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과 설날은 우리 고유문화의 전통을 지키고 이어가는 날입니다.
그래서 우리 고유 의상인 한복을 입고
부모님도 찾아 뵙는다면 한결 뜻깊은 명절이 될 수 있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차례를 지내는 의례복이 한복인 만큼
명절 하루만이라도 한복으로 올바르게 입으셨으면 하는 마음에
몇자 적어 봅니다.
남자 한복 입는 순서
1. 속옷을 정갈하게 입는다.
2. 바지를 입는데, 앞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 둘레를 조절 한다.
3. 저고리를 동정이 잘 맞게 입는다.
4. 양말을 신고 대님을 맨다.
5. 조끼를 입는다.
6. 마고자를 입는다.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게 한다.
7. 마지막으로 두루마기를 입는다.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어야 한다)
* 옷 고름 매기
1.고름은 반듯하게 펴서 양손으로 잡은 후 긴 고름은 아래로 짧은 고름은 위로 가도록 `×형`으로 잡는다.
2.위의 짧은 고름을 안쪽으로 집어넣어 잡아 뺀다.
3.위의 짧은 고름을 돌려 감는다.
4.돌려감은 짧은 고름사이로 긴 고름을 넣어 고를 만든다.
5.팽팽하게 잡아당겨 고가 매듭의 1.5배 정도 되게 만들어 준다. 고름매무새를 잘 정리한 다음 끝자락 두고름을 가지런히 밑으로 늘어뜨리며고름은 맸을 때 길이는 무릎 바로 밑까지 내려오도록 한다.
* 대님 매는 순서
1.매듭은 발목 안쪽 복사뼈에 바지의 사폭 시접선이 닿게 한다.
2.발목을 감싸듯 바짓부리를 돌려서 바깥쪽 복사뼈에 접은 선이 닿도록 한다.
3.대님을 대고 두 번 돌려서 안쪽 복사뼈에서 한 번 묶는다.
4.매듭을 리본 모양으로 묶되 발목 안쪽에 오도록 한다.
5.매듭 모양이 매끈하도록 다듬고 바지 모양도 매만져 준다.
* 저고리 고름 매는 법
① 오른쪽 고름을 왼손으로 잡고, 왼쪽 고름을 오른손으로 잡는다.
② 왼손으로 잡고 있는 고름으로 묶는다.
③ 아래있는 고름으로 고를 만들고 위에 있는 고름으로 고를 감싸 면서 묶어준다.
④ 고름을 잡아당기면서 적당한 크기의 고를 만든다.
⑤ 고름 매무새를 잘 정리한 다음 끝자락 두고름을 가지런히 밑으로 늘어뜨린다.
여자 한복입는 방법
1. 긴 속바지와 속치마를 입는다.
2. 속치마를 입는다.
3. 수눅을 맞추어 버선을 신는다.
( 버선 가운데 수눅이 마주 보도록 신어야한다)
4. 치마를 입고 앞에서 묶는다.
(치마는 겉자락을 왼손으로 붙들 수 있도록 입는다.)
5. 속저고리를 입는다.
6. 저고리를 입고 고름을 맨 다음 진동선을 정리해 준다.
(고름 매는 순서는 위 남자 고름 매는 법 과 같은 순서 임)
* 한복에 목걸이는 하지 않는것이 필수.
첫댓글 향기성님,























...
머, 아무따나 대충 주섬 주섬 입고 나가면 되는게 아닌가 부다 ?
그럼요 같은 값이면 다홍 치마라고 하지 않던가요. 잘 챙겨서 입고 나가세요. 향기님은 어른 같으시죠?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_()()()_
향기님! 향기로운 글 올려 주셨군요. 정통 한복 입는 순서를 잘 정리해 주셨네요.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