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Setariaviridis |
계 | 식물 |
문 | 속씨식물 |
강 | 외떡잎식물 |
목 | 벼목 |
분포지역 | 전국 |
서식장소/자생지 | 길가, 들 |
개꼬리풀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구미초(狗尾草)라고 한다. 길가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20∼70cm로 뭉쳐나고 가지를 치며 털이 없고 마디가 다소 길다. 잎의 길이는 5∼20cm, 너비 5∼20mm로 밑부분은 잎집이 되며, 가장자리에 잎혀와 줄로 돋은 털이 있다.
꽃은 한여름에 피고 원주형의 꽃이삭은 길이 2∼5c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작은가지는 길이 6∼8mm로 퍼지고 가시 같다. 종자는 구황식물로 이용되었으며, 민간에서는 9월에 뿌리를 캐어 촌충구제용으로 쓰인다. 한방에서는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유사종으로 갯강아지풀(var.pachystachys)은 잔가지의 센털이 길고 밀생하여 잔이삭이 뚜렷하지 않으며 바닷가에서 자란다. 수강아지풀(var.gigantea)은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이다. 자주강아지풀(for.purpurascens)은 꽃이삭에 달린 털이 자줏빛이며 구별하지 않고 강아지풀로 취급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강아지풀 (두산백과)
밭과 들녘에 흔히 자라는 한해살이풀. 아래 부분에서 가지를 치며 누어서 자라다가 비스듬히 서서 높이 20~100 cm 정도로 자라 여름에 꽃핀다. 줄기에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잎은 피침형이다. 이삭은 통 모양이며 익을 때 고개를 숙인다. 강아지풀 씨앗을 식용하였다고 한다. 유사 식물로 금강아지풀이 있고 곡식으로 재배하는 조도 같은 속에 속한다.
[네이버 지식백과]강아지풀 [green foxtail] (식물학백과)
분포
들녘, 길가, 빈터 등의 양지바른 곳에 자란다. 북반구 온대지역에 분포한다.1)
쓰임새
예전에 흉년이 들면 강아지풀 씨앗을 다른 곡식과 섞어서 식용하였다고 한다.
이름
강아지풀의 본명은 ‘가라지’다. 훈몽자회(訓蒙字會)는 강아지풀을 ‘ᄀᆞ랏’으로 기재했다. ‘가라지’는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으로 알려진 자라지조(수강아지풀)의 ‘가라지’이다.1)
생김새
줄기는 아래 부분에서 약간 적색을 띈다. 잎의 길이 5~20 cm, 폭 5~20 cm 정도이며 밑 부분이 살짝 비틀린다. 잎집은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에 줄로 돋은 털이 있다. 잎혀의 길이는 1~2 mm 정도 이며 긴 털처럼 갈라진다. 이삭은 원추꽃차례로 길이는 2~5 cm 정도로서 연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길이 6~8 mm 정도의 잔가지에 2~6개의 작은이삭(소수)이 촘촘히 달린다. 작은이삭은 한쪽이 납작하며 달걀 모양으로 길이 약 1.5~2.5 mm이다. 작은이삭은 2개의 꽃이 들어있는데 이 중 위쪽의 것만 열매를 맺고 아래 꽃은 불임이다. 작은이삭 밑 부분에는 1~3개의 억센 털이 있다. 이 털은 녹색이거나 자주색이며 길이는 4~12 mm 정도이다. 제1포영은 반달 모양으로 작은이삭의 1/4~1/3 정도이며, 제2포영은 타원형으로 작은이삭과 길이가 같다. 꽃밥은 흙갈색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3 mm 내외이며 검은 종자가 하나씩 들어 있다.2)1)3)
이삭은 원추형꽃차례로 줄기 끝에 달린다. 이삭 줄기에 달린 긴 털이 녹색이거나 자주색이다.
[네이버 지식백과]강아지풀 [green foxtail] (식물학백과)
종류
벼과에 속하며 학명은 Setaria viridis P.Beauv.
금강아지풀, 조 등이 같은 Setaria 속에 속한다. 강아지풀은 키가 큰 편이어서 쑥, 명아주, 개망초 등과 같이 묵정밭에서 살 수 있지만 금강아지풀은 이보다 작아서 그 밖으로 쫓겨나 산다.1)
강아지풀과 금강아지풀이 섞여있는 군락. 금강아지풀의 이삭은 금색이다. (출처:안진흥)
금강아지풀
이삭의 털이 금색이다. 강아지풀보다 약간 늦게 핀다.
[네이버 지식백과]강아지풀 [green foxtail] (식물학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