 것은 매우 의미가 큰일이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한글학회 김주원 회장은 인사말에서 “기독교가 조선시대 성경을 한글로 만들어 선교해 한글을 널리 쓰이게 한 공적도 있는데 요즘 기독교에서 새로 만든 ‘2024년 새한글성경’을 보면 어려운 한자말인 ‘무교병’을 ‘누룩 없는 빵’, ‘번제’를 ‘다 태우는 제사’처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서 썼다. 이 일 또한 우리 말글을 살리자는 시대흐름을 이끄는 일로서 아주 잘한 일이다.”라고 기독교 업적을 칭찬했으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최홍식 회장도 이번에 한글학회가 주최한 토론회는 한글이 널리 쓰이는데 기독교가 공적이 있다는 것을 알아주는 행사라는 데 의미가 크고 깊다고 말했다.
이날 “독일 선교사 칼 귀츨라츠와 한글 세계화”란 제목으로 첫 번째 주제 발표를 한 신호철 귀츨라프연구소장은 “1832년 귀츨라프가 황해도 해안에서부터 한국어 낱말들을 채록해 로마자로 기록하며 훈민정음을 익혀서 충청도 원산도에 머무는 동안 관리와 주민을 만나 한글을 배워서 처음으로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하고, 중국으로 가서 한글이 15개의 자음과 11개의 모음으로 구성돼 있으며, 168개의 음절을 조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과학 문자라고 평가한 영어로 쓴 ‘Remarks on the Corean Language, The Chinese Repository, Vol. 1, No. 7, November 1832’ 논문은 로스 목사가 1882년에 한글로 성경을 번역한 것보다 50년 앞선 일이고, 호머 헐버트가 1892년 미국에 영문으로 한글을 알린 것보다 70년 앞선 영어 논문으로서 한글 세계화 초석이라고 발표했다.
”한글로 성경을 만들어 한글과 함께 빛난 기독교“라는 제목으로 두 번째 주제 발표를 한 한말글문화협회 리대로 대표는 ”조선은 자주글자인 한글이 태어나고 성종 때까지 50여 년 동안은 한글을 살리려고 애썼으나 연산군 때부터 한글을 천대하고 한문과 중국 성리학만 섬기다가 나라가 기울어 임진왜란을 겪었다. 그래도 한자나 외국어를 배우는 보조수단으로 쓰고, 아녀자들이 편지를 쓰고 홍길동전, 사미인곡, 구운몽 같은 소설을 쓰면서 목숨을 이어왔다. 그러나 정부는 공문서도 한자로 쓰고 불교, 유교는 경전을 한문으로 썼다. 그러던 19세기에 들어온 기독교는 성경을 한글로 번역해 선교함으로써 기독교는 100년 만에 수천 년 된 불교와 유교와 맞먹는 종교가 되었다. 이것은 우리말을 한글로 적는 것이 얼마나 좋은 것이며, 한글이 얼마나 좋은 글자인지를 증명한 것이다. “ 라고 밝혔다.
더욱이 ”한글을 만든 세종과 세조도 불교를 믿고 한글로 석가모니 일생을 쓴 석보상절과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을 쓴 것처럼 한글 탄생과 인연이 깊은데도 쓰지 않았고, 정조는 사대모화사상에 빠져서 중국어를 공용어로 하자는 박제가, 중국을 닮는 것이 선진화라는 박지원, 한문으로만 글을 쓴 정약용 들을 총애하고 한글을 살리지 않아 줏대 없는 얼빠진 나라를 만들어 그 100년 뒤 일본 식민지로 가는 원인 제공을 했다. 조선시대 가운데 임진왜란 같은 외침이 없었던 영조, 정조 시대라도 한글과 세종정신을 살려서 자주국을 이루었다면 세계 문화강국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정조가 개혁군주라며 박지원, 정약용 들 실학파들을 우리러보는 것을 잘못되었다.“라고 주장했다
정조가 중국을 닮는 것이 개혁이라는 사대모화사상에 빠진 성리학자요 실학파들을 총애하고 한글을 살리지 않아서 얼빠진 나라를 만들어 일제 식민지가 되는 원인을 만들었다고 발표하는 리대로 대표.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온 이 땅에 들어온 기독교는 한말글로 성경을 만들고 선교함으로써 100년 만에 수천 년 된 불교와 유교가 맞먹는 종교가 된 것은 기적과 같은 것인데 이는 한글 덕임을 강조하면서 불교와 유교 들 한국의 다른 종교도 기독교를 본받아 이제라도 한글을 사랑하고 쓰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지난날 선교사들이 한글로 성경을 써서 선교하고 1886년 고종 때 육영공원 교사로 온 기독교인 헐버트가 한글이 훌륭한 글자임을 알고 조선인들에게 한글을 쓰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려준 것은 대단한 기독교인들의 공로다. 이는 한글과 함께 기독교도 좋은 일이다. 이런 일 앞에 귀츨라프가 있었다는 것을 알아주자,”면서 불교와 유교는 이제라도 한글을 사랑하고 함께 한글을 더욱 빛내어 한글을 온 인류가 쓰는 글자로 키우자고 호소했다.
