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심각해지는 플라스틱 폐기문제…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기술 협조'로 타개 모색 / 9/14(토) / KOREA WAVE
【09월 14일 KOREA WAVE】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플라스틱'의 수요 및 폐기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1인당 연간 132.7kg의 플라스틱을 소비하고 있어 세계적으로도 플라스틱을 많이 소비하는 나라 중 하나다.
낮은 재활용률이 문제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 환경성 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생활폐플라스틱 재활용률은 약 57%로 전체 재활용률(73%)보다도 낮다. 생활폐플라스틱은 여러 소재가 혼재돼 있어 수작업 선별이 필요한 등 재활용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이런 폐플라스틱으로 인한 기후위기를 해결하고 순환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지난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손을 잡았다.
◇ 대기업 연구와 중소기업 기술 융합
한국플라스틱산업협동조합은 협력기업과 함께 2023년 동반성장위원회의 업종별 경쟁력 강화 사업에 참여했다.
생활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려면 상용화제를 첨가해 플라스틱의 가공 용이성과 균일한 물성을 가진 재생원료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 폐기물 재활용업체 6000여 개 중 80%가량은 종업원 20명 미만으로 자체 재활용 기술을 개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협력사 SK지오센트릭은 고품질 재생원료 개발을 위한 상용화제의 최적 배합 조건을 제시하고 재생원료의 랩 스케일 분석을 지원했다.
대기업이 제안한 상용화제 조건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만택과 케일리사이클링 등은 생활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품질 재생원료를 개발·제품화했다. 이 고품질 재생원료는 기존 것보다 인장강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고품질 재생 원료를 바탕으로 다른 중소기업들은 생활에 쓰이는 플라스틱 재활용 제품을 개발했다. 삼동산업은 농업용 멀칭 필름을 제조했다. 필름의 30%가 폐플라스틱으로 구성돼 있다.
동성이 개발한 의류용 재활용 포장재는 생활폐플라스틱 50%와 상용화제, 새로운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으로 구성됐으며 플라스틱협동조합은 앞으로 GS리테일과 이마트 등 민간 대형 유통기업에 납품한다.
◇ 공공용 재활용 쓰레기 봉투
특히 중소기업인 인텍과 동성이 개발한 공공용 쓰레기봉투 재활용품 수거 순환형 봉투는 지자체 시범 배포 품목으로 선정됐다.
선정된 제품은 재활용품 수거용 및 일반 쓰레기용 봉투로 생활폐플라스틱 10여톤과 상용화제를 혼합해 개발됐다. 소재의 30%는 폐플라스틱이다.
플라스틱협동조합은 서울시 및 광주시와 자원순환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12월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쓰레기봉투를 100ℓ 기준 37만5000장 공급했다. 재활용된 폐플라스틱과 신소재 원료는 약 44t 사용됐다.
서울시에는 25만 9000장의 자원순환용 쓰레기봉투가 한강공원 11곳(여의도, 잠실 등)과 시 직영 공원 24곳(남산, 서울숲 등)에 시범 배포됐다. 광주시에는 11만 6000장이 공급됐다.
플라스틱협동조합은 공공용 재활용 봉투를 통해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에 기여해 지난 6월 서울특별시 환경상 자원순환 분야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 대립부터 공존까지…진행 중인 파트너십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은 지난해 11월 완료됐다. 하지만 업계에 따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해 만들어내는 순환형 경제 사이클은 현재도 이어지고 있다.
SK지오센트릭 관계자는 "폐플라스틱의 수집이나 분쇄, 절단은 중소기업의 도움이 필요하며 대기업은 수집부터 중간 단계, 최종 유통까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상생협약 이후 대기업이 할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물리적 재활용이 잘돼야 후속 대기업의 화학적 재활용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심각한 갈등을 일으켰던 분야 중 하나였다.
플라스틱 선별업과 원료재생업은 중소기업이 40년 이상 영위해 온 전형적인 노동집약형 산업이었지만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인수해 시장에 진입하면서 갈등이 빚어졌다.
동반성장위원회는 플라스틱 재활용업 중소기업 적합업종 신청을 받았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역할을 분담해 적합업종 권고가 아닌 상생협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최종 조율됐다. 그 결과 지난해 11월 중소기업은 물리적 재활용 시장, 대기업은 화학적 재활용 시장에 전념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