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부(新婦)
서정주
신부는 초록 저고리 다홍치마로 겨우 귀밑머리만 풀리운 채 신랑하고 첫날밤을 아직 앉아 있었는데, 신랑이 그만 오줌이 급해서 냉큼 일어나 달려가는 바람에 옷자락이 문 돌쩌귀에 걸렸습니다. 그것을 신랑은 생각이 또 급해서 제 신부가 음탕해서 그 새를 못 참아서 뒤에서 손으로 잡아당기는 거라고, 그렇게만 알고 뒤도 안 돌아보고 나가 버렸습니다. 문 돌쩌귀에 걸린 옷자락이 찢어진 채로 오줌 누곤 못 쓰겠다며 달아나 버렸습니다.
그러고 나서 40년인가 50년이 지나간 뒤에 뜻밖에 딴 볼일이 생겨 이 신부네 집 옆을 지나가다가 그래도 잠시 궁금해서 신부방 문을 열고 들여다보니 신부는 귀밑머리만 풀린 첫날밤 모양 그대도 초록 저고리 다홍치마로 아직도 고스란히 앉아 있었습니다. 안쓰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가서 어루만지니 그때서야 재가 되어 폭삭 내려앉아 버렸습니다. 초록 재와 다홍 재로 내려앉아 버렸습니다.
(시집 『질마재 신화』, 1975)
[어휘풀이]
-돌쩌귀 : 문짝을 문설주에 달아 여닫는 데 쓰는 두 개의 쇠붙이
[작품해설]
미당은 전북 고창 선운리의 생가(生家)에서 멀리 내다보이는 ‘말안장 같이 생긴 고개’[질마재]의 이름을 따서 자신의 일곱 번째 시집을 『질마재 신화』라고 이름을 붙였다. 이 시집에 수록된 시들은 산문시의 형식과 관능미 넘치는 토속적 흥취를 주된 정서로 지니고 있어 이전의 경향과는 판이하게 다른 특성을 보여 준다. 「신부」 이러한 특성을 잘 보여 주는 그 중의 한 작품이다. 이 시는, 혼인 첫날밤에 생긴 오해로 인해 신부가 40~50년을 첫날밤 모양 그대로 앉아 있어야 했고, 신랑의 손길이 닿고서야 재가 되어 내려앉았다는 비극적 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신비주의적인 내용에다 다분히 관능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어 읽는 즐거움을 주기도 하지만, 결국은 재가 되어 버리는 신부의 비극이 더욱 처절하게 느껴진다.
무엇보다도 이 시는 신부의 수동적이고 침착한 기다림과 신랑의 조급성이 대립됨으로써 처절한 비극이 유발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옷자락이 돌쩌귀에 걸린 것을 신부가 음탕해서 잡아당기는 것으로 오해한 신랑에게 신부는 40~50년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저항으로 맞서게 된다. 40~50년이란 세월은 한 인간의 삶 전체를 의미한다. 그러니까 신부는 한 생애 모두를 기다림으로 보낸 셈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다림은 자기 소멸이라는 더 큰 비극을 가져오게 된다. 다시 말해, 신랑은 자신의 성급하고 지각없는 판단으로 인해 신부를 소박한 채 40~50년을 철저히 잊어버리고 지냈지만, 그 무관심이 결국 신부를 죽음으로 몰고 간 것이다.
이러한 세월이 흘러서여 신랑은 옛집에 우연히 글러 ‘귀밑머리만 풀린 첫날밤 모양 그대로 초록 저고리 다홍치마로 아직도 고스란히 앉아’ 있는 신부의 존재를 확인한다. 신랑은 비로소 ‘안쓰러운 생각이 들어 ’그 어깨를 어루만지‘지만 그 행위로 인해 신부는 그만 ’매운 재‘로 부서지고 만다. 결국 신랑의 잘못된 선택은 신부를 두 번씩이나 죽이고 만 셈이 된다.
이렇듯 이 시는 한 여인의 한(恨) 속에 담긴 숙명적 비극, 인생의 유한함과 허망함, 육체를 초월한 영적(靈的) 존재의 아름다움 등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다. 이러한 서정이 쉬운 이야기 구조와 산문적 가락 속에 교묘하게 복합적으로 녹아 있는 점에서 시인의 성숙한 시재(詩才)를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다.
[작가소개]
서정주(徐廷柱)
미당(未堂), 궁발(窮髮)
1915년 전라북도 고창 출생
1929년 중앙고보 입학
1931년 고창고보에 편입학, 자퇴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되어 등단
시 전문 동인지 『시인부락』 창간
1946년 조선청년문학가협회 결성, 시분과 위원장직을 맡음
1950년 종군 위문단 결성
1954년 예술원 종신 위원으로 추천되어 문학분과 위원장 역임
1955년 자유문학상 수상
1977년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2000년 사망
시집 : 『화사집』(1941), 『귀촉도』(1948), 『흑호반』(1953), 『서정주시선』(1956), 『신라초』 (1961), 『동천』(1969), 『서정주문학전집』(1972), 『국화옆에서』(1975), 『질마재 신화』 (1975), 『떠돌이의 시』(1976), 『학이 울고간 날들의 시』(1982), 『미당서정주시선집』 (1983), 『안 잊히는 일들』(1983), 『노래』(1984), 『시와 시인의 말』(1986), 『이런 나
라를 아시나요』(1987), 『팔할이 바람』(1988), 『연꽃 만나고 가는 사람아』(1989), 『피
는 꽃』(1991), 『산시(山詩)』(1991), 『늙은 떠돌이의 시』(1993), 『민들레꽃』(1994), 『미당시전집』(1994), 『견우의 노래』(1997), 『80소년 떠돌이의 시』(1997)