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 ||||||||||||||||||||||||||||||||||||||||||||||||||||||||||||||||||||||||||||||||||||||||||||||||||||||||||||||||||||||||||||||||||||||||||||||||||||||||||||||||||||||||||||||||||||||||||||||||||||
---|---|---|---|---|---|---|---|---|---|---|---|---|---|---|---|---|---|---|---|---|---|---|---|---|---|---|---|---|---|---|---|---|---|---|---|---|---|---|---|---|---|---|---|---|---|---|---|---|---|---|---|---|---|---|---|---|---|---|---|---|---|---|---|---|---|---|---|---|---|---|---|---|---|---|---|---|---|---|---|---|---|---|---|---|---|---|---|---|---|---|---|---|---|---|---|---|---|---|---|---|---|---|---|---|---|---|---|---|---|---|---|---|---|---|---|---|---|---|---|---|---|---|---|---|---|---|---|---|---|---|---|---|---|---|---|---|---|---|---|---|---|---|---|---|---|---|---|---|---|---|---|---|---|---|---|---|---|---|---|---|---|---|---|---|---|---|---|---|---|---|---|---|---|---|---|---|---|---|---|---|---|---|---|---|---|---|---|---|---|---|---|---|---|---|---|---|---|
작성일 | 2014-11-07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권보미(창사무역관) | ||||||||||||||||||||||||||||||||||||||||||||||||||||||||||||||||||||||||||||||||||||||||||||||||||||||||||||||||||||||||||||||||||||||||||||||||||||||||||||||||||||||||||||||||||||||||||||||||
품목 | 기타 | ||||||||||||||||||||||||||||||||||||||||||||||||||||||||||||||||||||||||||||||||||||||||||||||||||||||||||||||||||||||||||||||||||||||||||||||||||||||||||||||||||||||||||||||||||||||||||||||||||||
품목코드 | 842139 |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2011년 중국 내 공기청정기 판매량은 약 112만 대이며, 이는 동기대비 10.9% 증가한 수치 - 2012년도 중국 내 공기청정기 판매량은 약 126만 대로, 동기대비 12.5% 증가함. 2013년에는 판매량이 급증해 약 240만 대에 달했으며 동기대비 최고 증가율인 90.5%를 달성함. - 공기청정기시장의 판매 총액을 보면 공기청정기시장 총판매액은 2011년 22억 위안에서 2013년 약 56억 위안에 달했으며 동기대비 105.9% 증가함.
중국 공기청정기시장 규모 및 성장률 (단위: 만 대, %)
자료원: 중국 해관(中國海關)
□ 시장전망
○ 수요증대 예상요인
1) 국민 경제의 안정 및 성장에 따른 삶의 질 추구 - 중국의 국민 경제는 안정돼 있으며 비교적 빠른 성장을 유지하고 있음. - 2013년 국민총생산(GDP)은 2012년도에 비해 7.7% 성장한 56조8845억 위안에 이르렀고 소비 총판매액은 전년대비 13.1% 성장한 수치인 23조7810억 위안에 이름. - 중국 국민의 생활수준 및 GDP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 및 생활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2) 중국 내 빠른 산업화로 인한 대기 오염 - 중국 내의 빠른 산업화의 물결로 공기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됨. - 2012년도부터 초미세먼지(PM2.5)라는 단어가 전파됨에 따라 공기오염 문제가 화두돼 공기청정기가 조금씩 중국시장에 들어오기 시작함. - 대기오염의 악화로 중국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 이러한 중국의 상황은 공기청정기라는 신흥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임.
○ 수요감소 예상요인
1) 중국 정부의 대기 오염에 대한 규제 강화로 대기 질 개선 - 나날이 위급해지는 중국의 대기오염 문제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이 매우 중요하게 받아들이고 있어 석탄의 사용량을 줄이고 자동차 매연에 대한 엄격한 규제, 산업군 조정, 관리 강화, 법 규제 등 다양한 방면에서 중대한 조치를 취함. - 이와 같은 중국 정부의 환경정책 및 공기오염에 대한 통제 증가로 현지의 대기 환경이 점차 좋아지고 있음. 이는 공기청정에 대한 필요성을 낮추므로 공기청정기에 대한 수요가 감소될 수 있는 요인임.