리대로 대표는 기독교는 한글로 성경을 만들어 선교함으로써 100년 만에 한자를 쓰는 불교와 유교와 맞먹는 종교로 성장한 것은 한국이 한글로 50년 만에 중진국이 된 것과 함께 한글이 우수한 글자임을 증명한 것이라며 기독교를 칭찬했다.
토론자인 김슬옹 세종국어문화원 원장도 천주교를 믿은 정약용의 형들은 한글로 글을 썼는데 정약용은 그렇지 않았다고 토론했고, 최용기 전 국립국어원 부장은 한 달도 안 되는 기간에 한글을 익혀서 영어로 한글을 알리는 논문을 썼으며 두 번째 논문 ‘The Corean Syllabary, The Chinese Repository, Vol. 2, December 1834’에서 귀츨라프가 한글의 음운 체계와 문법 특성을 깊게 분석하고 체로키 문자, 산스크리트어, 일본어 등과 비교하며 한글이 체계 있는 독창성을 가진 문자 구조를 가진 글자임을 밝힌 것은 놀라운 일이라며 귀츨라프가 이렇게 영어와 독일어로 발표한 ‘한글에 대한 소견’이라는 논문은 오늘날 한글이 세계에 널리 퍼지게 한 밑바탕이었다고 소개했다.
이번 한말글사랑 이야기마당은 17세기 하멜이 제주도에 표류했을 때에 조선에 언문이라는 제 글자를 쓰고 있다는 것을 서양에 알린 일이 있고 그 뒤에도 여러 서양인들이 조선 글자를 언급하고 1920년에 레뮈자가 유럽에 한글을 소개했다는 문헌이 있다. 그러나 1832년 칼 귀츨라프 선교사가 조선에 짧은 시간 동안 머물면서 한글을 배워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하고 영문으로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함을 알리는 논문을 쓴 것이 19세기 기독교가 한글과 함께 빨리 번성하고 빛날 수 있는 초석이 되었다. 그래서 한글단체는 이번에 불교와 유교에 견주어 볼 때 기독교가 한글을 잘 이용한 기독교가 한글을 빛내는 공적이 있다는 것을 알아주자는 자리를 마련했고 진짜 개혁군주는 한자시대에 한글을 만든 세종이 개혁준주요 조선 말기 한글을 살려서 쓴 기독교가 실학 실천인데 중국화와 성리학에 빠진 실학자들을 총애한 정조가 개혁군주라며 한글이 태어난 경복궁에 걸린 한글현판을 뗀 오늘날 세태를 꾸짖는 뜻깊은 자리였다.
처음으로 주기도문을 국역하고 성경을 한글로 만들어 한글을 빛낸 기독교를 알아주고 한글을 더욱 빛내기 위해 글이 태어난 곳인 경복궁 정문에 한글현판을 달고 한글을 만든 세종대왕이 태어난 곳을 찾아 한글자주문화 성지로 꾸미자고 주장하는 리대로 대표.
아래에 이번 한말글사랑이야기마당 움직그림을 소개한다
.
https://youtu.be/21ZKSnZmE-Y?si=scUAmGxUhxp18C8Y
김주원 한글학회 회장 인사말 움직그림(동영상).
https://youtu.be/zTBNWOEwH34?si=p-_GpqrrFkAIfjRv
리대로 한말글문화협회 대표 주제 발표 움직그림
https://youtu.be/l4C7WsKHsU4?si=0OE2qjru-0jcffJK
신호철 귀츨라프연구소 소장 주제 발표 움직그림.
https://youtu.be/vQ097SNXc1E?si=xrncpZQkwhO6tLi7
한말글사랑 이야기 마당 전체 움직그림(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