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구여병(守口如甁) >
나이 지긋한 분들은 대개 어릴 적부터 '말이 씨가 된다' 는 어른들의 말씀을 들어가며 자랐을 겁니다.
학창 시절에 '수구여병(守口如甁)' 이라는 한자성어(漢字成語)를 배우면서 선생님의 '말조심' 훈화를 들은 바가 있어, 나름 입조심을 하느라고 하지만 제대로 지키며 살아가는지 의문스럽습니다.
마침 소설가 '이관순' 의 '말' 에 관한 글이 눈에 들어 그 요점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복(福)이 되는 말,
독(毒)이 되는 말'
등산 모임이 있는 어느 날에 한 친구가 나오지 못했습니다.
손자를 돌봐줘야 한답니다.
그 사정을 모를리 없지만 유독 한 친구가 버럭 소리를 내지릅니다.
'그 친구 왜 그렇게 살아?
그러니 허구한 날 쥐여서 살지~'
그러자 다른 친구가
'자넨 손자가 지방에 살고 있지? 옆에 있어봐 똑 같아져'
손자 양육이 논쟁으로 번집니다.
'난 처음부터 선언했어, 내가 애를 봐주면 성(姓)을 갈겠다고.'
'키 작은 남자와는 절대 결혼하지 않는다' 던 처녀,
'난 죽어도 요양원에는 안 간다' 고 하던 선배,
'딱 100살만 살 거야' 라고 호언한 학교 동기생 등~
그런데 어쩌나, 다들 하나같이 헛 맹세가 되고 말았으니.
여자는 키 작은 남자와 천생연분을 맺고,
선배는 치매가 들어 일찌감치 요양원으로 향했지요.
100세 장수를 장담할 만큼 건강하던 친구는 아홉수에 걸려 심장마비로 69살을 넘기지 못하고 비교적 일찍 세상을 떠났고요.
나이 들면 갖춰야 할 우선적 덕목이 '절제' 일 것입니다.
'절제' 란 삶의 과정에서 여러 의미로 쓰이는 말이지만, 여기서는 '조심' 하라는 뜻이지요.
무엇보다 '말조심' 을 하라는 것입니다.
말이나 소리를 듣는 귀는 둘인데 비해,
말을 하는 입은 하나뿐인 것도 같은 이유랍니다.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수없이 내뱉는 말 중에는 사람을 살리는 말도 있지만 죽이는 말도 적지 않습니다.
같은 말인데도 누구는 복(福)이 되는 말을 하고, 누구는 독(毒)이 되는 말을 항부로 합니다.
황창연 신부가 말하는 말의 세 부류도 같습니다.
'말씨' '말씀' '말투' 가 그것이죠.
'씨를 뿌리는 사람(말씨)' 과,
'기분 좋게 전하는 사람(말씀)',
'말을 던지는 사람(말투)' 이 있는 것처럼
말에도 등급이 있습니다.
'말씀' 은 '말' 과는 많이 다릅니다.
어떤 분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도 저렇게 살아야 하겠다고 다짐하는 경우에,
이같이 감동을 전하는 사람의 말을 '말씀' 이라고 하지요.
말로 좋은 씨를 뿌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초등학생 어린이에게 '참 똑똑하고 용감해 보이구나. 넌 장군감이야.'
'넌 말을 잘하니 변호사가 되겠구나.'
이렇듯 말에 축복(祝福)의 뜻을 담아서 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좋은 말습관은 '말씨' 를 잘 뿌리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전철 안에서 어느 중년 여인이 경로석에 앉은 할머니에게 말을 건넵니다.
'어쩜 이렇게 곱게 늙으셨어요?' 그런데 그 할머니는 시큰둥한 표정입니다,
다음 역에서 그 아주머니가 내리자마자
"그냥 '참 고우시네요' 하면 좋잖아. 늙은 거 누가 모르나?"
듣고 보니 그렇기도 하네요.
프랑스의 유명 작가 장자크 상페는 자신이 쓴 "뉴욕 스케치" 란 책에서 '뉴요커(뉴욕시민)' 들의 긍정적인 말습관을 관찰한 광경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뻔한 얘기인데도 버릇처럼 상대의 말꼬리에
'감탄사(!)' 를 붙이고,
'물음표(?)' 를 달아줍니다.
이는 '내 말에 관심을 갖는다' 는 표시로 받아들여져, 서로에게 호의를 갖게 하고 격려도 해주는 상승 효과(相昇 效果 : 시너지 효과)를 냅니다.