2) 경쟁업체의 등장 - 중국 내 공기청정기 생산업자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 제품 수입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
○ 무역관 전망 - 국가표준위원회에서는 공기청정기 국가표준 GB/T 18801-2008 개정작업을 시작함. - 부동한 오염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상품의 기술수치, 세분화한 실험방식, 사용에 적합한 면적과 공기 정화양의 계산 방법에 대한 부분을 개선하는 동시에 소비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품 표시에 대한 요구 또한 개선해 나가는 계획안임. - 이러한 정책의 추진 하에 중국 공기청정기산업은 나날이 상승할 것으로 보임.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환경오염 및 대기오염에 민감한 집단
○ 소비자 구매 동기: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하게 된 주된 구매요인은 공기오염방지임. 소비자의 구매동기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공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대답한 조사자가 82.6%로 공기청정기를 구매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 이 밖에 61.4%는 어린아이의 건강을 위해서, 44.5%는 집안 내부오염을 정화시키기 위해서 구매한다고 했으며, 주변사람의 추천에 의해 구매하는 경우는 4%임.
공기청정기 소비자 구매 동기 자료원: 인터넷 소비 연구 중심(ZDC)
□ 수입동향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US$, %)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단위: US$, %)
자료원: 중국 해관(中國海關)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규제 내용: 관세 규제
□ 관세율
○ 관세율 HS Code 8421991000 기준, 家用型過濾, 淨化裝置用零件의 관세 10%, 부가세 17% 적용
○ 통관 시 유의사항: 통관 시 중국 해관에 세관 신고, 제품 검사
□ 주요 유통채널
○ 전자제품 체인점
○ 대형 마트
○ 전문 판매점
○ 전자상거래(인터넷)
3. 경쟁동향
□ 경쟁제품(현지 업체 및 해외업체, 시장점유율 등)
○ 2013년, 중국의 공기청정기 시장에서 필립스(Philips, 飛利浦), 샤프(SHARP, 夏普), 파나소닉(Panasonic, 松下)이 선두로, 합작 브랜드가 선도적인 지위가 있음. - 이 3가지 대표 합작 브랜드는 각각 35.7%, 20.8%, 16.2%로 시장을 점유하고, 국내 브랜드 야두(YADU,亞都)와 위안다(遠大)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12.6%, 4.3%를 차지함.
2013년 중국 공기청정기 경쟁제품 시장점유율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매우 높음( ) 높음( ) 보통( ) 낮음(V) 매우 낮음( )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임. 하지만 중국에서는 주로 인지도가 있는 삼성과 같은 대기업의 상품을 신뢰할만 하다고 여기며 인지도가 없는 상품은 구매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임.
○ 선호 브랜드: LG 및 삼성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 구매 시 고려요소로는 정화기술이 우선 - 공기청정기 구매 시 소비자의 고려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 조사에 따르면, 84.9%는 '정화기술'을 우선순위로 뽑음. 그 다음으로 62%가 '구매 후 사용 원가에 대한 고려'를 선택했으며, 세 번째, 네 번째 순위는 '제품 가격'과 '브랜드 이미지'로 각각 56%와 54.7%를 차지함.
공기청정기 구매 시 우선 고려요소 자료원: 인터넷 소비 연구 중심(ZDC)
- 공기청정기의 희망가격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55.8%의 조사 참여자는 1000~3000위안 사이의 가격을 선택했으며 22.5%는 3000~5000위안, 18.4%는 1000위안 이하, 3.3%가 5000위안 이상을 선택했음.
2013년 중국 공기청정기 소비자 희망 가격 자료원: 인터넷 소비 연구 중심(ZDC)
□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 타깃 고객층은 고소득의 젊은 층이며 소득 수준과 소비 수준이 높은 사람 - 각 성마다의 마케팅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공기청정기시장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전문 매장을 갖추는 동시에 전자상거래시장을 함께 공략해야 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