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가톨릭교회 최고령 주교인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왼쪽)가 지난 7일 광주 동구 라마다플라자충장호텔에서 열린 백수연에서 노래를 열창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18 민주화 운동의 산 증인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의 100세를 축하하는 행사가 열렸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광주전남김대중재단은 지난 7일 광주 동구 라마다 프라자 충장호텔 대연회장에서 이 땅의 민주주의와 자유, 인권에 헌신한 윤 대주교의 탄생 100주년을 축하하는 백수연을 개최했다.
이날 백수연에는 윤 대주교를 비롯해 천주교 광주대교구장인 옥현진 대주교와 전임 교구장 김희중 대주교, 권노갑 김대중재단 이사장,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부겸 전 국무총리, 임채정 전 국회의장 등이 참석했다.
윤 대주교는 "제가 한국의 민주화와 정의 구현을 위해 역할을 한 것처럼 말씀하시는데 옥고를 치른 분들이 이 자리에 계신다"며 "칭찬 받을 사람이 아닌데 영광스러운 자리를 마련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윤 대주교는 한국 천주교 생존 주교 가운데 최고령이다. 그는 1924년 11월 평안남도 진남포에서 태어나, 출생 하루 만에 유아세례를 받고, 빅토리노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함경남도 원산의 덕원신학교를 마친 뒤 50년 월남한 윤 대주교는 이탈리아 로마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63년 로마 바티칸에서 주교 서품을 받았다. 초대 수원교구장을 맡아 10년간 봉직한 후 1973년 광주대교구장으로 부임했다. 그는 1980년 5.18 광주민주화 운동을 목격한 뒤 김수환 추기경 등 유력 지도자들과 국내외 언론에 광주의 실상을 알렸다.
광주민주운동 이후에는 당시 서울수도경비사령부에 있던 군종신부의 주선으로 1980년 7월 하순 전두환 국보위 위원장을 만나 당시 구속됐던 사람들을 모두 사면해 줄 것을 요구했다. 1981년 4월 1일에는 전두환 대통령을 만나 사형수에 대한 사면을 촉구했다. 윤 대주교는 계엄군이 시민들을 학살했던 장면이 담긴 사진첩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발행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등 5·18 진상규명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2세 한국 방문을 이끌었으며 2000년 광주대교구에서 정년을 맞아 은퇴했다. 올해 10월20일 광주대교구청 성당에서는 '윤공희 대주교 주교성성 60주년 축하 미사'를 봉헌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