이를테면,
누가 '저는 이번에 터키로 여행을 다녀왔어요. 너무 좋았어요.' 라고 말합니다.
그러자 옆에서
'멋진 곳이죠.
나는 두 번 가봤어요.'
이렇게 말을 받으면 일순 침묵이 흐르고 어색한 분위기가 될 것입니다.
이럴 경우에
'뉴요커' 들은 자기의 경험을 내세우기 보다는
'정말요? 어머, 너무좋았겠다!'
'주로 어디 어디에 가셨나요?' 라든지
'여행에 며칠이나 걸렸지요?' 라는 식으로 말머리를 계속 상대에게 돌려줍니다.
'얼쑤(얼씨구)와 같은 추임새(흥을 돋구는 소리)' 로 상대를 신나게 기분을 북돋아 주는, '뉴요커' 들의 말습관이 돋보이는 대목입니다.
우리는 말을 할 때에 '느낌표(!)' 와 '물음표(?)' 를 얼마나 사용하는가요?
자기를 앞세운 대화에 치중하게 되면 상대방의 말에 이러한 부호를 찍어 주기가 어려워집니다.
오늘도 내가 한 말을 돌이켜 보면서 '느낌표' 와 '물음표' 가 인색하지 않았나 하고 느끼게 됩니다.
내 말을 그냥 건성으로 들어 넘기지 않고 관심있게 귀담아 들어주는 사람에겐, 나도 그처럼 또는 그 이상의 호감을 가지게 됨은 인지상정(人之常情)일 테지요.
말을 나눌 때에는 늘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해서 하라고 합니다. 곧 역지사지(易地思之 : 상대방의 처지를 나와 바꾸어서 생각해 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어쩌면 말을 그리 이쁘게 하세요?'
'참 복(福) 들어올 말만 하시네요.'
정겨운 말, 이쁘고 상냥한 말, 상대를 칭찬해주는 말은 듣는 이들과 말하는 이 모두를 기분 좋게 합니다.
말이란 닦을수록 이렇게 빛이 나고 향기가 풍기는 것이지요.
여담 하나를 소개합니다.
늘 함께 운동하는 사람들끼리 시합을 한다고 봅시다.
어느 한 쪽이 멋진 공격으로 득점했을 때에 득점자가 떠들썩하게 쾌재를 부르거나 환호를 하면 상대의 기분은 어떨까요?
자기보다 하수인 상대편이 묘기를 보일 때 '오랜만에 한 건했다' 라거나 '한 번씩 저런 (좋은) 플레이가 나온다' 는 식으로 말한다면 그게 과연 칭찬의 뜻일까요?
자기의 묘기에 도취되기 보다는 상대의 파인플레이에 진정을 담아 칭찬하고 추켜주는 것이, 칭찬받는 쪽의 기분을 북돋아줌은 물론 칭찬하는 쪽도 돋보이게 하여 전체적인 경기 분위기가 한층 더 밝게 됨은 자명한 일입니다.
또한 상대의 약점이나 부족한 부분을 드러내려 하기보다, 좋은 면을 칭찬하는 편이 서로의 유대관계나 분위기 개선을 위해 훨씬 유익하고 바람직할 것입니다.
특히 서로가 친한 사이일수록 상대의 부족한 점을 꼬집어내어 그 자존심을 구기게 하는 언행은 절대로 금해야 하거니와, 만일 그렇지 않은 사이라면 결코 참다운 친구관계라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결국 서로의 약점이나 허물은 가급적 덮어주고, 좋은 점은 드러내어 칭찬하고 격려해주는 것이 진정한 친구 간의 도리라고 하겠습니다.
상대에 대한 칭찬이 얼핏보면 자신을 낮춰보이게 할까 우려스러울지도 모르나 이는 필시 짧은 소견일뿐 오히려 자기의 인격을 드높이는 결과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도취나 상대의 허물잡기보다는 한푼 돈도 들지 않는 칭찬에 인색하지 않는 것이 인간관계 증진을 위해 보다 현명한 방법이 되겠지요.
'수구여병(守口如甁),
방의여성(防意如城)'
즉 '입을 지키기를 병 마개 막듯이 하고,
뜻을 지키기를 성(城) 지키듯이 하라'
성리학(性理學, 또는 朱子學)을 창시하고 집대성한 중국 송(宋)나라의 대학자 "주자(朱子 : 朱文公으로도 불리우며 본명은 '주희;朱熹')" 의 말씀으로 마무리합니다.
우리 모두가 늘 좋은 말씨를 사용하여 보다 명랑한 사회를 만들어가기 바랍니다.
- 따온 글에 가필 보완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